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목회상담에서 예술을 어떻게 이용할까?: 예술작품 분석을 통한 상담적 의미 연구 = How Could We Use Art in Counseling? : Therapeutic Meaning Search in Artistic 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491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현실을 지나치게 많아서 존재하지 않는 세상, 지나치게 부요하여 부요함이 사라진 세상, 거대하기는 하지만 영양실조 상태에 있는 세상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현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현실을 지나치게 많아서 존재하지 않는 세상, 지나치게 부요하여 부요함이 사라진 세상, 거대하기는 하지만 영양실조 상태에 있는 세상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현실에 목회적 돌봄을 주기 위해서 예술과 목회상담의 통합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논문은 예술과 목회상담의 대화를 시도한다. 예술과 목회상담을 대화하게 하는 목적은 인간의 현실인 사회적 현상에 더 적극적이고 구체적으로 응답하기 위해서이다. 이 논문은 예술과 상담이 사람과 현실에서 시작하기에 사회적 현상에 응답할 수 있다고 전제한다. 여러 면에서 예술과 목회상담은 서로 다르지만 해석이라는 면에서 공통점이 있다. 현실에 대한 해석은 표현을 하게 한다. 예술은 초월적인 표현을 하고 상담은 현실적 표현을 한다. 해석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예술과 상담은 통합을 통해서 서로에게 흡수되기 보다는 자신의 역할을 더 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예술과 목회상담의 통합을 시도하는 과정을 표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접근하기보다는 다가서기를 상담에서 연습하기 위해 미술작품을 사용하는 시도를 하였다. 제 3자로서 경험하기보다는 다가서서 질문하는 연습을 위해 예술작품과 상담을 대화하는 시도를 하였다. 공감하는 방법을 시도하기 위해 미술작품과 대화하는 시도를 하였다. 이와 같은 예술과 목회상담의 대화의 시도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인간으로서 살아가도록 돕는데 궁극적 목적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eople become bigger and bigger physically but many of them lose health. `Too much,` rather than being beneficial, may be detrimental. The existential claim of `too much` is ironically nothing but `non being.` This is what is going on in Korea. This a...

      People become bigger and bigger physically but many of them lose health. `Too much,` rather than being beneficial, may be detrimental. The existential claim of `too much` is ironically nothing but `non being.` This is what is going on in Korea. This article appeals for dialogue between pastoral counseling and art in order to respond effectively to this critical situation of Korea. This article presupposes that art and pastoral counseling could respond to the social situation because they begin their work from human reality. Because human reality is the starting point, art and pastoral counseling may play their different creative roles in relation to human life. Art and pastoral counseling may differ from each other in terms of concern and direction, but they share common ground in terms of the hermeneutic approach. The hermeneutic reaction to human reality, which is a gesture of both art and pastoral counseling, leads to expressive reaction. Artistic expression is transcendent while the expression of pastoral counseling is realistic. This article attempts to show the dialogical process of art and pastoral counseling. For instance, this article attempts to have dialogue between art and counseling in order to hold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client rather than to hold an observer approach to client. This article shows that artistic experience is coherent with therapeutic attitude. This article also shows that an artistic encounter is coherent with the empathic encounter that often takes place in counseling. It attempts to show that artistic encounter and empathic encounter should re-present the image of God that emerges out of lived human life. The attempt to interact with art and pastoral counseling fundamentally aims to help a person to live out the human image created according to the image of God. This article relies upon Martin Buber`s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dialogue and Emmanuel Levinas` claim of `otherness` in order to write out creative approaches that can be produced from the dialogue between art and pastoral counsel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윌슨, 에드워드, "통섭" 사이언스북스 2005

      2 이재현, "인간 형상과 하나님 형상: 내면적 하나님 이미지에 대한 목회신학적 고찰" 한국목회상담학회 21 : 191-215, 2013

      3 진중권, "이미지 인문학1" 천년의상상 2014

      4 조현숙, "여성주의 목회상담의 하나님 모델 연구 -맥페이그(Sallie McFague)의 하나님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목회상담학회 22 : 214-247, 2014

      5 맥나미, S, "심리치료와 사회구성주의: 자기 이야기의 새로운 구성" 학지사 2004

      6 유동식, "신학과 예술의 만남" 한들 출판사 2010

      7 거킨, 찰스, "살아있는 인간문서"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8 코우, 존 H, "변형심리학" 학지사 2016

      9 김영란, "목회상담자의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모색: 상호주관성을 중심으로" 한국목회상담학회 26 : 83-115, 2016

      10 신영복, "담론" 돌베개 2015

      1 윌슨, 에드워드, "통섭" 사이언스북스 2005

      2 이재현, "인간 형상과 하나님 형상: 내면적 하나님 이미지에 대한 목회신학적 고찰" 한국목회상담학회 21 : 191-215, 2013

      3 진중권, "이미지 인문학1" 천년의상상 2014

      4 조현숙, "여성주의 목회상담의 하나님 모델 연구 -맥페이그(Sallie McFague)의 하나님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목회상담학회 22 : 214-247, 2014

      5 맥나미, S, "심리치료와 사회구성주의: 자기 이야기의 새로운 구성" 학지사 2004

      6 유동식, "신학과 예술의 만남" 한들 출판사 2010

      7 거킨, 찰스, "살아있는 인간문서"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8 코우, 존 H, "변형심리학" 학지사 2016

      9 김영란, "목회상담자의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모색: 상호주관성을 중심으로" 한국목회상담학회 26 : 83-115, 2016

      10 신영복, "담론" 돌베개 2015

      11 Lévinas, Emmanuel, "The Levinas Reader" Blackwell Publishing 1989

      12 Furniss, George, "Social Context of Pastoral Care" John Knox Press 1994

      13 Gergen, Kenneth, "Relational Being: Beyond Self and Commun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4 Buber, Martin, "I and Thou" Charles Scribner’s Sons 1970

      15 Haddy, Vernita R., "Dictionary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Abingdon Press 5-7, 1992

      16 Hycner, Richard, "Between Person and Person" The Gestalt Journal Press 1991

      17 신현욱, "A Brief Essay on the Alienated Self in the Degenerative Inner Space" 한국목회상담학회 24 : 268-292,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7 1.17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9 0.99 0.725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