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기 관련 제조업체의 산업재해 발생 및 예방교육 실태 파악 = Understanding industrial accidents and prevention education in electronical manufactur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028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산업재해 발생 및 예방교육 실태를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산업재해 예방대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산업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관계자들을 대상으...

      본 연구에서는 산업재해 발생 및 예방교육 실태를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산업재해 예방대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산업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재해발생 실태를 분석한 결과, 재해발생을 목격하거나 상해를 입은 경험이 있는 경우는 40.5%로 조사되었으며, 연간 재해사고 발생 빈도에 대하여 살펴보면 1회 미만이 39.7%, 2-5회 미만이 26.7%로 조사되었다. 재해 발생시 구조작업의 신속성은 보통이다가 33.8%, 그렇다가 43.1%, 매우 그렇다가 12.1%로 재해 발생시 구조작업은 신속하게 진행되었다.
      재해 발생시 보상의 충분성은 보통이다가 51.7%, 그렇다가 31.9%, 그렇지 않다가 16.4%로 재해 발생시 보상은 어느 정도 충분하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해 발생시 치료를 완전하게 받을 수 있는 체계에 대하여 살펴보면, 보통이다가 51.7%, 그렇다가 41.4%로 체계가 잘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재해 발생의 원인으로는 재해에 대한 인식 미흡이 35.3%, 안전 무감증이 24.9%, 미숙한 일처리가 21.6%로 조사되었다.
      둘째, 재해예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재해예방을 위한 교육 경험에 대하여 살펴보면, 경험이 있는 경우가 89.7%로 재해예방 교육이 잘 실시되고 있었다. 재해예방교육이 산업재해의 예방에 도움 정도 인식을 살펴보면, 그렇다가 63.8%로 재해예방교육이 산업재해의 예방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재해예방을 위한 지식의 충분성은 보통이다가 62.1%, 그렇다가 25.0%로 어느 정도 충분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재해예방에 대한 정보를 얻은 경로로는 회사의 정규교육이 53.4%로 가장 많았고 동료의 구전에 의해서가 28.4% 등으로 나타났다. 연간 재해예방교육 실시 횟수를 살펴보면, 2-3회 미만이 41.4%, 1회 미만이 33.6%, 3회 이상이 25.0%로 나타났다. 재해예방교육 평균 시간은 1시간 미만이 61.2%, 2-3시간이 38.8%로 나타났다. 재해예방을 위해 가장 시급히 필요한 사항으로는 안전에 대한 근무자의 지각이 55.2%로 가장 많았고 회사차원의 정규적인 교육이 14.7%, 근무환경의 개선이 11.2%, 충분한 휴식이 10.3% 등으로 조사되었다.
      종합적으로 재해사고는 대부분 안전수칙과 안전불감증이 원인이라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육과 종사자의 안전관리에 대한 투철한 의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부 작업장에서는 기계 설비의 노후화에 따른 위험이 있다는 지적이 있는 관계로 근로환경이 열악한 중소기업에서는 이러한 위험요소를 미리 예방하고, 기계 설비의 안전에 보다 신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3
      • Ⅱ. 이론적 배경 6
      • 제1절 산업재해의 고찰 6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3
      • Ⅱ. 이론적 배경 6
      • 제1절 산업재해의 고찰 6
      • 1. 산업재해의 정의 6
      • 2. 산업재해의 성격 9
      • 3. 산업재해의 원인 12
      • 4. 산업재해의 문제점 15
      • 제2절 산업재해 사례 19
      • 1. 산업재해 현황 19
      • 2. 외국의 산업재해 예방제도 29
      • Ⅲ. 연구의 방법 33
      • 1. 연구내용 33
      • 2. 연구 참여자의 선정 34
      • 3. 연구절차 36
      • 4. 자료수집 37
      • 5. 자료분석 38
      • 6.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39
      • Ⅳ. 분석 결과 42
      • 1.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42
      • 2. 재해발생 실태 43
      • 3. 재해 예방 50
      • Ⅴ. 결론 58
      • 1. 결론 58
      • 2. 제언 및 향후 연구방향 62
      • 참고문헌 63
      • 부록 - 설문지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