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남 홍도를 통과하는 벌매(Pernis ptilorhynchus)의 이동 양상 = Migration Pattern of the Oriental Honey Buzzard Pernis ptilorhynchus at Hongdo Island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995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5년 9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3년간 봄과 가을에 전남 홍도를 통과하는 벌매(Pernis ptilorynchus)의 이동 규모를 조사함으로써, 기상에 따른 이동의 영향을 분석하고, 벌매의 이동생태...

      본 연구는 2005년 9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3년간 봄과 가을에 전남 홍도를 통과하는 벌매(Pernis ptilorynchus)의 이동 규모를 조사함으로써, 기상에 따른 이동의 영향을 분석하고, 벌매의 이동생태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홍도에서 기록되어진 벌매의 개체수를 살펴보면 2005년 702개체, 2006년 404개체, 2007년 659개체로 나타났고, 이중 봄철에 관찰된 개체수는 2006년 2개체, 2007년 8개체에 불과하여 홍도는 벌매의 가을철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9월 20일에서 10월 5일 사이에 많은 이동이 확인 되었다. 벌매는 2007년 가을 시간대별로 조사된 538개체의 벌매 중에서는 216개체(40.1%)가 오전 7시에서 8시 사이에 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시 풍향 선호도는 이동 방향의 오른쪽 뒤쪽에서 불어오는 북서풍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속이 5m/s 미만일 때 벌매의 이동이 더 활발하였지만, 5m/s 이상의 강한 바람일 경우에는 이동의 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풍속과 풍향은 벌매의 이동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소라고 판단된다. 한반도의 벌매 이동경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별로 지속적인 이동 개체군의 규모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자료 부족으로 인하여 국내 가을철 이동 집단의 이동경로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향후 국내 위성추적을 통한 이동경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migrating Oriental Honey Buzzard (Pernis ptilorynchus) in Korea, we carried out a preliminary study on the number and local movements of the Honey Buzzard from September 2005 to October 2007 at Hongdo Island, Jeonnam Pr...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migrating Oriental Honey Buzzard (Pernis ptilorynchus) in Korea, we carried out a preliminary study on the number and local movements of the Honey Buzzard from September 2005 to October 2007 at Hongdo Island, Jeonnam Province, Korea. A total of 702 Honey Buzzards in 2005, 404 individuals in 2006, and 659 individuals in 2007 were recorded during the fall migration season, but during the spring migration season only two and eight birds were observed in 2006 and 2007 respectively. The migrating Honey Buzzard showed peak numbers from 20 September to 5 October at the study site. According to observation of arrival time of 538 Honey Buzzard in October 2007, a total of 216 birds(40.1%) were passing over Hongdo Island between 7:00 AM to 8:00 AM, rising skyward on columns of warm air. This suggests the use of thermal currents and avoidance of nocturnal movement for crossing water. They preferred moderate winds(<5 m/s in speed) from northwest, but the migrating number apparently decreased in case of strong winds (≥5 m/s). This suggests that wind speed and direction are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for migration of the Oriental Honey Buzzard. At present, it is unclear which breeding population (from north-eastern China or Japan) passes over Hongdo Island. Moreover, it is difficult to prove migration route and to understand migratory behaviors of the Oriental Honey Buzzard in Korea. To prove the breeding sites and routes of the migrants over the study site, we need more detailed and further studies such as satellite tracking research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Yamaguchi, N., "The large-scale detoured migration route and the shifting pattern of migration in oriental honey-buzzards breeding in Japan" 276 : 54-62, 2008

      2 Austin,O.L, "The birds of Korea" 101 : 1-301, 1948

      3 Morioka, T., "The Birds of Prey in Japan" Bun-ichi Sogo Shuppan Co. Ltd. 632-, 1998

      4 Shiu, H.J., "Route and site fidelity of two migratory raptors: grey-faced buzzards Butastur indicus and honey-buzzards Pernis apivorus" 5 : 151-156, 2006

      5 Jacobs, J.,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food selection" 14 : 413-417, 1974

      6 Higuchi, H., "Migration of Honey-buzzards Pernis ptilorhyncus based on satellite tracking" 4 : 109-115, 2005

      7 Kerlinger, P., "How Birds Migrate" Stackpole Books 255-, 1995

      8 Park, J.Y, "Current status and distribution of birds in Korea"

      9 Clements,J.F, "Birds of the World: A Checklist(6th eds.)"

      10 Howard, R, "A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2nd eds.)"

      1 Yamaguchi, N., "The large-scale detoured migration route and the shifting pattern of migration in oriental honey-buzzards breeding in Japan" 276 : 54-62, 2008

      2 Austin,O.L, "The birds of Korea" 101 : 1-301, 1948

      3 Morioka, T., "The Birds of Prey in Japan" Bun-ichi Sogo Shuppan Co. Ltd. 632-, 1998

      4 Shiu, H.J., "Route and site fidelity of two migratory raptors: grey-faced buzzards Butastur indicus and honey-buzzards Pernis apivorus" 5 : 151-156, 2006

      5 Jacobs, J.,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food selection" 14 : 413-417, 1974

      6 Higuchi, H., "Migration of Honey-buzzards Pernis ptilorhyncus based on satellite tracking" 4 : 109-115, 2005

      7 Kerlinger, P., "How Birds Migrate" Stackpole Books 255-, 1995

      8 Park, J.Y, "Current status and distribution of birds in Korea"

      9 Clements,J.F, "Birds of the World: A Checklist(6th eds.)"

      10 Howard, R, "A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2nd eds.)"

      11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07 Annual Report on Migratory Bird Research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