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술 매체의 자동성과 자율성: 스탠리 카벨의 '오토마티즘'과 로절린드 크라우스의 '기술적 지지체' = Automatism and Autonomy in Artistic Mediums: Stanley Cavell’s ‘Automatism’ and Rosalind Krauss’s ‘Technical Sup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503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ddresses automatism and autonomy in artistic mediums as found in the parallel of Stanley Cavell’s and Rosalind E. Krauss’ thought. Their alternative concepts of medium, which they invented to stand against the vacuous generalization of...

      This paper addresses automatism and autonomy in artistic mediums as found in the parallel of Stanley Cavell’s and Rosalind E. Krauss’ thought. Their alternative concepts of medium, which they invented to stand against the vacuous generalization of the aesthetic in media dominance, have been significant in film and visual art. Based on the physical irreducibility of the medium implied by Cavell's automatism, Krauss’s "technical supports" delve into how contemporary artists’s practices are reinventing mediums. Through a more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two concepts,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ir strategies and orientations of each alternative conception of medium regarding agency, automatism, and autonomy. In short, while Cavell implicated artistic mediums in a potential and generative mode of artistic existence in the moment of consciousness of modernism, Krauss, as a post-structuralist, brings it into a psychoanalytic and postmodern frame, presenting ‘the technical' as a possible condition for the autonomy of art over the impossibility of modernist medium specific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스탠리 카벨의 ‘오토마티즘’ 개념과 로절린드 크 라우스의 ‘기술적 지지체’ 개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대안적인 예술 매체 개념의 의미와 방향성을 탐색한다. 90년대 말 크...

      이 글은 스탠리 카벨의 ‘오토마티즘’ 개념과 로절린드 크 라우스의 ‘기술적 지지체’ 개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대안적인 예술 매체 개념의 의미와 방향성을 탐색한다. 90년대 말 크라우스 는 카벨의 오토마티즘 개념을 전거로 물리적 환원주의를 벗어날 수 있는 새로운 매체 개념을 고안하고, 일련의 관습들의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구조로서 ‘기술적 지지체’를 제시한다. 이 글은 물리적 매체 개념을 넘어서려는 ‘오토마티즘’과 ‘기술적 지지체’ 개념의 개 연성과차이를면밀히탐색함으로써,이두개념의철학적배경및 시대적 요구 안에서 제시되고 있는 예술 매체의 행위성, 자동성, 자율성을 조명한다. 요컨대, 카벨은 매체를 모더니즘의 잠재적이고 창발적인 예술의 존재 양식으로 규정했다면, 크라우스는 이를 포스 트구조주의 담론으로 변용시키면서, 모더니즘적 매체특정성의 불가 능성을 전제로 ‘기술적인 것’을 예술의 가능 조건으로 제시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