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이버 대학에서 학습자 특성 및 학습 활동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3P 모형을 활용한 학습분석적 접근 = (Re)Binding the Factors Affecting Student Learning Outcomes in a Cyber University Using the 3P Model: Learning Analytics Approach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658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A 사이버 대학에서 Biggs의 3P 모형을 기반으로 전조(Presage), 과정(Process), 결과(Product)요소들에 대한 상호 연관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이버 대학과 관련한 선행연구들...

      본 연구는 A 사이버 대학에서 Biggs의 3P 모형을 기반으로 전조(Presage), 과정(Process), 결과(Product)요소들에 대한 상호 연관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이버 대학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은 분명하게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학습자 특성 요소들과 학습 결과에 대한 연관성을 꾸준히 탐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선행 연구의 결과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 분석적 접근 방법을 통하여 전조, 과정, 결과 요소들이 사이버 대학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어떤 연관성을 내포하는지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Biggs의 3P 모형을 프레임워크로 설정하고, 모형의 각 세 가지 요소, 전조, 과정,결과 요소들의 상호 연관성을 탐색하였다. 2013학년도 2학기와 2014학년도 1학기에 총 14,105명 학습자들의 교수-학습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로지스틱 순차적 회귀 분석을 통하여 적절한 모형 핏(Model Fit)과 높은 예측성을 내포한 로짓 모형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는 여섯 가지의 학습자 특성 -전공, 성별, 나이, 학력, 직업, 학년 - 과 두 가지 학습과정 요소들 - 콘텐츠 접속 비율, 게시판 참여수-가 학습 결과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하게 학습자들의 학습 과정 요소들은 학업 성취와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의 학업 결과가 단순히 하나 혹은 두가지의 학습자 특성 혹은 학습 과정 요소로 예측할 수 있는 현상이 아니라 교수-학습을 이루고 있는 여러 가지 요소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현상임을 나타내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resage, process, and product factors drawn from Biggs’ 3P model in one cyber university. Although previous studies thoroughly and clearly foun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one or two student cha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resage, process, and product factors drawn from Biggs’ 3P model in one cyber university. Although previous studies thoroughly and clearly foun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one or two student characteristics factors and learning outcomes, the current study aimed at extending those findings into holisticall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among those factors by using learning analytics (educational data mining) approaches. The framework was drawn from Biggs’ 3P model; each P factor was examined to comprehe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esage, process, and product factors. A total of 14,105 aggregated student data were colle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ing to student learning outcomes during the last two semesters-Fall, 2013, and Spring, 2014. Logit model from logistic sequential regression showed a sound predictability and model fit. The results showed that six student characteristics-academic discipline,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jobs, and year-and two learning process factors-content-to-access ratio and the numbers of participation in the course bulletins-were closely related to student learning outcomes. Specifically, student learning process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ones that mostly affected student learning outcomes. These findings implied that student learning outcomes were not simply predicted by one or two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processes, but rather were the complicated interaction of factors in a cyber univers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종정, "학습참여활동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에 대한 연구: O 사이버대학 LMS 중심으로" 한국정보기술학회 10 (10): 97-103, 2012

      2 조일현, "학습분석학을 활용한 e-러닝 학업성과 추정 모형의 통계적 유의성 확보 시점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9 (29): 285-306, 2013

      3 박연정, "학습관리시스템의 대시보드 설계를 위한 학습자 중심 요구분석: 분석과 설계 도구로서 활동이론의 적용" 한국교육공학회 30 (30): 221-258, 2014

      4 박연정, "학습 분석학 기반 대시보드의 설계와 적용"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191-216, 2014

      5 조용상, "학습 분석 기술 활용 가능성 및 전망 : 유즈케이스와 서비스 모형" 31 (31): 73-80, 2014

      6 정인성, "평생교육을 위한 웹 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효과 분석" 16 (16): 223-246, 2000

      7 조일현,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시간관리 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분석학적 접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83-107, 2013

      8 황성현, "원격대학에서 인구학적 변인 및 상호작용 유형과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35-54, 2008

      9 김원경,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자-학습자 간,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23-46, 2006

      10 주영주, "사이버대학생의 직장 유무에 따른 고립감, 상호작용, 콘텐츠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지속의향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25-540, 2012

      1 우종정, "학습참여활동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에 대한 연구: O 사이버대학 LMS 중심으로" 한국정보기술학회 10 (10): 97-103, 2012

      2 조일현, "학습분석학을 활용한 e-러닝 학업성과 추정 모형의 통계적 유의성 확보 시점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9 (29): 285-306, 2013

      3 박연정, "학습관리시스템의 대시보드 설계를 위한 학습자 중심 요구분석: 분석과 설계 도구로서 활동이론의 적용" 한국교육공학회 30 (30): 221-258, 2014

      4 박연정, "학습 분석학 기반 대시보드의 설계와 적용"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 (20): 191-216, 2014

      5 조용상, "학습 분석 기술 활용 가능성 및 전망 : 유즈케이스와 서비스 모형" 31 (31): 73-80, 2014

      6 정인성, "평생교육을 위한 웹 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효과 분석" 16 (16): 223-246, 2000

      7 조일현,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시간관리 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분석학적 접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83-107, 2013

      8 황성현, "원격대학에서 인구학적 변인 및 상호작용 유형과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35-54, 2008

      9 김원경,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자-학습자 간,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23-46, 2006

      10 주영주, "사이버대학생의 직장 유무에 따른 고립감, 상호작용, 콘텐츠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지속의향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25-540, 2012

      11 김보나,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인구학적 특성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기술학회 9 (9): 213-219, 2011

      12 정봉영,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 분석-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0 (10): 127-150, 2004

      13 임연욱, "사이버대학 학습자관련 변인과 중도탈락 간의 관계 규명을 위한 실증적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1 (11): 205-219, 2007

      14 장은정, "사이버대학 질 관리 준거 개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8 (28): 103-136, 2012

      15 한승연, "사이버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모델링" 한국교육방법학회 24 (24): 837-862, 2012

      16 박종선, "사이버대학 교과특성에 따른 수업운영요인의 효과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9 (29): 723-749, 2013

      17 강민석, "사이버대학 e-러닝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참여 변인 규명"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0 (10): 135-143, 2009

      18 한국원격대학협의회, "사이버 대학종합정보 대학정보현황"

      19 서순식, "사이버 대학 학생정원기본방향 설정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20 송상호, "사이버 대학 역할정립 및 발전 전략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4

      21 한국교육개발원, "대학의 교수학습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 4년제 대학의 교수학습역량 진단" 한국교육개발원 2014

      22 "대학알리미"

      23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2013년 학과(전공)분류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2013

      24 Tabachinick, B. G.,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Pearson Education 2012

      25 Dietz-Uhler & Hurn, "Using Learning Analytics to Predict and Improve Student Success : A Faculty Perspective" 12 (12): 17-26, 2013

      26 Kember, D., "Understanding the ways in which design features of educational websites impact upon student learning outcomes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55 (55): 1183-1192, 2010

      27 Baker, R., "The Cambridge Handbook of Learning Scien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3-272, 2014

      28 Biggs, J., "Teaching for Quality Learning at University" Society for Research into Higher Education/Open University Press 2003

      29 Vermunt, J. D., "Relations between student learning patterns and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nd academic performance" 49 : 205-234, 2005

      30 Levinsen, K. T., "Qualifying online teachers-Communicative skills and their impact on e-Learning quality" 12 (12): 41-51, 2007

      31 Haverila, M., "Prior E-learning Experience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in an Undergraduate E-learning Course" 7 (7): 607-619, 2011

      32 Coldwell, J., "Online Students :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on, Demographics and Academic Performance" 6 (6): 19-30, 2008

      33 Kuzilek, J., "OU Analyse: Analysing At-Risk Students At The Open University" 2015

      34 Price, L., "Modelling factors for predicting student leanring outcomes in higher education" 2011

      35 Bliuc, A. -M., "Learning through face-to-face and online discussions : Associations between students’ conceptions, approache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political science" 41 (41): 512-524, 2010

      36 Fisher, J., "Learning analytics: a bottom‐up approach to enhancing and evaluating students' online learning" Australian Government Office for Learning and Teaching 2014

      37 Sclater, N., "Learning analytics: The current state of play in UK higher and further education"

      38 Pardo, A., "Learning analytics: From research to practice" Springer 15-38, 2014

      39 Mattingly, K., "Learning analytics as a tool for closing the assessment loop in higher education" 4 (4): 236-247, 2012

      40 Yukselturk, E., "Gender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12 (12): 12-22, 2009

      41 Nemanich, L., "Enhancing Knowledge Transfer in Classroom Versus Online Settings : The Interplay Among Instructor, Student, Content, and Context" 7 (7): 123-148, 2009

      42 Jo. I., "Emerging issues in smart learning" Springer 275-287, 2015

      43 Yu, T., "Educational technology approach toward learning analytics: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online behavior and learning performance in higher education" 2014

      44 Vatrapu, R. (, "Cultural Considerations in Learning Analytics" 2011

      45 Hosmer, D. W, "Applied logistic regression" Wiley 2000

      46 Clow, D., "An overview of learning analytics" 18 (18): 683-695, 2013

      47 Marzano, R. J., "A new era of school reform going where the research takes. Aurora" Mid-continent Research for Education and Learning 2000

      48 Chatti, M. A., "A Reference Model for Learning Analytics" 4 (4): 318-331,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 Broadcasting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 1.96 2.299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