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IE SCOPUS

      자생 관상용 Heloniopsis와 Thalictrum속 종자의 형태적 및 형태생리적 휴면 = Morphological and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in Seeds of Two Genera (Heloniopsis and Thalictrum) Native to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272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많은 백합과, 미나리아재비과 식물들의 종자들은 모식물체에서 미숙배를 가지고 탈리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종자들은 형태적 또는 형태생리적 휴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

      많은 백합과, 미나리아재비과 식물들의 종자들은 모식물체에서 미숙배를 가지고 탈리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종자들은 형태적 또는 형태생리적 휴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몇 가지 자생 관상용 Helopniopsis, Thalictrum속 식물의 형태적 종자휴면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백합과의 처녀치마와 숙은처녀치마, 미나리아재비과의 금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및 연잎꿩의다리 종자의 배의 형태와 발아율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 다섯 종 모두 미숙배 종자였다. 백합과의 처녀치마와 숙은처녀치마는 미발달형 배를 가지고 있었다. 미나리아재비과의 꿩의다리 세 종은 모두 미발달형과 직선형의 중간형 태로 판단되었다. 연구된 다섯 종 모두 유근이 돌출하기 전에 배가 일정 크기까지 신장하였다. 백합과의 처녀치마와 숙은처녀치마는 30일 동안 각각 22.7%, 40.7% 정도가 발아한 반면, 미나리아재비과의 금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및 연잎꿩의다리는 각각 12.5%, 3.3% 및 0%가 발아하였다. 따라서 처녀치마와 숙은처녀치마의 종자는 각각 약 78%, 60% 정도가 형태생리적 휴면을 보였고, 금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및 연잎꿩의다리는 각각 약 87%, 96% 및 100%가 형태 생리적 휴면을 보였다. 한 종 내에서도 형태적 휴면과 형태 생리적 휴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미숙배가 발아 지연의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이 결과들은 추후 한반도 자생식물의 형태학적 종자휴면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basic information for the research of morphological dormancy in seeds of two genera (Heloniopsis and Thalictrum) native to Korea. Seeds of Heloniopsis koreana, Heloniopsis tubiflora, Thalictrum rochenbrunianum, Thali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basic information for the research of morphological dormancy in seeds of two genera (Heloniopsis and Thalictrum) native to Korea. Seeds of Heloniopsis koreana, Heloniopsis tubiflora, Thalictrum rochenbrunianum, Thalictrum uchiyamai, and Thalictrum coreanum were collected, and embryo morphology and seed germination were investigated. All seeds of five species had underdeveloped embryos which occupied about 10-20% of the full seed length at maturity. The seeds of H. koreana and H. tubiflora had rudimentary embryos. The seeds of T. rochenbrunianum, T. uchiyamai, and T. coreanum had intermediate type between rudimentary and linear embryo. The small embryos of all seeds of five species grew to a critical length before radicles emerge from the seeds. At 30 days after sowing, the seeds of H. koreana and H. tubiflora germinated to 22.7% and 40.7%,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eeds of T. rochenbrunianum, T. uchiyamai, and T. coreanum germinated to 12.5%, 3.3%, and 0%, respectively. If embryo growth and germination in seeds are completed in approximately 30 days, the seed are said to have morphological dormancy (MD). However, if the seeds require > 30 days for germination, they are considered to have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MPD). Thus, the seeds of H. koreana and H. tubiflora had about 78% and 60% MPD,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eeds of T. rochenbrunianum, T. uchiyamai, amd T. coreanum had about 87%, 96%, and 100% MPD, respectively. There was a different level of dormancy (MD and MPD) within the same seed population examined. Therefore, germination of the seeds was delayed due to the underdeveloped embryos. This result could contribute to determine morphological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mechanism in seeds of the Korean Peninsul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초록
      • Abstract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초록
      •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태, "한국산 꿩의다리속(Thalictrum L.) 식물의 화분학적 연구와 분류학적 재검토" 한국식물분류학회 37 (37): 447-476, 2007

      2 강정희, "지리산바위솔과 제주연화바위솔 종자의 형태특성 및 저온과 GA에 대한 발아 반응" 한국원예학회 28 (28): 913-920, 2010

      3 김윤경, "봉지 재배가 ‘만풍배’의 과피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28 (28): 36-40, 2010

      4 이호선, "모데미풀 종자 발아를 위한 온도 및 지베렐린의 처리 효과" 한국원예학회 44 (44): 388-392, 2003

      5 이승연, "몇 가지 춘계단명 자생식물 종자의 형태적, 형태생리적 휴면" 한국화훼학회 20 (20): 193-199, 2012

      6 Baskin, J.M., "Underdeveloped embryos in dwarf seeds and implications for assignment to dormancy class" 15 : 357-360, 2005

      7 Adams, C.A., "Trait stasis versus adaptation in disjunct relict species: Evolutionary changes in seed dormancy-breaking and germination requirements in a subclade of Aristolochia subgenus Siphisia (Piperales)" 15 : 161-173, 2005

      8 Hammer, K., "Towards a ‘red list’ for crop plant species" 52 : 249-265, 2005

      9 Vandelook, F., "The role of temperature in post-dispersal embryo growth and dormancy break in seeds of Aconitum lycoctonum L" 204 : 536-542, 2009

      10 Martin, A. C., "The comparative internal morphology of seeds" 36 : 513-660, 1946

      1 이상태, "한국산 꿩의다리속(Thalictrum L.) 식물의 화분학적 연구와 분류학적 재검토" 한국식물분류학회 37 (37): 447-476, 2007

      2 강정희, "지리산바위솔과 제주연화바위솔 종자의 형태특성 및 저온과 GA에 대한 발아 반응" 한국원예학회 28 (28): 913-920, 2010

      3 김윤경, "봉지 재배가 ‘만풍배’의 과피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28 (28): 36-40, 2010

      4 이호선, "모데미풀 종자 발아를 위한 온도 및 지베렐린의 처리 효과" 한국원예학회 44 (44): 388-392, 2003

      5 이승연, "몇 가지 춘계단명 자생식물 종자의 형태적, 형태생리적 휴면" 한국화훼학회 20 (20): 193-199, 2012

      6 Baskin, J.M., "Underdeveloped embryos in dwarf seeds and implications for assignment to dormancy class" 15 : 357-360, 2005

      7 Adams, C.A., "Trait stasis versus adaptation in disjunct relict species: Evolutionary changes in seed dormancy-breaking and germination requirements in a subclade of Aristolochia subgenus Siphisia (Piperales)" 15 : 161-173, 2005

      8 Hammer, K., "Towards a ‘red list’ for crop plant species" 52 : 249-265, 2005

      9 Vandelook, F., "The role of temperature in post-dispersal embryo growth and dormancy break in seeds of Aconitum lycoctonum L" 204 : 536-542, 2009

      10 Martin, A. C., "The comparative internal morphology of seeds" 36 : 513-660, 1946

      11 Korea National Arboretum, "Thalictrum uchiyamai Nakai"

      12 Niimi, Y., "Temperature affecting embryo development and seed germination of Christmas rose (Helleborus niger) after sowing" 107 : 292-296, 2006

      13 Baskin, C.C., "Seeds: Ecology, biogeography, evolution of dormancy and germination" Academic Press 1998

      14 Walk, J.F., "Seeds of Thalictrum merabile (Ranunculaceae) require cold stratification for loss of nondeep simple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77 : 1769-1776, 1999

      15 Baskin, C.C., "Seed germination ecophysiology of the woodland spring geophyte Erythronium albidum" 146 : 130-136, 1985

      16 Kondo, T., "Seed dormancy in Trillium camschatcense (Melanthiaceae) and the possible roles of light and temperature requirements for seed germination in forests" 92 : 215-226, 2011

      17 Vandelook, F.,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of the European Chaerophyllum temulum (Apiaceae), a member of a trans-atlantic genus" 100 : 233-239, 2007

      18 Harper, J.L., "Population biology of plants" Academic Press 1977

      19 Nikolaeva, M. G., "Pattern of seeds dormancy and germination as related to plant phylogeny and ecologic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ir habitats" 46 : 369-373, 1999

      20 Yeam, D.Y., "Optimum seed coat scarification and light treatment for the germination of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seed" 7 : 179-185, 1985

      21 Copete, E., "Non-deep complex morphophysiological dormancy in seeds of the Iberian Peninsula endemic geophyte Merendera Montana (Colchicaceae)" 21 : 1-15, 2011

      22 김현진, "Influence of Dry Storage Duration, Gibberellic Acid, and Priming on Germination of Aster koraiensis at Low Temperature" 한국원예학회 51 (51): 471-476, 2010

      23 Takahashi, H., "Germination ecology of Heloniopsis orientalis (Liliaceae)" 8 : 1-8, 1984

      24 나영진, "GA3, 냉습저장, 무기염 처리가 동의나물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훼학회 16 (16): 174-178, 2008

      25 Nomizu, T., "Embryo development and seed germination of Hepatica nobilis Schreber var. japonica as affected by temperature after sowing" 99 : 345-352, 2004

      26 Kondo, T., "Ecophysiology of seed germination in Erythronium japonicum (Liliaceae) with underdeveloped embryos" 89 : 1779-1784, 2002

      27 Woong-Ki Min, "Development of New Molecular Markers for the Identification of Male Sterile Cytoplasm in Peppers (Capsicum annuum L.)" 한국원예학회 29 (29): 53-60, 2011

      28 Fuse, S., "Biosystematic studies on the genus Heloniopsis (Melanthiaceae) II. Two new species from Korea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evidence" 53 : 949-958, 2004

      29 Baskin, J.M., "A classification system for seed dormancy" 14 : 1-16,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74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3 1.11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