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악학궤범 당비파의 제도에 관한 연구 = The Four-Stringed Lute's (Tang Pip'a) Design Described in Akhak Kwebŏ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21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four-stringed lute (tang pip'a 唐琵琶) design described in Guide to the Study of Music (Akhak kwebŏm 『樂學軌範』) is examined. Also, the changes that occurred to that design are examined as well, through several sources s...

      In this study, the four-stringed lute (tang pip'a 唐琵琶) design described in Guide to the Study of Music (Akhak kwebŏm 『樂學軌範』) is examined. Also, the changes that occurred to that design are examined as well, through several sources such as the Five Rites (Orye 五禮) section of the Sejong sillok 『世宗實錄』, Introductory Rite (Sŏrye 序禮) of the Five Rites of the Nation (Kukcho oryeŭi 『國朝五禮儀』), and of course Akhak kwebŏm itself. From the number of frets (chu 柱) attached to the neck section and the body portion, and the position of such chu pieces, we can see that original features of the four-stringed lute (kokkyŏng pip'a 曲頸琵琶) as a musical instrument from the Ancient Iranian culture were still preserved in the design of Korean tang pip'a of the early Chosŏn dynasty, and that, as part of a variation, more than eight frets were newly added to the original body.
      Also, the tang pip'a described in Akhak kwebŏm had fewer frets compared to the instrument's description made in the Sejong sillok. Considering the fact that fret number 1 to 4 were used in playing tangak (music of Chinese origin), while the other 4 frets below were used in playing hyangak (native Korean music), we can see that the additional frets were added to the body portion to make it easier in playing hyangak or the new music 新樂) in p'yŏngjo 平調 and kyemyŏnjo 界面調 modes. This design remained the same until the Tablature Notation for Kŏmun'go (Kŭm hapchabo 『琴合字譜』: 1572) stage of the following periods.
      Considering all these original figures and changes, we can see that in order to successfully reproduce Korean tang pip'a today, we should base the design upon the original design featured in Akhak kwebŏm, yet also add more frets and position them appropriately in a fashion which would help the instrument create the right tones that would be required by today's new musical nee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악학궤범』 당비파의 제도에 초점을 맞추어 『세종실록』 「오례」로부터 『국조오례의』 「서례」를 거쳐 최종적으로 『악학궤범』에 이르기까지 그 변천 과정을 추적한 것...

      본 연구는 『악학궤범』 당비파의 제도에 초점을 맞추어 『세종실록』 「오례」로부터 『국조오례의』 「서례」를 거쳐 최종적으로 『악학궤범』에 이르기까지 그 변천 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특히 목부분과 몸체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주(柱)의 수와 배치로 볼 때, 조선전기 한국 당비파에는 고대 이란계 4현 곡경비파의 원형이 보유되어 있으며, 그것을 토대로 몸체부분에 8개 이상의 주가 추가되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악학궤범』 당비파의 주(柱)는 『세종실록』 「오례」의 그것에 비해 줄어들었는데, 제1~4주는 당악의 연주에 활용되었고, 향악의 연주에서는 주로 제4주 이하가 활용되었다는 사실로 볼 때, 몸체부분에 늘어난 주의 배치는 주로 당시 향악(鄕樂) 내지 신악(新樂)의 평조와 계면조 악곡을 연주하기 편하도록 배치되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후대의 『금합자보』까지 변함없이 유지되었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오늘날 한국 당비파가 발전적으로 재현되려면 『악학궤범』 당비파의 제도를 기반으로 하되 주의 수를 늘리는 한편, 그것들을 적합하게 배치함으로써 현재의 음악적 요구에 상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비파에 관한 사적(史的) 고찰" 2003

      2 "福建傳統音樂" 福州:福建人民出版社 2001

      3 "看得見的音樂:樂器" 上海:上海文藝出版社 2001

      4 "民族器樂的體裁與形式" 上海:上海音樂出版社 1999

      5 "民族器樂槪論" 上海:上海音樂出版社 1999

      6 "民族器樂(修訂版)" 北京:高等敎育出版社 2004

      7 "度量衡과 國樂論叢" 1980

      8 "唐代古譜譯讀" 上海:上海音樂出版社 2001

      9 "中日音樂交流史" 北京:人民音樂出版社 1999

      10 "中國古代音樂文化東流日本的硏究" 上海:上海音樂學院出版社 2004

      1 "비파에 관한 사적(史的) 고찰" 2003

      2 "福建傳統音樂" 福州:福建人民出版社 2001

      3 "看得見的音樂:樂器" 上海:上海文藝出版社 2001

      4 "民族器樂的體裁與形式" 上海:上海音樂出版社 1999

      5 "民族器樂槪論" 上海:上海音樂出版社 1999

      6 "民族器樂(修訂版)" 北京:高等敎育出版社 2004

      7 "度量衡과 國樂論叢" 1980

      8 "唐代古譜譯讀" 上海:上海音樂出版社 2001

      9 "中日音樂交流史" 北京:人民音樂出版社 1999

      10 "中國古代音樂文化東流日本的硏究" 上海:上海音樂學院出版社 2004

      11 "中國古代音樂史" 上海:上海人民出版社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963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