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시습(金時習) 이해의 시선과 그 의미 = On Aspects of Understanding toward Kim, Si-sup(金時習) and its meaning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김시습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는 다음과 같은 세 군을 형성하고 있다. 첫째, 김시습 자신이 쓴 것으로 <자사진찬(自寫眞贊)>, <동봉육가(東峰六歌)>, <상유양양진정서(上柳襄...

      김시습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는 다음과 같은 세 군을 형성하고 있다. 첫째, 김시습 자신이 쓴 것으로 <자사진찬(自寫眞贊)>, <동봉육가(東峰六歌)>, <상유양양진정서(上柳襄陽陳情書)> 등이며, 둘째, 홍유손(洪裕孫)의 <제김열경시습문(祭金悅卿時習文)>, 윤춘년(尹春年)의 <매월당서(梅月堂序)> 등. 셋째, 이자(李.)의 <매월당집서(梅月堂集序)>, 이산해(李山海)의 <매월당집서(梅月堂集序)>, 이이의 <김시습전> 등이 그것이다. 이들 자료는 김시습 관련 서로 다른 이해의 시선을 보여준다. 김시습은 낙백(落魄)한 소광한 은자로 자신을 규정한다. 낙백의 원인은 젊은 시절의 좌절과 어긋남 때문이다. 개인적 비극인 박명과 불우, 선(善)의 좌절과 이교(異敎)의 번성이라는 사회적 불합리와 모순 때문이다. 그리고 그런 것이 누적되며 자신은 영원히 화합할 수 없이 어그러졌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홍유손을 비롯한 이들은 김시습을 생이지지(生而知之)한 성인, 자유자재한 대인(大人) 혹은 부처로 이해했다. 이들은 김시습을 천부적 자질을 지닌 초월적 인물로 규정하려 했다. 물론 김시습을 미친 사람이라고 하거나, 색은행괴의 무리에 불과하다고 본 경우도 있다. 이이나 이산해의 김시습 이해는 천부적인 문장가이자 절의를 표방하고 윤기를 붙든 백세의 스승이라는 시선에 바탕한다. 또한 이들은 김시습이 한 때 세상을 등진 것은 비분강개하는 기질 상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보았다. 김시습을 성리학적 의리관으로 분식(粉飾)하여 이해했다. 이런 이해는 하나의 전범(典範)이 되어, 이후 연구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are three kinds of materials concerning Kim, Si-sup"s life. The first kind of materials are written by Kim Si-sup himself, for examples Jasajinchan(自寫眞贊), Dongbongyukga(東峰六歌), Sangyuyangyangjinjeong-Seo(上柳襄陽陳情書) etc...

      There are three kinds of materials concerning Kim, Si-sup"s life. The first kind of materials are written by Kim Si-sup himself, for examples Jasajinchan(自寫眞贊), Dongbongyukga(東峰六歌), Sangyuyangyangjinjeong-Seo(上柳襄陽陳情書) etc. Second are JeKimyeolgyeongsiup-mun(祭金悅卿時習文) by Hong, Yuson, Maewuoldang-seo(梅月堂序) by Yun, Chun-nyeon etc. Third are Maewuoldangjip-Seo(梅月堂集序) by Lee, Ja, Maewuoldangjip-Seo(梅月堂集序) by Lee, San-Hae and Kimsisup-Jeon(金時習傳) by Lee, Yi etc.
      These materials shows different aspects of comprehend Kim, Si-sup. Kim prescribed himself as a dejected hermit. Reasons of dejection are a misfortune and sad fate, a frustration caused by social contradictions etc. He experienced these difficulties continuously, and tuned his back on the world at last. He explained himself as a sad and frustrated hermit.
      The next group of people regarded Kim as a genius like Kong Zi(孔子), a great man(大人) with perfect freedom, and a living Buddha. The Confucian thought Kim as a reborn of Kong Zi, and the Taoist regard him as a freely upright man, and of course, the Buddhist respected him as a spiritually awakened man, a living Buddha. These people tried to comprehend Kim as a mythic person with a transcendent abilities. Of course, there is a group of people who thought Kim as a madness with a odd and strange behaviour.
      The third group of people, especially Lee, Yi or Lee, San-Hae, understood Kim as a quite and genuine writter and a model man. They gave him a honorible name for adhering Confucian principles. They thought the fact that Kim tuned his back on the world as a inevitable fate because of his righteous wrath. These people"s understanding became a model. The next generations generally comprehend Kim on the basis of this understand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김시습 이해의 세 장(場)
      • Ⅲ. 김시습 이해의 특징과 의미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김시습 이해의 세 장(場)
      • Ⅲ. 김시습 이해의 특징과 의미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문종, "「홍길동전」의 설화화 양상" 영주어문학회 17 : 37-64, 2009

      2 송성욱, "홍길동전의 자장" 가톨릭대 국문과 22 : 2000

      3 설성경, "홍길동전의 성립 배경" 연세대 교육대학원 46 : 1998

      4 장효현, "홍길동전의 생성과 유전, In 한국고전소설사연구" 고려대출판부 2002

      5 김동욱, "홍길동전의 비교문학적 교찰, In 허균연구" 새문사 1981

      6 박일용, "홍길동전의 문학적 의미 재론" 한국고전문학회 9 : 1994

      7 정주동, "홍길동전연구" 문호사 1961

      8 이윤석, "홍길동전 연구" 계명대출판부 1997

      9 이현국, "홍길동전 소고-제도의 서사적 기능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경북어문학회 (27) : 1993

      10 서종문, "홍길동전 ‘율도국’의 생성과 의미" 국어교육학회 27 : 1995

      1 강문종, "「홍길동전」의 설화화 양상" 영주어문학회 17 : 37-64, 2009

      2 송성욱, "홍길동전의 자장" 가톨릭대 국문과 22 : 2000

      3 설성경, "홍길동전의 성립 배경" 연세대 교육대학원 46 : 1998

      4 장효현, "홍길동전의 생성과 유전, In 한국고전소설사연구" 고려대출판부 2002

      5 김동욱, "홍길동전의 비교문학적 교찰, In 허균연구" 새문사 1981

      6 박일용, "홍길동전의 문학적 의미 재론" 한국고전문학회 9 : 1994

      7 정주동, "홍길동전연구" 문호사 1961

      8 이윤석, "홍길동전 연구" 계명대출판부 1997

      9 이현국, "홍길동전 소고-제도의 서사적 기능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경북어문학회 (27) : 1993

      10 서종문, "홍길동전 ‘율도국’의 생성과 의미" 국어교육학회 27 : 1995

      11 장덕순, "홍길동은 실존했던 인물인가-부안에서 ‘아치실’까지, In 한국문학의 연원과 현장" 집문당 1986

      12 이문규, "해중서생과 홍길동전, In 허균 문학의 실상과 전망" 새문사 2005

      13 김종군, "해외개척 대도 설화의 소설 유입 양상과 의미" 어문연구학회 50 : 5-35, 2006

      14 장장식, "한국의 풍수설화 연구" 민속원 1995

      15 조동일, "한국구비문학대계-별책부록(Ⅰ) 한국설화유형분류집" 정문연 1989

      16 "한국구비문학대계 전82권" 정문연 1985

      17 신해진, "증보 해동이적" 경인문화사 2011

      18 윤주필, "중세 지식인의 존재 방식과 홍길동전" 한국고소설학회 7 : 1999

      19 최웅, "주해 청구야담 Ⅲ" 국학자료원 1996

      20 김종군, "조선후기 서사문학의 해외진출 소재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121-150, 2008

      21 김종군, "조선후기 대도설화 연구" 박이정 2007

      22 서대석, "조선조문헌설화집요』(Ⅰ)․(Ⅱ)" 집문당 1992

      23 설성경, "실존인물 홍길동의 재구(Ⅰ)-출생과 성장, 국내 활동 부분을 중심으로" 연세대 (96) : 1997

      24 조동일, "소설의 성립과 초기소설의 성격, In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203-207, 1977

      25 이종주, "서자의 인격 실현과 홍길동전의 논리" 서강어문학회 6 : 1988

      26 최용철, "매월당선생전(梅月堂先生傳), In 금오신화의 판본" 국학자료원 2003

      27 장동우, "中國古代 喪服의 制度와 理念" 동과서 2007

      28 權純肯, "『洪吉童傳』의 受容樣相과 時代的 意味"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84

      29 홍나래, "‘첫날밤에 해산한 아내 용서하기’ 설화에 나타난 덕(德)의 의미와 그 수용 양상" 한국구비문학회 (33) : 197-226,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1 1.3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