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가 가치론의 다양성에 대한 범주적 담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934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가 사상을 내재적 가치론, 외재적 가치론, 중용적 가치론이라는 세 범주로 나누어 정립과 반정립의 테제를 분석한다면 그 특수성과 제약성을 매우 엄밀하게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유가적 ...

      유가 사상을 내재적 가치론, 외재적 가치론, 중용적 가치론이라는 세 범주로 나누어 정립과 반정립의 테제를 분석한다면 그 특수성과 제약성을 매우 엄밀하게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유가적 가치론에 대한 범주화는 궁극적으로 유가 사상의 현대 사회에로 적용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보편적 담론 주제를 유가 사상 내부로부터 도출하려는 것이다.

      <1>내재적 가치론: 내재적 본성(가치의 근거)→본성의 전개(수양)→자기완성.
      <2>외재적 가치론: 모범적 가치 모델→모델의 학습→가치 상승.
      <3>중용적 가치론: 대대적 구조의 의사소통→다자 사이의 균형과 조화로서의 가치 창출.

      첫째로 내재적 가치론이란 인간의 타고난 심성에서 가치를 찾는다. 내재적 가치론은 모든 좋은 이치가 자기 자신에게 갖추어져 있다는 신념을 갖는다. 내재적 가치론에 근거한 주요 학설로는 공자의 위기지학(爲己之學), 맹자의 성선설(性善說), 성리학의 ‘본성이 곧 이치(性卽理)’라는 학설, 양명학의 양지설(良知說), 모종삼의 ‘내재 즉 초월’, 블룸(Irene Bloom)의 내재성 해석, 뚜 웨이밍의 자기실현(self-realization) 등이 있다. 그러나 내재적 가치론이 과도한 주관주의로 흐를 경우 부정적 경향을 가져오기도 한다. 즉 내재적 가치의 인식과 관련하여 자기 읽기의 오해가능성이 동반되기도 하며, 내면으로의 과도한 침잠은 서로의 약점을 토론하여 개선할 수 있는 공적 담론의 장을 약화시키기도 한다. 내재적 가치론은 이러한 자기제약을 스스로 인지하고 있을 때 유력한 가치론으로서 기능할 것이다.내재적 가치론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유가 사상이 추구했던 자기 개발과 자기 주시의 열정이 어떻게 삶을 향상시키는지를 일반화할 것이다. 둘째로 외재적 가치론이란 작위에 의한 권위적인 패러다임을 만들어 이를 수행함으로써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경우로, 목적합리성과 도구적 이성을 이론적 기초로 사용한다. 외재적 가치론에 따르면 인간은 작위를 통하여 더 좋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외재적 가치론에 근거한 주요 학설로는 공자의 주(周)나라 복고주의, 순자의 학습이론, 주자의 독서법, 엠즈(Roger T. Ames)의 문화결정론, 쿠아(Antonio S. Cua)의 패러다임적 모델 이론 등이 있다. 물론 외재적 가치론은 미메시스적 모방에 의한 주체의 진정성과 열정이 결여됨으로써 나태함으로 흐르는 약점을 극복할 때 유력한 이론이 될 수 있다. 유가의 외재적 가치론이란 철권통치에 의한 완전한 강제가 아니라 제도, 문화, 법 등과 같은 사회의 공적 장치에 의해서 삶을 향상시키려는 문화주의적 태도를 가리키며, 유가 학습이론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였다고 평가된다. 셋째로 중용적 가치론이란 가치를 미리 결정하지 않고 의사소통적 과정을 통해 적절한 가치의 지점을 찾아가는데서 성립한다. 중용적 가치론은 주체나 대상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기보다 양쪽의 의사를 존중하는 상호주관적(inter-subjective) 태도를 추구한다. 음/양, 남/녀, 왕/래, 출/입, 허/실 등의 대대적 구도에서 양쪽 모두를 고려한다는 점에서 양가적(ambivalent) 태도를 취한다. 중용적 가치론에 기초한 주요 학설로는 공자의 문질(文質)론과 중용(中庸) 정신, 정이천의 무과불급(無過不及), 주자의 중화신설, 그래이엄(A. C. Graham)의 상관적 사고 등이 있다. 조화와 균형을 추구하는 중용적 가치론은 편애적 태도를 버리고 다양성을 포괄한다는 점에서 공적 담론을 통하여 여러 가치의 교류를 유도할 수 있다. 주체의 자기 결정이 사라진 중용은 부리단의 노새처럼 양쪽 어느 건초에도 가지 못하고 중간에서 자기 함몰에 빠질 수 있다. 상관적 도식에 의한 구조주의적 결정론에 의한 중용 해석은 대대적 형식만 존재하고 구체적 결단이 그 사이에서 증발해버리고 정치적 보수주의 혹은 허무주의로 경도될 수 있다. 중용적 가치론이 이러한 약점들을 고려할 때 오히려 더욱 현실타당한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유가적 가치론에 대한 범주적 담론은 유가 사상의 이론적 명료성을 한층 향상시키리라고 보인다. 내재적 가치론, 외재적 가치론, 중용적 가치론이라는 세 범주에 따라 정립과 반정립의 테제를 분석한다면 유가적 가치론의 다양성과 그 특징들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유가적 가치론에 대한 범주화는 궁극적으로 현대 사회에의 적용가능성을 타진할 것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현대의 보편적 담론 주제를 유가 사상 내부로부터 도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