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신사회 운동의 현황과 과제 : 생명운동과 환경운동 중심으로 =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to be solved of New-civil movement in Korea : Mainly concerned with Life movement and Environment m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6590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글은 생명위기의 시대를 맞아 우리의 생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신사회운동이라 생각되어 신사외운동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 알아보는 글이다. 한국에서의 신사회운...

      이글은 생명위기의 시대를 맞아 우리의 생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신사회운동이라 생각되어 신사외운동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 알아보는 글이다.
      한국에서의 신사회운동은 노동운동,시민운동,환경운동,지역주민운동 등이 거의 동시에 터져나오게 되는데 이글에서는, 우리들이 직접 생활 주변에서부터 실천할 수 있는 환경운동과 생명운동에 한해 알아본다.
      한국의 환경운동은 80년대 민주화운도의 연장선에서 생겨나 90년대부터 시민운동의 하나로 자리 잡았는데 ‘92년 리우 유엔 환경 개발회의' 이후 환경에 대한 정부 ,기업, 일반시민들의 의식에 큰 변화가 온다 즉 ’환경‘담론이 크게 확산되어 시민들에게 환경교육과 환경의식을 심어주었고, 또한 전문 환경단체중심에서 일반사회단체로 환경운동이 확산되어 환경대상이, 기업의 산업 공해 중심에서 생태계 문제, 생명운동,반핵운동,대기오염,지구온난화,쓰레기 문제 등으로 운동의 영역이 이동하였다.
      환경운동의 발전방향은
      -공익을 추구하는 환경운동
      -생활양식의 변화를 추구하는 환경운동
      -국경을 넘어선 환경운동
      -생태환경을 지키는 환경운동
      어느 사회건 정부나 대기업의 위로부터 개혁을 통해 환경문제가 개선된 적은 없다. 시민의 끈질긴 운동과 요구, 지식인들의 이념 비판운동을 결합한 결과 이루어진다.
      생명운동은 기존의 가치관 즉 죽임의 문명에 대항하여 새로운 생활양식,새로운 문화,새로운 사회와 세계를 창출한다는 운동이다.
      이 운동의 계기는 생협운동이며 이의 출발점으로는 유기 농산물 직거래를 통한 밥상 살리기 운동을 택하고 있다. 생협운동은 5-10명의 작은 공동체를 단위로 나눔과 혐동을 실천하고 나아가 다른 공동체와의 연대를 가짐으로서 개인의 생활양식과 가치관을 바꾸려는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주부들을 중심으로 무점포형 공동구매 운동으로 시작하나 궁극적으로는 “지역사회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보다 인간적이고 유기적인 삶의 회복”을 지향한다.
      이 운동의 전략은 일차적으로 유통과정을 개선시킴으로서 한편에서는 도시 소비자를 소비 공동체로 묶어내고 농촌생산자는 생산공동체로 묶어내어 이들을 하나의 공동체로 연결함으로서 상품경제에서 가지는 상호 불신을 신뢰로 바꾼다
      신사회운동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각종위기와 관련된 시민의 불안과 위기의식 고조
      -막연한 위기의식을 운동으로 동원할 수 있는 각종 형태의 조직 역량의 활성화
      -현대 산업사회의 위기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의식화
      -시민 단체 및 집단들에 대한 영향력 강화
      -대안적 형태의 정책 개발
      -소집단 중심의 대안적 생활 공동체의 실천
      -기타 지역 시민 운동 단체들과의 국제적 연대
      한국의 신사회 운동의 당면 과제는
      첫째: 환경운동은 성장주의 물질주의 소비주의에 빠져있는 자본주의 사회의 생활세계를 환경/생태 친화적으로 재구성하는 신생활양식으로 발전해야 한다.
      둘째:여성운동은 당분간 비당파성을 견지하면서 권력추구를 거부하는 순수한 사회개혁 세력으로서 운동에 몰두하여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대중적 기반을 획득해야 한다.
      셋째:지역주의 운동을 해야한다.
      농장형, 단지형공동체, 아파트주민의생활,문화공동체, 새로운실험학교, 자유학교 등를 추구하는 지역공동체운동이 도시와 농촌에 확산되고 있다.
      이 운동은 자율성과 평등성이라는 이념적 급진성을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주목할 만한 신사회운동의 형태로 간주된다. 소규모단위의 집단에서라도 자신들의 생활양식을 새롭게 변화시켜나간다면 언젠가 밑으로부터의 풀뿌리적 사회혁명을 위한 토대가 구축될 것이다.
      즉 국가로부터 시민사회를 거쳐 공동체로 나아가기 위한 우리는 수많은 소규모공동체 운동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ssage has a purpose on describing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to be solved of new civil movement, because I think new civl movement is the first thing to be done to solve our problems related to life. To describe new civil movement in K...

      This passage has a purpose on describing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to be solved of new civil movement, because I think new civl movement is the first thing to be done to solve our problems related to life.
      To describe new civil movement in Korea, I have to put at least four or more notions at the same time-labor movement, civil movement, environment movement, regional movement, etc. But this time, I will discuss environment and life movement which can be easily practicable in our daily life.
      Environment movement in Korea took its root in 80's democratic resistance and it was grounded in 90's as one kind of civil movement. After United Nations Conference of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n Lio de Janeiro in 1992, there was a great change in the way people in government, corporations, and orinary citizens think about the environment. In other words, discussion on environment has become so prevalent that many citizens could able to remin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and its education. In addition, environment movement became prevalent in ordinary groups-before, only professional environment groups leaded such movements-. Therefore, contents of discussion have became extended from industrial pollution in corps to ecosystem, life movement, anti-nuclear movement, global warming, air pollution, garbage problem, etc.
      Environment movement should be progressed and leaded to four right ways:
      -movement pursuing public benefit
      -movement pursuing change of way of life
      -movement beyond the border
      -movement that keeps ecological surroundings
      Environment problems have never been solved by pressure from the government or large enterprises. There is no such example in any society. It can be solved only by patient movement of citizens, criticism for ideology of the intellectual class, and the combination of two. In short, life movement is the act of creating new way of life, new culture, new society, and new world, against the civilization of death and killing.
      The beginning of this movement is life-collaboration movement. This movement is excuted by direct transantions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which is aimed at 'living table movement'. This life-collaboration movement has a common purpose of changing the way of life and one's values of individual by collaboration of little communities which are organized by 5 to 10 people, especially valuntary and independent housewives. And ultimately, it intends to improve regional environment and recover humanic and organic life.
      The main tactic of this movement is improving circulation environmnet so that consumers in cities can cooperate in consumer community and producers in farming areas can work in the producer community at the same time. And by connecting these two commuties, mutual distrust in marchandise economy can be changed to mutal trust.
      To make this new civil movement improve,
      -Citizens' awareness of crisis and anxiety should be stimulated.
      -Various kinds of organizations should show its power to turn vague anxiety into organized movements
      -The general public should aware crisis of industrialized society
      -Alternative kinds of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Alternative communities in forms of small communities should be mad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with other civil movements organizations shoud be made
      In conclusion, faced problems awaiting solutions of civil movement in Korea are as follows :
      First, environmental movements should be improved, and it should change this society of materialism and capitalism into pro-environmental society.
      Second, feminism movement should avoid party feelings for the time being, and it should also refuse authority as it is pure energy pursuing reformation of society so that it can acquire the mass support of general public.
      Third, movements should be made in forms of communities.
      Many communities pursuing free and alternative movements are being prevalent all over the cities and rural areas. For example, farming communities, apartment residents communities, culture communities, alternative school communites and so on.
      This kinds of movements are worth attention because they are based on ideological radicalism like voluntary equality. Although in small communities, we should keep making voluntary efforts to change our living style and environments. Then it will greatly contribute to making a base for a reformation of society which is lead by the populace. To conclude, we should generate numerous movements in forms of small communities for the era of community and civil society, not the era of n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Abstract> = ⅰ
      • 제1장 서론 연구목적과 전개방법 = 1
      • 제2장 한국시민사회화 신사회운동 = 5
      • 1. 한국 시민 사회의 역사적 전개 = 5
      • 목차
      • <Abstract> = ⅰ
      • 제1장 서론 연구목적과 전개방법 = 1
      • 제2장 한국시민사회화 신사회운동 = 5
      • 1. 한국 시민 사회의 역사적 전개 = 5
      • 1) 한국권위주의 체제의 등장과 한국 시민사회 = 5
      • 2) 군부통치체제의 등장과 한국 시민사회 = 9
      • 3) 1987년 이후의 한국 시민사회 = 15
      • 2. 서구와 한국의 신사회운동의 비교 = 18
      • 1) 서구 신사회운동의 이론적 지평 = 18
      • 2) 한국의 신사회운동 = 25
      • 제3장 한국 신사회 운동의 현황과 평가 = 35
      • 1. 한국 시민사회와 환경운동 = 36
      • 1) 한국의 환경 문제 = 37
      • 2) 한국의 환경운동 = 43
      • 2. 한국 시민사회와 생명운동 = 49
      • 1) 생명운동의 이념 = 50
      • 2) 생명운동의 현황 = 52
      • 3. 신사회운동의 평가 = 62
      • 1) 환경운동 = 62
      • 2) 생명운동 = 65
      • 제4장 결론 = 70
      • 참고문헌 = 73
      • <국문초록> = 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