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정은 정권의 대남전략(2018~2020): ‘세 가지 기둥’과 ‘정면돌파전 = North Korean Strategy toward South Korea in the the Kim Jong-un era, 2018-202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853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북한의 대남전략을 보다 체계적이고 구조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개념과 분석틀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김정은 정권의 대남전략과 현 남북관계를 분석해보려는 시도이다. 분단 ...

      본 연구는 북한의 대남전략을 보다 체계적이고 구조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개념과 분석틀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김정은 정권의 대남전략과 현 남북관계를 분석해보려는 시도이다. 분단 이래 북한의 대남전략은 혁명전략, 통일전략, 평화전략의 성격을 중첩적으로 갖되 이 세 가지 요소의 우선순위와 방식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시기별로 서로 다른 모습을 띠어왔다. ‘힘의 균형’과 ‘상호정체성’은 특히 남북 양자관계의 차원에서 위의 세 가지 요소들 간의 우선순위와 방식을 좌우한 핵심적 변수들이었다. 이러한 차원에서 볼 때 2018년 이후 북한의 대남전략은 핵개발과 체제정비 등을 통해 일정정도 회복된 힘의 균형을 바탕으로 이전의 힘의 열세 상황에서 가장 간절했던 ‘평화’라는 목표를 가장 빠른 시일 내에 목표가 아닌 현상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강한 교류협력’을 추구해나가며 장기적으로는 ‘공존형/합의제 통일’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 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present a concept and analysis framework that can more systematically and structurally understand North Korea's strategy toward the South and analyze the strategy of the Kim Jong-un regime based on it. North Korea's strateg...

      This study is an attempt to present a concept and analysis framework that can more systematically and structurally understand North Korea's strategy toward the South and analyze the strategy of the Kim Jong-un regime based on it. North Korea's strategy toward the South has been changed due to the balance of power and mutual identity between the two Koreas, while simultaneously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a revolutionary strategy, unification strategy, and peace strategy. In this regard, since 2018, North Korea's strategy toward the South has shifted to establishing "peace" as soon as possible while pursuing "coexistence-type unification" through "strong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the long run. The balance of power recovered to a certain extent through nuclear development and political system maintenance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of this chang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수호, "현대북한학강의" 사회평론 2013

      2 김정은, "현 단계에서의 사회주의건설과 공화국정부의 대내외정책에 대하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차회의에서 한 시정연설"

      3 문재인,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

      4 장달중, "한반도의 냉전 엔드게임(Endgame)과 북미대립" 극동문제연구소 25 (25): 1-30, 2009

      5 임수호, "한국의 정권교체와 대북정책 변화: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소 19 (19): 135-165, 2010

      6 정용수, "하노이 회담 올가이드: 김정은은 왜 열차탔나"

      7 안경모, "코로나 사태와 북한, 그리고 정면돌파전" 국방대안보문제연구소 (166) : 2020

      8 "조선반도에서 비핵지대, 평화지대를 창설할 데 대한 제안"

      9 "조선로동당창건 75돐경축 열병식에서 하신 우리 당과 국가, 무력의 최고령도자 김정은동지의 연설"

      10 김정은, "조선로동당창건 75돐 경축 열병식에서 하신 우리 당과 국가, 무력의최고령도자 김정은동지의 연설"

      1 임수호, "현대북한학강의" 사회평론 2013

      2 김정은, "현 단계에서의 사회주의건설과 공화국정부의 대내외정책에 대하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차회의에서 한 시정연설"

      3 문재인,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 통일을 위한 판문점 선언"

      4 장달중, "한반도의 냉전 엔드게임(Endgame)과 북미대립" 극동문제연구소 25 (25): 1-30, 2009

      5 임수호, "한국의 정권교체와 대북정책 변화: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소 19 (19): 135-165, 2010

      6 정용수, "하노이 회담 올가이드: 김정은은 왜 열차탔나"

      7 안경모, "코로나 사태와 북한, 그리고 정면돌파전" 국방대안보문제연구소 (166) : 2020

      8 "조선반도에서 비핵지대, 평화지대를 창설할 데 대한 제안"

      9 "조선로동당창건 75돐경축 열병식에서 하신 우리 당과 국가, 무력의 최고령도자 김정은동지의 연설"

      10 김정은, "조선로동당창건 75돐 경축 열병식에서 하신 우리 당과 국가, 무력의최고령도자 김정은동지의 연설"

      11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5차 전원회의에 관한 보도"

      12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3차전원회의 진행, 조선로동당위원장 김정은동지께서 병진로선의 위대한 승리를 긍지높이 선언하시고 당의 새로운 전략적로선을 제시하시였다"

      13 "제2차 조미수뇌회담"

      14 문재인, "제100주년 3·1절 기념식 기념사"

      15 한성훈, "전쟁과 인민" 돌베개 2012

      16 "연합뉴스"

      17 장노순, "약소국의 갈등적 편승외교 정책 : 북한의 통미봉남 정책" 33 (33): 379-397, 1999

      18 임수호, "실존적 억지와 협상을 통한 확산 : 북한의 핵정책과 위기조성외교(1989~2006)"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9 동아일보사, "사회주의 대변혁 핵심문헌 50선" 동아일보사 173-179, 1991

      20 강혜석, "북한의 민족건설과 두 개의 ‘민족론’: ‘통일론’과의 긴장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53 (53): 127-155, 2019

      21 전성훈, "북한의 ‘비핵화’와 韓美의 ‘비핵화’는 다르다"

      22 구갑우, "북한 핵 담론의 국제정치: 북한적 핵 개발의 이유와 김정은 정권의 핵 담론" 한국사회과학연구회 (99) : 83-121, 2017

      23 안경모, "북한 급변사태 논의의 역설: 간과된 변수로서의 ‘북한’"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1 (21): 31-60, 2016

      24 "북남사이의 모든 통신련락선들을 완전차단해버리는 조치를 취함에 대하여"

      25 한운석, "동독과 북한 당 지도부의 민족정책 비교" 호남사학회 (24) : 313-347, 2005

      26 강철구, "독일민족주의의 역사적 발전과 전망" 28 : 133-150, 2001

      27 임수호, "대북 경제제재의 중장기효과 : 북한경제의 미래에 대한 정치경제학적추론"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9

      28 김정은, "당창건 75돐을 맞으며 평양종합병원을 훌륭히 건설하자"

      29 "남조선과 미국 조선반도평화에 역행하는 새로운 합동군사연습 개시"

      30 심지연, "남북한 통일방안의 전개와 수렴" 돌베게 2001

      31 최완규, "남북한 통일방안의 수렴가능성 연구: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 북한연구학회 6 (6): 5-36, 2002

      32 김정일, "김정일 선집 제19권" 조선로동당출판사 2013

      33 김치관, "김정은, 연락사무소 개설 ‘환영할만 한 일’"

      34 김일성, "김일성 저작집 43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35 "국방력강화에서 이룩한 위대한 승리"

      36 이종석, "[단행본] (새로 쓴)현대 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서울 2000

      37 Waltz, Kenneth N.,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Random House 1979

      38 Goldstein, Avery, "Rising to the Challenge : China's grand strategy and international security"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5

      39 Schweller, Randal L., "Neorealism's status-quo bias: What security dilemma?" 5 (5): 90-121, 1996

      40 Kahneman, Daniel, "Judgment Under Uncertainty: Heuristics and Bias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41 Johnston, Alastair Iain, "Is China a Status Quo Power?" 27 (27): 5-56, 2003

      42 Ward, Alex, "Exclusive: here’s the tentative deal Trump and Kim Jong Un may strike in Vietnam"

      43 Krasner, Stephen D., "Defending the National Interest: Raw Materials Investments and U.S. Foreign Polic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8

      44 Terry, Sue mi, "Can North Korea Cope With the Coronavirus?: Kim Jong Un Faces His Greatest Test Yet" Foreign Affairs

      45 정창현, "CEO of DPRK 김정일" 중앙books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7-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and World Politics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5 1.32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