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국 종교국가주의의 이념적 배경에 대한 지식사회학적 연구: 기독교 재구성주의와 지배주의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aces the forming process of Christian Reconstructionism that has been an ideological basis of American Christian nationalism. It also tri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right and the Christian right, and the politi...

      This study traces the forming process of Christian Reconstructionism that has been an ideological basis of American Christian nationalism. It also tri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right and the Christian right, and the politicalization of evangelicalism. For this, first it seeks the socio-political implications of Reconstructionism, and pursues its forming process of meaning centered on R. J. Rushdoony, the founder of it. Tragic family history during the World War I, socio-political cultural identity of Armenian immigrant community, his academic conflicts at UC Berkeley and Pacific School of Religion, and his rugged and hard ministry experience in an Indian reservation have exerted influences on his construction of Reconstructionism.
      Meanwhile, Rushdoony’s biblical philosophy of history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mix of evangelicalism and American nationalism. Based on creation mandate, God’s sovereignty, and Biblical literalism, he made severe critics on liberal theology, and secular evolutionism, humanism, socialism, positivism, and statism. Reconstructionism has been blamed by, and distanced from some conservative theologians due to its excessive violence such as physical punishment and death penalty. However, it has penetrated into the minds o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국 기독교 국가주의의 이념적 근간이 된 기독교 재구성주의의 형성과정에 대한 지식사회학적 논의와 정치 우익과 기독교 우익 관계의 근본적 이해를 위한 복음주의의 정치화 ...

      본 연구는 미국 기독교 국가주의의 이념적 근간이 된 기독교 재구성주의의 형성과정에 대한 지식사회학적 논의와 정치 우익과 기독교 우익 관계의 근본적 이해를 위한 복음주의의 정치화 과정에 대한 논의이다. 이를 위해 먼저 재구성주의의 사회정치적 함축과 재구성주의의 의미체계 형성과정을 창시자인 R. J. 러쉬두니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1차 세계대전에서의 비극적인 가정사와 아르메니아 이민공동체의 사회문화적 정체성, 버클리 대학과 자유주의 신학의 산실인 PSR에서의 수학과 학문적 갈등, 인디언 보호구역에서의 험난한 목회경험 등이 그의 재구성주의 신학 형성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복음주의자들의 미국 국가주의와 결합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러쉬두니의 성서역사철학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창조론, 신의 주권, 성서 문자주의를 바탕으로 재구성주의 신학을 구축하는 동시에 자유주의 신학은 물론 진화론, 사회주의, 인본주의, 실증주의, 국가주의 등에 대한 비판을 전개하였다. 물론, 그의 기독교 재구성주의는 아동에 대한 체벌과 동성애자에 대한 사형 집행 등의 과격함 때문에 보수적인 신학자들로부터도 비판과 냉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세속화된 미국 사회에 실망한 온건한 복음주의자들에 스며들어, 이들에게 종교 우익을 형성하여 선거, 전쟁 등의 정치적 행위에 관여하게 하는 등 기독교 중심의 패권적 미국 국가주의를 옹호하고 지지하는 이념적 토대를 제공하였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