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토조사 체계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ational Land Survey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89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토조사는 국토의 물리적 사회적 현황과 시대적 사회적 요구사항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통해 국토의 효율적 운용이라는 기본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

      국토조사는 국토의 물리적 사회적 현황과 시대적 사회적 요구사항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통해 국토의 효율적 운용이라는 기본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직접조사가 아닌 지방자치단체나 타 정부부처에서 구축한 자료를 취합하여 국토지표로 가공 및 제공이 되기 때문에 다른 자료와의 차별성이 크지 않고, 국토지표 항목들이 국내외 상황과 변화에 따라 수시로 변경되어 동일한 지표에 대해 장기적으로 축적된 자료가 없어 활용도가 높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 통계 데이터와 지도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 부각에 따라 대다수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서 각자의 고유한 필요성에 따른 조사를 수행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공간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축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국토교통부 고유의 업무라는 국토조사의 한계를 벗어나서 국가단위 국토에 대한 현황조사라는 측면으로 새로운 접근을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일시대를 대비하고 국토의 효율적 개발과 가치 보전을 위한 정책수립에 필요한 의사결정자료 제공이라는 제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새로운 국토조사 체계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ational land survey is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accomplishing the basic goal called an effective development of national land through close survey on physical/social conditions and periodic/social requirements of national land. However, the...

      The national land survey is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accomplishing the basic goal called an effective development of national land through close survey on physical/social conditions and periodic/social requirements of national land. However, the situation is that there isn't much difference from other data because the data constructed at the local governments or other ministries are gathered to be processed and provided as national land index which is not a field survey while the situation is that the national land index are changed frequently according to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s and transition so that the applicability is low because there is no data accumul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on the same index. Considering that most government offices and local governments are performing surveys out of their own unique necessity to construct the results followed by such survey as data which includes spatial data as a form of database since the importance of statistics data and map data has become highlighted recently, it is necessary to make a new approach in the aspect of investigating the current situation of national territory on the national level. Accordingly, this study has proposed a new national land survey system to prepare for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s well as to provide the decision making data necessary for setting up the policies for effective land development and value conservation of the national lan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직, "지도 읽기와 이해" 푸른길 156-160, 2008

      2 최인호, "일본의 지적조사에 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13 (13): 171-181, 2011

      3 박석두, "일본의 농업수리시설 관리제도" 한국농촌경계연구원 1-176, 2010

      4 조응래, "빈번해지는 싱크홀-근본적 해결방안 모색해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21) : 11-13, 2014

      5 박종택, "국토조사의 효율적 추진방향" 한국지적학회 6 (6): 49-61, 2004

      6 이용범, "국토조사의 지표선정과 자료수집체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7-18, 2006

      7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조사연감" 2014

      8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조사 관련 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공간정보연구원 2013

      9 건설교통부, "국토조사 개선방안 연구 :국토정책지표 설정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001

      10 이석민, "국토모니터링 자료취득 및 공동활용 개선을 위한 요구도 분석 : 국토모니터링 관련 전문가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12 (12): 185-201, 2011

      1 이현직, "지도 읽기와 이해" 푸른길 156-160, 2008

      2 최인호, "일본의 지적조사에 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13 (13): 171-181, 2011

      3 박석두, "일본의 농업수리시설 관리제도" 한국농촌경계연구원 1-176, 2010

      4 조응래, "빈번해지는 싱크홀-근본적 해결방안 모색해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21) : 11-13, 2014

      5 박종택, "국토조사의 효율적 추진방향" 한국지적학회 6 (6): 49-61, 2004

      6 이용범, "국토조사의 지표선정과 자료수집체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7-18, 2006

      7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조사연감" 2014

      8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조사 관련 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공간정보연구원 2013

      9 건설교통부, "국토조사 개선방안 연구 :국토정책지표 설정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001

      10 이석민, "국토모니터링 자료취득 및 공동활용 개선을 위한 요구도 분석 : 국토모니터링 관련 전문가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12 (12): 185-201, 2011

      11 이석민, "국토모니터링 자료취득 및 공동활용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 19 (19): 29-41, 2011

      12 "National Land Information Division, National and Regional Policy Bureau"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7-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국토정보공사 -> 한국국토정보공사
      영문명 :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KCI등재
      2015-06-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국토정보공사 -> 한국국토정보공사
      영문명 :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KCI등재
      2015-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KCI등재
      2015-04-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地籍(지적) -> 지적과 국토정보
      외국어명 : Journal of Cadastre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KCI등재후보
      2010-06-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adastre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2 0.1 0.253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