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음운 교체 양상의 변화와 공시론적 기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8056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ynchronic state in a language is a layer of diachronic changes. Understanding of diachronic changes can help to get at the truth of synchronic phenomena.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adequacy of a synchronic grammar through the diachr...

      A synchronic state in a language is a layer of diachronic changes. Understanding of diachronic changes can help to get at the truth of synchronic phenomena.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adequacy of a synchronic grammar through the diachronic dimension. Diachronic changes have intimate relationships with synchronic descriptions. But a synchronic description is not a recapitulation of diachronic changes.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the synchrony and diachrony. In this study, we will classify phonological changes, and then consider the reason why the synchrony is not congrous with the diachorny. Phonological changes can be arranged into four groups : rule insertion, rule loss, change of rule environment, change of phonological system.
      When a new rule inserted, it is applied to concrete forms showing up in surface. The stem of verb of adjective in Korean cannot be used by itself. Instead it always is connected with conjugated endings : the form made by connection of stem and ending is called conjugational form. In surface, each conjugational form of the same stem is realised in different shape. So a new rule can be applied to some conjugational form, but not to other. Due to this, the phonological tightness between the conjugational form applied to by a new rule and the conjugational form not applied is destroyed in many cases. When the phonological distance of conjugational forms are made too far, many difficulties appear in synchronic phonological description.
      A rule loss have a deep impact on the synchronic phonological description. In general a rule loss bring about the restructuring in underlying form, when it occurred morpheme-internally, and retrieval into the previous stage where the rule disappearing has not been introduced, when it occurred in morpheme-internal. But sometimes rule loss is related with telescoping, and then some different things result. In this situation, the lost rule cannot be a synchronic rule, the synchronic description has different contents from the historical dimension.
      The rule environment appear newly or disappear on account of following changes. On occasion the existing rule is not applied to the new environment. And there are some cases where the existing rule is applied to although the rule environment disappeared. For the sake of the synchronic description of these, we must use the rule ordering, and diacritics representing rule exception. Sometimes we may list the conjugational from in lexicon.
      Changes of phonological system are one of the main mechanism having some effect on the synchronic phonological description. As to a phoneme loss, in spite of the contrast between two phonemes vanishing, there are some cases where the contrast doesn't go away. The description of this type have to get over many barriers. The mergers of phonemes show similar asp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학위논문(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전공 2002

      학위논문(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전공 2002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대상 1.3. 연구 방법 1.4. 연구사 개관 1.5. 논의의 구성 2. 이론적 논의 2.1. 공시론...

      국문초록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대상
      1.3. 연구 방법
      1.4. 연구사 개관
      1.5. 논의의 구성

      2. 이론적 논의
      2.1. 공시론적 음운 기술의 대상
      2.2. 공시론적 음운 기술의 조건
      2.2.1. 공시론적 음운 기술과 자연성
      2.2.2. 공시론적 음운 기술과 일반성
      2.2.3. 공시론적 음운 기술과 일관성
      2.2.4. 공시론적 음운 기술과 경제성
      2.2.5. 그 밖의 조건
      2.3 고시론적 음운 기술의 유형
      2.3.1. 순수 음운 규칙의 설정
      2.3.2. 비음운론적 제약을 가진 규칙의 설정
      2.3.3. 복수 기저형의 설정
      2.3.4. 형태소 결합형의 어휘부 등재
      2.3.5. 종합적 검토
      2.4. 기저형 설정 조건
      2.5. 음운 기술과 층위
      2.6. 음운 변화의 적용 단위
      2.7. 통시적 변화와 공시론적 기술의 차이

      3. 규칙의 첨가와 공시론적 음운 기술
      3.1. 원순모음화와 공시론적 음운 기술
      3.1.1. 1음절 어간의 원순모음화
      3.1.2. 2음절 이상 어간의 원순모음화
      3.1.3. 원순모음화의 통합 기술
      3.2. 전설모음화와 공시론적 음운 기술
      3.2.1. 치찰음 뒤에서의 전설모음화
      3.2.2. 유음 뒤에서의 전설모음화

      4. 규칙의 소실과 공시론적 음운 기술
      4.1. 모음의 완전순행동화
      4.1.1. 완전순행동화의 유형
      4.1.2. 완전순행동화의 공시론적 기술
      4.2. 이중모음의 축약
      4.2.1. '여, 워'의 축약
      4.2.2. '웨/왜'의 축약
      4.3. 움라우트와 '에>이'
      4.4. 외, 위-말음 용언 어간의 활용 양상
      4.4.1. 외-말음 용언 어간
      4.4.2. 위-말음 용언 어간

      5. 규칙 적용 환경의 변화와 공시론적 음운 기술
      5.1. 규칙 적용 환경의 첨가와 공시론적 음운 기술
      5.1.1. 자음군 단순화와 유음 탈락
      5.1.2. 후음 말음 어간의 음운 현상
      5.1.2.1. 'ㅎ-탈락'과 으-탈락
      5.1.2.2. 'ㅎ-탈락'과 동일 모음 탈락
      5.1.2.3. 'ㅎ-탈락'과 활음화
      5.2. 규칙 적용 환경의 소실과 공시론적 음운 기술
      5.2.1. △의 탈락과 유음 탈락
      5.2.2. 비모음화와 유음 탈락

      6. 음운 체계의 변화와 공시론적 음운 기술
      6.1. 자음 체계의 변화와 공시론적 음운 기술
      6.2. 모음 체계의 변화와 공시론적 음운 기술

      7.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 언어의 공시태는 여러가지 통시적 변화가 퇴적된 산물이다. 그래서 통시적 변화에 대한 이해가 공시적 현상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통시적 변화를 통해 공시적 문...

      한 언어의 공시태는 여러가지 통시적 변화가 퇴적된 산물이다. 그래서 통시적 변화에 대한 이해가 공시적 현상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통시적 변화를 통해 공시적 문법의 타당성을 검토할 수도 있다. 이처럼 통시적 변화과정은 공시론적 기술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러나 통시적 변화 과정이 그대로 공시론적 기술에 반영될 수는 없다. 즉 통시적 변화과정과 공시론적 기술의 내용 사이에는 차이점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음운 변화의 유형별로 각각의 현상에 대한 통시론과 공시론의 내용이 왜 달라지며,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음운 변화의 유형은 규칙의 첨가, 소실 , 규칙 적용 환경의 변화, 음운 체계의 변화로 분류한다.
      새로운 음운 규칙이 첨가되었을 때 이 규칙은 표면에서 실현되는 개별 형태들에 적용된다. 용언 어간의 경우 표면에 실현되는 것은 개별 활용형이므로 결국 새로운 음운 규칙은 개별 활용형에 적용된다고 하겠다. 그 결과 같은 용언 어간의 활용형들이라고 하더라도 어떤 활용형은 새로운 음운 규칙의 적용을 받을 수 잇지만 어떤 활용형을 적용을 받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대 새로운 음운 규칙의 적용을 받은 활용형과 적용을 받지 않는 활용형 사이의 음운론적 관계가 깨져버리는 경우가 흔히 있다. 새로 첨가된 음운 규칙에 의해 활용형들간의 음운론적 관계가 멀어지면 공시론적 음운 기술은 여러가지 문제를 안게 된다.
      기존의 음운규칙이 소실되는 경우에도 공시론적 음운 기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 음운 규칙이 사라져버리면 형태소 내부의 경우 기저형의 변화가 초래되지만 형태소 경계에서는 기존 음운 규칙이 적용되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런데 소실된 규칙이 여러 단계의 도출 과정 중 일부를 이루는 경우, 즉 중간 과정의 소실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상황이 달라진다. 이 때에는 도출 과정에서 소실된 규칙과 관련을 맺는 다른 규칙들도 변화를 입을 뿐만 아니라 소실된 규칙을 공시적 음운 규칙으로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공시론적 기술과 통시적 변화의 내용이 달라질 수 밖에 없다.
      한편 후대의 음운 변화에 의해 기존 음운 규칙의 적용 환경이 새로 생기기도 하고 사라져 버리기도 한다. 이 때 문제가 되는 것은 적용 환경이 새로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음운 규칙이 적용되지 않거나 적용 환경이 사라져 버렸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음운 규칙이 여전히 적용되는 경우이다. 이런 경우에는 공시론적 기술 과정에서 인위적 규칙순을 사용하거나 예외 표시를 해 주어야 하며, 활용형을 어휘부에 등재하는 방식으로 기술해야 하는 상황도 나타난다.
      음운 체계의 변화 역시 공시론적 음운 기술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음소가 소실된 경우에는 공시론적 기술에서 소실된 음소를 기저형에 설정할 수 없다. 그런데 여러가지 음운 현상에서 소실된 음소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은 기존의 음소들이 합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 이다. 즉 표면상으로 두 음소 사이의 대립이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몇몇 음운 현상에서는 마치 두 음소가 구별되는 듯한 모습이 발견되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공시론적 기술이 상당한 어려움에 봉착한다.
      여기서는 위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음운 변화를 공시론적으로 어떻게 기술할지에 대해 살펴본다. 구체적인 논의 과정을 통해 공시론적 음운 기술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잇을 것이다. 또한 공시론에 반영되는 변화의 모습을 통해 통시적 음운 변화의 속성도 어느정도 이해할 수 잇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논의는 통시적 음운 변화와 공시적 음운 기술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