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백석 시의 묘사적 주체와 정치적 자기 재현 양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257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근대와 전통의 차별적 공존’을 향한 모색은 백석 시가 보여준 희유한 성과로 평가된다. 백석이 보여준 묘사적 재현의 어법은 강제된 재현의 딜레마를 우회한 다음 그것을 정면으로 재전...

      ‘근대와 전통의 차별적 공존’을 향한 모색은 백석 시가 보여준 희유한 성과로 평가된다. 백석이 보여준 묘사적 재현의 어법은 강제된 재현의 딜레마를 우회한 다음 그것을 정면으로 재전유한 형식 미학을 전략으로 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백석의 시에 나타난 묘사적 주체의 정치적 자기 재현 양상을 살펴 읽었다. 연구자는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했다. 먼저, ‘녯날’이라는 불특정하고 압축된 시간 속에 축조되는 내면성을 거쳐서 사적인 역사를 구축하는 양상을 추적한다. 다음으로 식민지 근대의 ‘나쁜 대상성’과 맞갖는 ‘토템’ 대상을 불러내며 사랑과 연대의 가능성을 탐문하는 백석의 묘사적 주체에 주목한다. 마지막으로 백석의 묘사적 주체가 보여주는 풍경의 휴머니스트 전략을 살펴 읽는다. 연구의 전제로 근래에 논의되는 인류학적 전회, 미시정치적 기술 등의 방법론을 원용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본론에서 제안한 ‘묘사적 주체의 정치적 자기 재현 양상’을 통시적으로 읽어내는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arch for a ‘differentiated coexistence of modernity and tradition’ is a rare achievement of Baek’s poetry. Baekseok’s language of descriptive representation adopts a formal aesthetic that bypasses the dilemma of forced representation and...

      The search for a ‘differentiated coexistence of modernity and tradition’ is a rare achievement of Baek’s poetry. Baekseok’s language of descriptive representation adopts a formal aesthetic that bypasses the dilemma of forced representation and then reappropriates it head-on as a strategy. This study examines the political self-representation of descriptive subjects in Baek Seok’s poetry. The researcher approached it from three aspects. First, it traces the construction of private history through interiority, which is built in the unspecified and compressed time of the ‘old days’. Next, I focus on Baekseok’s depictive subjectivity, which explores the possibility of love and solidarity by invoking a ‘totemic’ object that confronts the ‘bad objectivity’ of colonial modernity. Finally, I examine the humanist strategies of landscape that Baekseok’s depictive subjects employ. As the premise of the study, the methodologies discusse d in recent years, such as anthropological episodic and micro-political technique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xtended in the direction of a diachronic reading of the ‘political self-representation of the depictive subject’ proposed in the main tex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Ⅰ. 문제제기
      • Ⅱ. ‘녯날’의 내면성과 만들어지는 사적 역사
      • Ⅲ. 토템의 정치적 전유, 사랑과 연대의 문법 구현 전략
      • Ⅳ. 재현의 정치학, 성찰적 유토피아를 향한 열망
      • 국문 초록
      • Ⅰ. 문제제기
      • Ⅱ. ‘녯날’의 내면성과 만들어지는 사적 역사
      • Ⅲ. 토템의 정치적 전유, 사랑과 연대의 문법 구현 전략
      • Ⅳ. 재현의 정치학, 성찰적 유토피아를 향한 열망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