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술기반창업기업의 기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5255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中央大學校 産業.創業經營大學院, 2010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venture

      • 형태사항

        iv, 103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指導敎授: 박인선
        부록 수록: 조사 설문지
        참고문헌 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deduce academic, pragmatic, and policy implications by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about determinants of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venture in terms of entrepreneurship, resource, industry, and strategy(ERIS). The study has 5...

      This study tries to deduce academic, pragmatic, and policy implications by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about determinants of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venture in terms of entrepreneurship, resource, industry, and strategy(ERIS).
      The study has 5 chapters. First chapter i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background. The previous researches about ERIS and determinants of performance will be examined at the second chapter. At third chapter,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used in the study will be presented including data and analysis methodology. Analysis results by survey are presented at Chapter 4. At the last chapter,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ill be organized and explained totally and the weak points of the study and the proposal for future study will be discussed.
      The study used empirical data fo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mong entrepreneurship, resource, industry, and strategy focusing on technology venture. Using factor analysis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variables for ERIS are aggregating into several groups. At first, innovativeness, risk taking, proactiveness are conceptualized for the sub-variables of entrepreneurship likewise many previous studies has been presented. Technology management skill is conceptualized with technology human resource, technology strategy, technology collaboration, and technology organizational leadership which are not the same result of Jang et al. (2009). Also,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product competitiveness has no sub-variables and conceptualized into 1 dimensional variable.
      Before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F test(ANOVA) as industry differences was conducted for in-depth analysis of the technology venture's characteristic. Industries are divided into 4 categories such as advanced manufacturing, general manufacturing, software and IT, and the others. All the variables except entrepreneurship(risk taking), competitiveness of industry, technology human resource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verall, advanced manufacturing is higher than other industry, and the others has the lowest average. In the relationship of differentiation strategy between general manufacturing and software IT, general manufacturing has more number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hile software IT has higher in the level of R&D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 and collaboration with outside. These results show the industr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for determinants of technology venture, there are differences among finance, organization, product performance. We can understand the huge relevancy of product performance and the characteristic of technology venture. Specifically, finance performance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oactivess(β=.487), collaboration with outside(β=.308), technology human resource(β=.315). Whereas, risk taking, technology organization and leadership, and industry competitiveness has negative effects on performance.
      In the result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echnology venture which is different from finance performance, technology strategy(β=.454), technology organization and leadership(β=.366), collaboration with outside(β=.204) are the main factor. Resource investment has negative sig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product performance, technology strategy(β=.368) is the main factor, and also technology organization and leadership(β=.315) and innovativeness(β=.298) is positive effects on product performance. However, there is no relationship with assets.
      Technology venture is the company making money with advanced technology.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echnology venture conducted b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and the very first study using ERIS model and conducting empirical study in the multi-dimensional performance.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difference factors affect multi-dimensional performance. Overall, entrepreneurship and strategy is the main factor for the performance out of the entrepreneurship, resource, industry, and strate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ERIS Model을 기초로 하여 기술창업기반의 근간이 되는 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기업의 자원, 산업, 전략에 대한 통합적인 실증연구를 통해 기술기반창업기업(Technology based Start-up)의 ...

      본 연구는 ERIS Model을 기초로 하여 기술창업기반의 근간이 되는 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기업의 자원, 산업, 전략에 대한 통합적인 실증연구를 통해 기술기반창업기업(Technology based Start-up)의 기업성과 결정요인에는 어떠한 특성들이 영향을 연구하여 학문적·실용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배경, 연구의 구성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기업가정신, 자원, 산업, 전략에 대한 선행연구(preceding research)와 기업의 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선행연구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3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모형(research model)과 가설(hypothesis, 假說)의 설계, 본 연구에 이용된 자료의 분석 방법에 대해서 제시하고 있다. 4장에서는 설문분석에 의한 분석결과를 기술하도록 한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총체적으로 정리함과 동시에 시사점에 대해서 살펴보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제시한다.
      본 연구는 기술기반창업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가 정신, 자원, 산업, 전략과 성과간의 관계를 실증하였는데, 측정도구의 신뢰성·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여 기업가 정신, 기술경영능력, 조직성과, 제품 경쟁력의 차원을 집단화하였다. 먼저 다수의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기업가 정신은 혁신성(innovativeness), 위험성(risk taking), 적응성(proactiveness)으로 집단화되었다. 기술경영능력의 경우 장성근 외(2009)의 연구와 달리, 기술인력, 기술전략, 기술협력, 기술 조직·리더십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조직성과와 제품경쟁력은 차원 구분 없이 1개의 요인으로 집단화되어 타당성을 확보했다.
      기술기반창업기업의 특성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ERIS모델에 따라 업종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업종은 첨단제조업, 일반제조업, 소프트웨어 정보·통신업, 기타로 나누었다. 기업가 정신-위험성, 시장 내 경쟁, 기술인력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첨단제조업이 타 업종보다 높게 분석되었으며, 기타가 가장 낮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차별화 전략의 일반제조업과 소프트웨어 정보·통신업 간의 관계에서는, 지적재산권 수는 일반제조업이 더 높았으나, 연구개발 전담조직·인력과 외부협력 정도는 소프트웨어 정보·통신이 더 높게 나타나 업종 특성이 반영되고 있다.
      기술기반창업기업의 성과 결정요인 분석결과, 재무, 조직, 제품 성과에 대한 결정요인이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기술기반창업기업의 특성은 제품 성과와 가장 큰 관련성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무성과에 있어서는 기업가 정신-적응성(β=.487), 외부협력 정도(β=.308), 기술인력(β=.315)이 밀접하게 나타났다. 반면 위험성, 기술조직·리더십과 시장 내 경쟁이 성과에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기술기반창업기업의 조직성과 결정요인 분석은 재무성과 분석과 달리 기술전략(β=.454), 기술조직·리더십(β=.366), 외부협력 정도(β=.204)이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자원 투자는 조직성과에 음의 영향을 미쳐 투자의 정도가 조직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않음을 나타냈다.
      제품성과(제품 경쟁력)의 분석은 조직성과와 마찬가지로 기술전략(β=.368)이 주요한 성과 결정요인으로 드러났다. 기술조직·리더십(β=.315)과 기업가 정신-혁신성(β=.298) 역시 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자산은 성과와 큰 관련성이 없게 나타냈다.
      기술기반창업기업은 첨단기술 등을 활용하여 창업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이다. 많은 선행연구들이 기업에 대한 성과를 연구하였지만 ERIS모델에 의거하여 다차원적인 속성을 실증한 연구는 거의 없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이론적 의의가 크다.
      본 연구는 일반기업이 아닌 기술기반창업기업이라는 속성으로 대상을 한정하여 ERIS 모델을 검증하였다. 차이 분석 검증과 회귀 분석을 통해 성과에 따라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달라짐을 알 수 있으며, 결과 기업가 정신, 자원, 산업, 전략 중 더 우선적으로 중요한 변수를 선정할 수는 없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기업가 정신과 전략 중 기술경영능력이 보다 밀접한 성과 결정요인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성과를 하나로 간주하지 아니하고, 재무, 조직, 제품성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다차원적인 성과 결정과 그에 따른 연구가 세분화하여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재무성과에는 기업가 정신-적응성이, 조직성과에는 기술전략이, 제품성과에는 기술전략이 대표적인 결정요인이었고 그 외 유의미한 변수의 차이가 컸다. 기술기반창업기업의 특성에 있어서, 제품성과가 다른 성과보다 밀접하다는 것과 첨단제조업이 타 업종보다 전반적으로 평균값이 높다는 것을 파악한 것도 의의이다.
      정책적으로는 본 논문의 결과를 활용하여 해당 업종의 기업이 목표하고자 하는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할 요인들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연구의 구성 3
      • 1. 연구의 방법 3
      • 2. 연구의 구성 3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연구의 구성 3
      • 1. 연구의 방법 3
      • 2. 연구의 구성 3
      • 제 2 장 기술기반창업기업 개념 및 성과결정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4
      • 제 1 절 기술기반창업기업의 정의 및 특징 4
      • 1. 우리나라 벤처기업 현황 및 특성 4
      • 2. 기술기반창업기업의 정의 5
      • 3. 기술기반창업기업의 특징 7
      • 제 2 절 기술기반창업기업 성과결정요인 9
      • 제 3 절 벤처기업의 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11
      • 1. 벤처기업 경영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주요연구 11
      • 2. 기업가정신(Entrepreneur) 20
      • 3. 자원(Resource) 25
      • 4. 산업(Industry) 27
      • 5. 전략(Strategy) 29
      • 제 3 장 연구 설계 34
      • 제 1 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34
      • 제 2 절 측정변수 선정 36
      • 제 3 절 조사 및 분석방법 42
      • 제 4 장 실증 분석 43
      • 제 1 절 응답자 및 표본기업 특성 43
      • 제 2 절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53
      • 1. 기업가 정신 53
      • 2. 기술경영능력 55
      • 3. 조직성과 57
      • 4. 제품 경쟁력 57
      • 제 3 절 업종별 기술기반창업기업 특성 차이분석 60
      • 1. 기업가 정신 60
      • 2. 자원 62
      • 3. 산업 64
      • 4. 전략 65
      • 1) 차별화 전략 65
      • 2) 기술경영능력 67
      • 5. 성과 70
      • 제 4 절 기술기반창업기업 성과 결정요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73
      • 1. 기술기반창업기업 성과 결정요인과 성과 간의 상관분석 73
      • 2. 기술기반창업기업 성과 결정요인과 재무 성과 간의 회귀분석 74
      • 3. 기술기반창업기업 성과 결정요인과 조직성과 간의 회귀분석 76
      • 4. 기술기반창업기업 성과 결정요인과 제품성과 간의 회귀분석 79
      • 제 5 장 정책적 함의 및 결론 82
      •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82
      • 제 2 절 연구의 함의 및 한계 83
      • 참고문헌 85
      • 국문초록 92
      • Abstract 95
      • 부록 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