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포털 뉴스 캐스팅 오픈 방식에 대한 수용자 인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501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rshall McLuhan, the noted Canadian scholar of journalism, is known for the expression, 'The medium is the message.', by which he gave emphasis to the fact that his above expression is entirely true with no heed to the contents the medium delivers. W...

      Marshall McLuhan, the noted Canadian scholar of journalism, is known for the expression, 'The medium is the message.', by which he gave emphasis to the fact that his above expression is entirely true with no heed to the contents the medium delivers. With technical innovations and expansion, the Internet is leading to the drastic changes of huma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which is equivalent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the year of 2009 turned out to be the 40th anniversary year of the Internet. Especially, in case of Korea it will not be an overstatement to mention that the use of the Internet expressly means that of the portal site, since most of the Internet users set up the portal site as the start page on their computers. As the portals thus evolved to be so important that they induced the crowding, which became widespread not only to information search, e-mail, messenger, free opinions through replies, a participation of users, for instance, such as diversified use of UCC, blog but also to the news access. With regard to the means of the news access, the use of the portals is trending upward, while that of television and newspapers downward. This stems from the fact that the portals allow the easy access to the news of many newspaper companies and the glancing of them as well.
      Against the fact that, at first, online news service of the media websites preceded that of the portals, now it has been superseded by the latter. Under the circumstance, the researches have continuously investigated the various social problems of the so-called 'news boxes' of the portal front page. Namely, on one hand, there have been issues of the Korean-style portals constantly, such as the revision of headlines to be sensational, i.e., the portals' editorial right of the news, the relationship between news producer and news distributor and so forth, and, on the other hand, studies have been made consistently with the various academic approaches which included the effects of the user interactivity, agenda setting function, reversed agenda setting, etc. In particular, there was also a demand for institutional device to secure the impartia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portal news. Accordingly, the portals even suggested the system for polls of public opinion, such as users' committee, media responsibility committee and others, together with the guidelines for election campaign reports. Some portals, following the suit of the portal of Naver, attempted to introduce the press out-link system, which was eventually found not to be an alternative. Consequently, Naver which has the overwhelming share of the market, has arranged the so-called 'News Casting Open' system as the intermediary between the portal and media websites since January 1, 2009, which enabled the media websites to provide Naver with the news features after editing by themselves. This system has brought a small but nevertheless important change, by which the media websites became vigorous enough to have the opportunity to newly leap forward, based on the increase of news readers, traffic and sales of advertisements.
      As a matter of fact, even though the portal News Casting Open system seemed to be a matter of course in terms of portal news service, it can be affirmed that the new system itself is a significant change in consideration of its connotation of portals' willingness to strictly play the sole role of news distributor by transferring the news editorial right to the newspaper companies. However, there was also the perspective that the new system has increased the dependence of the newspaper companies on the portals, while they competed fiercely with each other to join with the portals. Moreover, as of August 7, 2009, a new ruling came into effect with the change of the press arbitration law, which brought the portal news under the control of arbitration and medi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users recognized and evaluated the new system under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in relation to the portal news, and tried to review their motivation and behaviour patterns of the portals.
      The study of this text also found the response that satisfaction scores of users with the portal News Casting Open system were above average. Analysis of variance of survey has deduced that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exists in terms of 'gender and the degree of involvement' and 'gender and the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of users' ages has found the age difference also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ge and credibility' and 'age and usefulness'. Furthermore, analysis of users' group of the portal news has show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Naver users' group and usability was suggestive and that users' convenience came close to the statistically somewhat meaningful degree. The findings also include that the impact of other factors is not prominent.
      As to the news editing trend of the media websites in compliance with the portal News Casting Open System, the user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perceive any difference, even though the news became soft. In case of newspaper sites, a noticeable change was revealed that users read articles additionally through the hyperlink. Regarding the revision of headlines of portal news, most of the respondents opposed it predominantly. On the future method of portal news service, users preferred the Open system and at the same time the method itself is confirmed not to be matter of their concerns.
      It is clearly and factually confirmed that the Open System has brought the sweeping systematic changes to the media websites as well as the news users.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users do not notice the change and that, in view of the position dominated by the portals in the whole Korean society, the Open System is progressing toward the right direction in terms of news production and its distribution. In other words, the Open System is not the best solution, but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Open System eased the crowding of the portals which remediated the news and brought the mutually beneficial opportunity to both the media websites and the portals.
      Thus, this study can find its valuable meaning in presenting the working-level proposal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portal news by reviewing the change which the Open System has brought to the news surroundings and discussing how the news users have perceived the Open System.

      Key words: Portal News Casting Open, Portal Journalism, Portal News, Portal News Users, Portal News Credibility, Portal News Users' behaviour Patter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캐나다의 언론학자 마샬 맥루한은 '미디어는 메시지다'라는 유명한 명제를 남겼다. 미디어가 전달하는 내용과 관계없이 그 자체로 하나의 메시지라는 사실을 강조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

      캐나다의 언론학자 마샬 맥루한은 '미디어는 메시지다'라는 유명한 명제를 남겼다. 미디어가 전달하는 내용과 관계없이 그 자체로 하나의 메시지라는 사실을 강조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과 확장은 21세기 인류사회에 산업혁명에 버금가는 급격한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더군다나 2009년은 인터넷이 탄생한지 40주년이 되는 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포털사이트를 시작페이지로 설정해 놓고 있어 인터넷 사용은 포털의 이용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듯 포털은 인터넷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면서 포털 집중화 현상이 나타났다. 포털 집중화는 검색, 이메일, 블로그, 커뮤니티, 메신저, 댓글을 통한 자유로운 의견 개진과 UCC 활성화의 예와 같은 이용자들의 참여뿐 만 아니라 뉴스 이용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뉴스 이용에 있어서 텔레비전과 신문을 통한 뉴스 이용은 줄어들고 있으며, 포털에서의 뉴스이용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왜냐하면 포털 뉴스는 여러 언론사의 기사를 한 번에 볼 수 있고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론사닷컴은 포털사이트에 비해 뉴스 서비스 출발은 빨랐지만, 포털의 집중화로 인해 그 지위를 포털에 내주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포털 프론트페이지 뉴스박스에 대한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와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포털 뉴스의 선정적인 뉴스 제목 편집권, 뉴스 생산자와 유통자의 관계 등 한국형 포털의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며 상호 작용성, 의제설정 기능, 역의제 설정 등 다양한 학문적 접근방식을 통한 연구도 계속되어 왔다. 특히, 포털뉴스의 공정성, 사회적 책임을 부과하기 위한 제도적 요구도 뒤따랐다. 이에 따라 포털들은 이용자위원회, 미디어책무위원회 등 사회적 의견을 수렴하는 시스템과 선거보도 관련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도 하였으며 네이버를 비롯한 일부 포털은 언론사 아웃링크를 도입하였다. 아웃링크 방식은 효과는 있었지만 최선의 대안은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래서 가장 강력한 시장점유율을 가진 네이버가 2009년 1월 1일자로 언론사닷컴이 직접 뉴스를 편집해서 공급하는 이른바, 뉴스캐스팅 오픈 방식을 도입하게 되었다. 포털 뉴스 캐스팅 오픈 방식은 실제로 중요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언론사닷컴의 트래픽과 광고매출액 증가 등 이용자들이 언론사닷컴의 뉴스를 직접 보게 되면서, 언론사닷컴 사이트는 활기를 띄고 새로운 도약의 기회가 된 것이다.
      사실 포털 뉴스캐스팅 오픈 방식은 포털 뉴스 서비스에 있어 당연하지만 획기적인 변화라 할 수 있다. 포털은 언론사닷컴에 뉴스편집권을 이양하고, 철저히 뉴스 유통자로서 역할만 하겠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언론사들은 뉴스캐스팅 오픈 방식에 가입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하면서, 실제로는 포털에 대한 의존성을 심화시켰다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또한 지난 8월 7일자로 언론중재법 개정으로 포털 뉴스는 조정과 중재의 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포털 뉴스를 둘러싼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포털 뉴스 캐스팅 오픈 방식에 대해 수용자들은 어떻게 평가하고 인식하는 지 살펴보고 아울러 포털 이용동기와 행태에 대해서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포털 뉴스 캐스팅 오픈 방식에 대해 이용자들은 대체로 보통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변량분석에 있어서는 '성별과 관여도', '성별과 신뢰성'에 있어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연령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연령과 신뢰성', '연령과 유용성'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포털뉴스 사용자 집단에 따른 분석에서는 '네이버 사용자 집단과 유용성'의 관계는 유의미하였고, '편의성'도 어느 정도 통계치의 유의미한 수준에 근접하였다. 하지만, 다른 요인들은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털 뉴스 캐스팅 오픈 방식에 따른 언론사닷컴의 뉴스편집 경향에 대해 뉴스 이용자들은 연성화 되었지만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는 응답도 보였다. 언론사닷컴의 추가기사 확인에 있어서는 눈에 띄는 변화도 보였다. 포털 뉴스의 제목 수정에 대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향후 포털 뉴스 서비스 방식에 대해서는 이용자들은 뉴스 캐스팅 오픈방식을 선호하지만 어떤 방식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분명한 것은 포털 뉴스 캐스팅 오픈방식이 언론사닷컴 뿐만 아니라 뉴스 이용자들에게도 의미있는 변화의 바람을 몰고 왔다는 사실이다. 비록 뉴스 이용자들은 크게 자각하고 있지 않지만 이 새로운 방식은 한국사회에서 포털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생각해 볼 때, 뉴스의 생산과 유통측면에서 올바른 방향성을 가지고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뉴스 캐스팅 오픈 방식이 최선은 아니지만 뉴스를 재매개하고 있는 포털에 대한 뉴스 집중화 현상을 완화시키고 언론사닷컴과 포털간의 상생의 기회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포털 뉴스캐스팅 오픈 방식이 포털 뉴스 환경에 어떠한 변화를 주고 있고, 뉴스 이용자들은 이 새로운 방식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향후 포털 뉴스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되는 지에 대한 실무적 제언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Key words : 포털 뉴스 캐스팅 오픈, 포털 저널리즘, 포털 뉴스
      포털 뉴스 이용자, 포털 뉴스 신뢰도, 포털 뉴스 이용패턴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제2절 논문구성 4
      •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기존문헌 검토 5
      • 제1절 인터넷 미디어 뉴스와 포털 뉴스 서비스 5
      • 제1장 서 론 1
      •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제2절 논문구성 4
      •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기존문헌 검토 5
      • 제1절 인터넷 미디어 뉴스와 포털 뉴스 서비스 5
      • 1. 인터넷 미디어 뉴스 5
      • 2. 인터넷미디어 뉴스 성장과정 9
      • 3. 포털 뉴스서비스의 성장 12
      • 4. 포털 뉴스서비스의 주요 특성 14
      • 제2절 포털 뉴스에 관한 이론적 논의 17
      • 제3절 포털 뉴스 캐스팅 오픈 방식과 효과에 대한 논의 22
      • 1. 포털 뉴스 캐스팅 오픈 방식에 대한 논의 22
      • 2. 포털 뉴스 캐스팅 오픈 방식 효과에 대한 논의 27
      • 제3장 연구문제 34
      • 제4장 연구방법 37
      • 제1절 자료수집과 분석대상 37
      • 제2절 조작적 정의 및 자료 분석 방법 38
      • 1. 변인의 조작적 정의 38
      • 2. 자료 분석 방법 42
      • 제5장 연구결과 43
      • 제1절 설문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3
      • 제2절 포털 뉴스 이용의 일반적 특성 45
      • 1. 포털 사이트 이용 일반적 특성 45
      • 2. 포털 뉴스의 이용동기 50
      • 3. 포털 뉴스의 이용형태 53
      • 제3절 포털 뉴스캐스팅 오픈 방식에 따른 이용자 인식 57
      • 1. 포털 뉴스캐스팅 오픈방식 57
      • 제6장 결론 및 논의 65
      • 제1절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65
      • 제2절 논문의 한계점 및 제언 70
      • 참고문헌 72
      • 부록-설문지 80
      • ABSTRACT 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