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 문학(文學) : 18세기~19세기 민족문학의 정체성 연구 -18世紀 실학파의 문학을 중심으로- = Literature : A Study on the Identity of the National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604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민족문학이란 한 나라의 민족성이 왕조사이거나 외세의 정치적 권력이나 또는 외국문학의 모방을 배제한 순수한 민족적 특성이 내재한 문학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민족문학은 정체성이 ...

      민족문학이란 한 나라의 민족성이 왕조사이거나 외세의 정치적 권력이나 또는 외국문학의 모방을 배제한 순수한 민족적 특성이 내재한 문학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민족문학은 정체성이 함유되니, 민족이 지니고 있는 변하지 않는 본질의 존재가 작가의 개성과 관계되어 민족성이 나타난다. 조선후기인 18세기에 들어와서는 실학파의 시가 등장하였는데 그 중에 연암 박지원과 다산 정약용의 시로 인해 중국 시 모방에서 환골탈태(換骨奪胎)했다. 특히 연암의 제자 4대가들에 의해 한시는 한시다운 조선의 시가 탄생하게 되었고, 다산의 한시는 중국 한시의 시어를 우리말로 바꿔서 지었다. 18세기~19세기에는 실학자의 실사구시(實事求是)의 학풍과 실학파 문인에 의한 영향으로 시조 가사 창극 민요 고소설이 완연히 다른 근대성에 부응하는 작품이 탄생되었다. 특히 18세기~19세기 영정시대는 민족문학의 기점이라고 하는 논문이 건국대학교 명예교수 김일근 교수에 의해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그 후 문학평론가인 김윤식 김현 최일수 등에 의해 근대문학이 기점을 18세게~19세기 영정시대로 주장하는 저술이 발행하여 이들의 학설도 아울러 소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tional literature can be identified as a literature containing the pure national identity excluding the influences of a kingdom’s political propagandas, foreign political authority and the copy of foreign literatures. In addition, national literat...

      National literature can be identified as a literature containing the pure national identity excluding the influences of a kingdom’s political propagandas, foreign political authority and the copy of foreign literatures. In addition, national literature contains the identity. Therefore,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appear with the authors’ personality related to the unchangeable substances of the people. In the eighteenth century of the late Joseon period, Shilhak(Practical learning) poetry appeared. Among them, Yeonam Park Ji-won and Dasan Jeong Yak-yong successfully escaped the copy of Chinese poetry and developed the unique style. Especially, four successors of Yeonam created the style of Koreanized Asian poetry and Dasan wrote his own Asian poetry by translating Chinese expressions into Korean language. As the impact of the Shilhak scholars of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y emphasizing practicality of the Neo-Confucianism, the modernity in literature clearly established in poem, Gasa, drama, creative folk songs and novels. Based on this development, Kim Il-geun, an emeritus professor of Kunkuk University, wrote an research article that the Yeongjo and Jeongjo period of Joseon was the turning point of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literature. Later on, literary critics like Kim Yun-sik, Kim Hyeon, Choi Il-soo and others adopted this idea and this study introduces this stud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宋寯鎬, "柳得恭의 二十一都懷古詩 硏究" 大提閣 3 : 1986

      2 呂增東, "한국역사용어" (85) : 1981

      3 尹敬洙, "한국비평문학대계 한국문학평론가협의편" 1994

      4 金允植,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5 金一根, "연암소설의 근대적 성격" 1 : 1956

      6 "高宗實錄卷" 深求堂 1970

      7 朴殷植, "韓國通史" 檀國大學校 1975

      8 趙演鉉, "韓國現代文學史" 성문각 1969

      9 鄭良婉, "韓國漢文學散藁" 동림사 2010

      10 呂增東, "韓國文學歷史" 螢雪出版社 1983

      1 宋寯鎬, "柳得恭의 二十一都懷古詩 硏究" 大提閣 3 : 1986

      2 呂增東, "한국역사용어" (85) : 1981

      3 尹敬洙, "한국비평문학대계 한국문학평론가협의편" 1994

      4 金允植,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5 金一根, "연암소설의 근대적 성격" 1 : 1956

      6 "高宗實錄卷" 深求堂 1970

      7 朴殷植, "韓國通史" 檀國大學校 1975

      8 趙演鉉, "韓國現代文學史" 성문각 1969

      9 鄭良婉, "韓國漢文學散藁" 동림사 2010

      10 呂增東, "韓國文學歷史" 螢雪出版社 1983

      11 李德懋, "靑莊館全書 卷三十二" 서울大 古典刊行會 1966

      12 丁若鏞, "與猶堂全書" 文獻編纂委員會 1960

      13 李德懋, "箋註四家詩, “贋詩贋文恥依樣”翰南書林"

      14 柳馨遠, "磻溪隨錄 奎章閣"

      15 尹敬洙, "石北詩硏究" 正法文化社 1984

      16 申光洙, "石北文集, 木活字本"

      17 朴成壽, "獨立運動史硏究" 創批社 1980

      18 崔一秀, "民族文學新論" 東泉社 1983

      19 金一根, "民族文學史的 時代區分 試論" 1957

      20 柳得恭, "松京雜絶, 泠齊集"

      21 鄭良婉, "朝鮮朝後期 漢詩硏究" 誠信女大 出版部 1983

      22 白鐵, "朝鮮新文學思潮史" 首善社 1948

      23 林和, "朝鮮新文學史" 한길사 1953

      24 李瀷, "星湖僿說"

      25 "承政院日記" 國史編纂委員會 1968

      26 申緯, "年譜, 警修堂全藁"

      27 朴趾源, "嬰處稿序, 燕巖集"

      28 吳敬梓, "儒林外史" 을유문화사 2008

      29 申泰植, "倡義歌" 1973

      30 Rene Wellek, "Theory of Literature" Penguin Books 1970

      31 Boya C. Shafer, "Nationalism" Harcourt, Brace and World 1955

      32 呂增東, "19세기 때 나타난 “開化”라는 말에 대한 연구" 40 :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