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영역 구안 = A Study on the Teachers' Competency Domain Development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86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teachers’ competency domain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analyzed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associated with multicultural content General Studies, National 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teachers’ competency domain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analyzed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associated with multicultural content General Studies, National College of Education's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multicultura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competency category. The content categories and sub-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curriculum extract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were examined through experts review.
      The results for this study could be arranged as follows :First, the roles of teacher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divided into learning and life aspects. Second, the teacher competency categor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as extracted into the knowledge, the teaching skills and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the each sub-element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e teacher competency categ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make sure to be applied as the basic data for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model and the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영역을 구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초․중등교육과정, 전국 교육대학 교육과정, 교사연수프로그...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영역을 구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초․중등교육과정, 전국 교육대학 교육과정, 교사연수프로그램 내용에 관한 현황 분석과 다문화교육 교사 역량 범주 및 요소 등을 추출하였다. 연구과정을 통해 추출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영역은 전문가 검토를 통해 최종안을 구안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은 학습적인 측면과 생활적인 측면에서의 역할로 구분하였다. 둘째,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범주는 다문화교육을 위한 지식,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기술, 다문화교육을 위한 인식과 태도로 추출하였다. 셋째,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범주에 따른 각 하위요소들이 추출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다문화 교사교육과정 모형과 교사연수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pencer, L.,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 PSI 컨설팅 1998

      2 장원순, "한국사회에 적합한 다문화교사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57-79, 2009

      3 박남수,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213-232, 2007

      4 김시나, "초등 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의 유형화 : 교육내용의 범위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김영옥, "유아 다문화교육의 통합적 적용" 학지사 2008

      6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예비교원을 위한 교사론" 교육과학사 1997

      7 김종운, "예비교사를 위한 교직실무" 동문사 2010

      8 소경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0, 2009

      9 전희옥, "문화호응적인 다문화 교사 교육기관 교육과정 탐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8 (18): 121-135, 2011

      10 변숙영, "마이스터고 교원 역량 인식 조사" 교육연구원 28 (28): 185-200, 2012

      1 Spencer, L.,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 PSI 컨설팅 1998

      2 장원순, "한국사회에 적합한 다문화교사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57-79, 2009

      3 박남수,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213-232, 2007

      4 김시나, "초등 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의 유형화 : 교육내용의 범위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김영옥, "유아 다문화교육의 통합적 적용" 학지사 2008

      6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예비교원을 위한 교사론" 교육과학사 1997

      7 김종운, "예비교사를 위한 교직실무" 동문사 2010

      8 소경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20, 2009

      9 전희옥, "문화호응적인 다문화 교사 교육기관 교육과정 탐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8 (18): 121-135, 2011

      10 변숙영, "마이스터고 교원 역량 인식 조사" 교육연구원 28 (28): 185-200, 2012

      11 윤갑정, "다문화시대 유아교사의 문화적 역량 개발 방향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55-85, 2008

      12 김영순, "다문화사회와 시민교육 : ‘다문화 역량’을 중심으로" 18 : 33-59, 2010

      13 최종덕, "다문화사회와 다문화 시민교육의 방향" 교육연구원 28 (28): 185-206, 2012

      14 안병환, "다문화사회에서의 예비교사교육 방향 탐색"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1-21, 2010

      15 구정화, "다문화교육 이해" 동문사 2009

      16 모경환,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효과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75-99, 2009

      17 허창수,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제언"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77-101, 2010

      18 박명희, "다문화교육 강좌를 통한 예비교사들의 다문화 역량 변화"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55-176, 2012

      19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가정 학생 5만 명 시대!"

      20 장인실,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 교육과정 모형 탐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281-305, 2008

      21 장인실, "다문화 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이 한국 교사 교육과정 개혁에 주는 시사점"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9-431, 2003

      22 나장함, "다문화 교육 관련 다양한 접근법에 대한 분석 :이론과 교육과정 변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9 (49): 97-119, 2010

      23 나장함, "다문화 교사교육과정 연구에 대한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173-197, 2011

      24 모경환, "다문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사례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31-53, 2010

      25 조대훈, "다문화 감수성의 증진을 위한 다문화 수업모형 개발" 교육문제연구소 46 : 29-65, 2009

      26 안창선, "교사론" 교육과학사 2004

      27 장선영, "교사 역량에 대한 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문제연구소 (30) : 79-107, 2008

      28 정정희, "결혼 이주여성 자녀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지원 방안" 경북대학교 2006

      29 Vavrus, M., "Transform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f Teachers: Theory and research and practice" Teachers College Press 2002

      30 Daskolia, M., "Theory formulation and empirical investigation of a conceptual model of teachers' competen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8 : 249-267, 2003

      31 Short, E. C., "The concept of competence : Its use and misuse in education" 36 (36): 2-6, 1985

      32 Klemp, G. O., "The assessment of occupational competenc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1980

      33 Huntly, H., "Teacher's work : Beginning teachers' conceptions of competence" 35 (35): 125-145, 2008

      34 Ramsey, P. G. (1990).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Jensen, M. A. & Chevalier, Z. W. (Ed. ),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Issues and advocac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llyn and bacon 302-305, 1990

      35 Banks, J. A., "Education Citizens in a multicultural society" Teachers College Press 2007

      36 Gay, G.,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In Pluralism and the American teacher: Issues and case studies" American Association for College of Teacher Education 1977

      37 Bennett, C. I.,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Pearson education Inc 2007

      38 Gorski, P., "Complicity with conservation : The de-politicizing of multicultural and intercultural education" 17 (17): 163-177, 2006

      39 Dubois, D.,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HRD Press 1993

      40 Short, E. C., "Competence reexamined" 34 (34): 201-207,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