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과정평가(LCA) 방법을 이용한 건축물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 방법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Buildings based on Life Cycle Assessment (LCA) Method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271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함께 건설산업에서도 건축물로 인한 환경영향을 저감하고자 하는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이산화탄소에 집중되어 왔다. 하지만, 이산화탄소...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함께 건설산업에서도 건축물로 인한 환경영향을 저감하고자 하는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이산화탄소에 집중되어 왔다. 하지만, 이산화탄소로 대표되는 지구온난화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영향이 존재하며, 해외에서는 이러한 환경영향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이 적극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로 인한 환경영향을 보다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6가지의 환경영향 범주를 정의하였다. 즉, 지구온난화, 오존층파괴, 자원고갈, 산성화, 부영양화, 광화학산화를 환경영향 범주로 정의하고, 평가 기준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환경영향 범주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2가지 비교 설계안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시행한 결과, 지구온난화만을 평가한 것과는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이산화탄소로 대표되는 지구온난화 지수를 기준으로 비교하면 2안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6가지 영향범주 모두를 평가한 결과에서는 1안이 우수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지구온난화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영향을 포함하여 평가하는 것이 보다 타당한 결과 도출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건축물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6가지 환경영향 범주를 사용한다면, 보다 타당한 결과의 도출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the studies on reduction of buildings' environmental burde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ve been focused on carbon dioxide emission, although there are various kinds of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global warming, acidification, and etc. whi...

      Most of the studies on reduction of buildings' environmental burde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ve been focused on carbon dioxide emission, although there are various kinds of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global warming, acidification, and etc. which are considered by many researchers. Therefore, this study defined and suggested six impact categories and the principles to assess each impact for the assessment of comprehensive environmental impacts of buildings. The six impact categories are abiotic depletion, global warming, ozone layer depletion, acidification, eutrophication, and photochemical oxidation. A case study has been conduct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wo structural design alternatives to confirm the necessity of assessing the six impact categories. That is, the results of global warming potential and the six impacts proposed in this study were compar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only global warming potential, the second design alternative using 24MPa concrete was chosen as a better alternative, while the first design alternative using 21MPa concrete was resulted as a better alternative when six impact categories were considered. The results mean that the assessment of various environmental impacts is an appropriate and reasonable approach and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offers more reliable results of environmental impacts in the building constru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성적표지제도 안내"

      2 AirKorea, "통합대기환경지수(CAI)의 개요"

      3 이강희, "주요 건축자재의 에너지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원단위 산정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43-50, 2009

      4 오길종, "전과정평가기법을 이용한 생활폐기물 관리 지원시스템 개발(Ⅰ)-수집∙운반을 중심으로" 국립환경과학원 36-, 2008

      5 이시영, "전과정평가(LCA)를이용한 공공시설물에서의 환경부하량에 따른 환경영향평가에 관한 연구-S댐 비상여수로 건설사업 사례연구" 56 (56): 47-53, 2008

      6 홍태훈, "산업연관분석법을 이용한 강도에 따른 구조용 강재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데이터 구축" 한국건설관리학회 13 (13): 132-140, 2012

      7 채창우, "건축자재 환경성정보 국가D/B 구축사업 최종보고서" 국토해양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87-292, 2008

      8 백정훈, "건축물 계획단계 LCCO_2 평가시스템의 필요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12 (12): 31-41, 2011

      9 Bare, J.C., "TRACI: The Tool for the Reduction andAssessment of Chemical and Other EnvironmentalImpacts" 6 (6): 49-78, 2003

      10 Hauschild, M., "Spatial differentiation in life cycle assessment? the EDIP 2003 methodology"

      1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성적표지제도 안내"

      2 AirKorea, "통합대기환경지수(CAI)의 개요"

      3 이강희, "주요 건축자재의 에너지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원단위 산정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43-50, 2009

      4 오길종, "전과정평가기법을 이용한 생활폐기물 관리 지원시스템 개발(Ⅰ)-수집∙운반을 중심으로" 국립환경과학원 36-, 2008

      5 이시영, "전과정평가(LCA)를이용한 공공시설물에서의 환경부하량에 따른 환경영향평가에 관한 연구-S댐 비상여수로 건설사업 사례연구" 56 (56): 47-53, 2008

      6 홍태훈, "산업연관분석법을 이용한 강도에 따른 구조용 강재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데이터 구축" 한국건설관리학회 13 (13): 132-140, 2012

      7 채창우, "건축자재 환경성정보 국가D/B 구축사업 최종보고서" 국토해양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287-292, 2008

      8 백정훈, "건축물 계획단계 LCCO_2 평가시스템의 필요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12 (12): 31-41, 2011

      9 Bare, J.C., "TRACI: The Tool for the Reduction andAssessment of Chemical and Other EnvironmentalImpacts" 6 (6): 49-78, 2003

      10 Hauschild, M., "Spatial differentiation in life cycle assessment? the EDIP 2003 methodology"

      11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patial differentiation in Life Cycle impact assessment-The EDIP 2003 methodology" EPA, Danish Ministry of the Environment 43-, 2005

      12 Goedkoop, M, "SimaPro Database Manual Methods Library" 9-12, 2008

      13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Scientific Assessment of Ozone Depletion:2006, Chapter 8, In Ozone Depletion Potentials, and Global Warming Potentials" WMO 2006

      14 Hong T, "Predicting the CO2 Emission of Concrete Using Statistical Analysis" 2 (2): 53-60, 2012

      15 Derwent, R.G, "Photochemical ozone creation potentials for organic compounds in Northwest Europe calculated with a master chemical mechanism" 32 (32): 2429-2441, 1998

      16 UN, "Montreal Protocol on Substances that Deplete the Ozone Layer"

      17 Guinee, J. B., "Life cycle assessment: An operational guide to the ISO standards" Ministry of Housing, Spatial Planning and the Environment (VROM) and Centre of Environmental Science-Leiden University (CML) 65-66, 2001

      18 Bare J.C,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Workshop Summary Midpoints versus Endpoints: The Sacrifices and Benefits" 5 (5): 319-326, 2000

      19 Crawford R, "Life Cycle Assessment in the Built Environment" Taylor and Francis 2011

      20 염은숙, "LCC분석법을 이용한 친환경 건축 요소기술의 경제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28 (28): 655-658, 2008

      21 김윤덕, "LCC-LCA 통합 분석에 의한 친환경 건설기술 평가방법" 한국건설관리학회 12 (12): 91-100, 2011

      22 홍태훈, "LCC and LCCO2 analysis of green roofs in elementary schools with energy saving measures" ELSEVIER SCIENCE SA 45 (45): 229-239, 201202

      23 정영선, "LCA 프로그램을 이용한 건축물의 환경부하 및 경제성 평가 사례" 23 (23): 749-752, 2003

      24 이관호, "LCA 및 LCC를 고려한 환경친화적 리모델링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3 (23): 57-67, 2003

      25 UN, "Kyoto Protocol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ited Nations 1997

      26 Hong T, "Integrated model for assessing the cost and CO 2 emission (IMACC) for sustainable structural design in ready-mix concrete" ACADEMIC PRESS LTD- ELSEVIER SCIENCE LTD 103 (103): 1-8, 201207

      27 ISO, "Environmental Management-Life Cycle Assessment-Principles and Framework"

      28 Heijungs, R., "Environmental Life Cycle Assessment of products. Guide and Backgrounds" CML, Leiden University 1992

      29 Hong T, "Energy Saving Techniques for Reducing CO2 Emission in Elementary Schools" 28 (28): 1-12, 2012

      30 IPCC Working Group,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1 신재규, "CO2 배출량에 따른 노후 공동주택의 재건축 판단 방안 연구" 29 (29): 661-664, 2009

      32 홍태훈, "A decision support model for improving a multi-family housing complex based on CO2 emission from gas energy consumption" PERGAMON-ELSEVIER SCIENCE LTD 52 (52): 142-151, 201206

      33 녹색성장위원회, "2020년 저탄소 녹색사회 구현을 위한로드맵, 부문별.업종별.연도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확정"

      34 환경부, "2010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10-33,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2-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 0.772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