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편) 식물병원균류해설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011053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월드사이언스, 2005

      • 발행연도

        200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480481.2 판사항(4)

      • DDC

        581.2 판사항(20)

      • ISBN

        8958810343 9348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신편) 식물병원균류해설 / 池上入郞 [외]저; 문병주; 고영진; 이정숙 공역.

      • 원서명

        新編植物病原菌類解說

      • 형태사항

        447 p.: 삽도; 25 cm.

      • 일반주기명

        Index: p. [415]-447
        도이우라 마코토(통浦誠)의 명저인 「改訂·增補 植物病原菌類解說」을 또다시 개정·증보한 것임.
        [참고문헌]: p. [398]-413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중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순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목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배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삼육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Loan OFF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청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편 총설(原田) = 1
      • 제1장 식물병과 병원 = 1
      • 제1절 병원의 종류 = 1
      • 제2절 병징, 병명 및 표징 = 1
      • 목차
      • 제1편 총설(原田) = 1
      • 제1장 식물병과 병원 = 1
      • 제1절 병원의 종류 = 1
      • 제2절 병징, 병명 및 표징 = 1
      • 제3절 기생 양식 = 3
      • 제4절 기주범위 = 4
      • 제2장 균류의 형태 = 6
      • 제1절 균사와 그 세포 = 6
      • 제2절 조직과 영양기관 = 8
      • 제3절 생식기관과 포자 = 12
      • 제4절 텔레오몰프-아나몰프 관계 = 25
      • 제3장 식물 병원균의 채집과 동정 = 26
      • 제1절 채집과 표본제작 = 26
      • 제2절 현미경 검경 = 28
      • 제3절 측미계의 사용법 = 33
      • 제4절 접종시험 = 34
      • 제5절 균류의 학명 = 36
      • 제6절 기생성의 분화 = 41
      • 제2편 주요 식물병원균류 = 42
      • 끈적균문(粘菌門) = 42
      • 제1장 무사마귀병균(뿌리혹병균, 根瘤病菌) (池上) = 42
      • 제1절 형태 = 42
      • 제2절 종류 = 43
      • 제3절 채집과 진단 = 44
      • 제4절 병환 = 46
      • 제2장 가루더뎅이병균(粉狀瘡痂病菌) (池上) = 47
      • 제1절 형태 = 48
      • 제2절 종류 = 48
      • 제3절 채집과 진단 = 49
      • 제4절 병환 = 50
      • 진균문과 편모균아문 = 51
      • 제3장 아파노마이세스균 (百町) = 51
      • 제1절 형태 = 51
      • 제2절 종류 = 52
      • 제3절 채집과 진단 = 53
      • 제4절 병환 = 54
      • 제4장 피시움균 (百町) = 54
      • 제1절 형태 = 55
      • 제2절 종류 = 56
      • 제3절 채집과 진단 = 58
      • 제4절 병환 = 59
      • 제5장 역병균(疫病菌) (池上) = 59
      • 제1절 형태 = 61
      • 제2절 종류 = 62
      • 제3절 채집과 진단 = 63
      • 제4절 병환 = 67
      • 제6장 흰녹가루병균(白銹病菌) (池上) = 68
      • 제1절 형태 = 68
      • 제2절 종류 = 69
      • 제3절 채집과 진단 = 70
      • 제4절 병환 = 72
      • 제7장 노균병균(露菌病菌) (池上) = 73
      • 제1절 형태 = 74
      • 제2절 종류 = 75
      • 제3절 채집과 진단 = 76
      • 제4절 병환 = 78
      • 접합균아문 = 80
      • 제8장 Rhizopus균과 Mucor균 (池上) = 80
      • 제1절 형태 = 80
      • 제2절 종류 = 81
      • 제3절 채집과 진단 = 82
      • 제4절 병환 = 84
      • 담자균아문 = 85
      • 제9장 깜부기병균(黑穗病菌) (原田) = 85
      • 제1절 형태 = 85
      • 제2절 종류 = 87
      • 제3절 채집과 진단 = 90
      • 제4절 병환 = 92
      • 제10장 녹병균(銹病菌) (原田) = 94
      • 제1절 형태 = 95
      • 제2절 종류 = 98
      • 제3절 채집과 진단 = 102
      • 제4절 병환 = 106
      • 제11장 고약병균(膏藥病菌) (池上) = 108
      • 제1절 형태 = 108
      • 제2절 종류 = 110
      • 제3절 채집과 진단 = 111
      • 제4절 병환 = 112
      • 제12장 자주날개무늬병균(紫紋羽病菌) (池上) = 112
      • 제1절 형태 = 114
      • 제2절 종류 = 115
      • 제3절 채집과 진단 = 116
      • 제4절 병환 = 118
      • 제13장 떡병균(餠病菌) (池上) = 119
      • 제1절 형태 = 119
      • 제2절 종류 = 120
      • 제3절 채집과 진단 = 121
      • 제4절 병환 = 124
      • 제14장 뿌리썩음병균(根腐病菌) (勝本) = 124
      • 제1절 형태 = 125
      • 제2절 종류 = 125
      • 제3절 채집과 진단 = 127
      • 제4절 병환 = 128
      • 제15장 설부소립균핵병균(雪腐小粒菌病菌) (原田) = 129
      • 제1절 형태 = 129
      • 제2절 종류 = 130
      • 제3절 채집과 진단 = 131
      • 제4절 병환 = 133
      • 제16장 흰비단병균(白絹病菌) (池上) = 133
      • 제1절 형태 = 134
      • 제2절 종류 = 134
      • 제3절 채집과 진단 = 135
      • 제4절 병환 = 136
      • 제17장 목재썩음병균(木材腐朽菌) (勝本) = 137
      • 제1절 형태 = 138
      • 제2절 종류 = 139
      • 제3절 채집과 진단 = 143
      • 제4절 병환 = 144
      • 자낭균아문과 불완전균아문 = 144
      • 제18장 타프리나균 (池上) = 144
      • 제1절 형태 = 145
      • 제2절 종류 = 146
      • 제3절 채집과 진단 = 147
      • 제4절 병환 = 149
      • 제19장 흰가루병균(白粉病菌) (池上) = 150
      • 제1절 형태 = 154
      • 제2절 종류 = 155
      • 제3절 채집과 진단 = 158
      • 제4절 병환 = 161
      • 제20장 줄기마름병균(胴枯病菌)과 궤양병균(腐爛病菌) (勝本) = 162
      • 제1절 형태 = 162
      • 제2절 종류 = 164
      • 제3절 채집과 진단 = 166
      • 제4절 병환 = 167
      • 제21장 맥각병균(麥角病菌) (池上) = 167
      • 제1절 형태 = 168
      • 제2절 종류 = 169
      • 제3절 채집과 진단 = 169
      • 제4절 병환 = 170
      • 제22장 벼 이삭누룩병균(稻麴病菌) (池上) = 171
      • 제1절 형태 = 171
      • 제2절 종류 = 173
      • 제3절 채집과 진단 = 174
      • 제4절 병환 = 175
      • 제23장 키다리병균(馬주苗病菌)과 붉은곰팡이병균(赤黴病菌) (池上) = 176
      • 제1절 형태 = 177
      • 제2절 종류 = 178
      • 제3절 채집과 진단 = 179
      • 제4절 병환 = 181
      • 제24장 탄저병균(炭疽病菌) (勝本) = 183
      • 제1절 형태 = 184
      • 제2절 종류 = 185
      • 제3절 채집과 진단 = 188
      • 제4절 병환 = 190
      • 제25장 흰날개무늬병균(白紋羽病菌) (池上) = 191
      • 제1절 형태 = 191
      • 제2절 종류 = 193
      • 제3절 채집과 진단 = 193
      • 제4절 병환 = 195
      • 제26장 잎떨림병균(葉振病菌) (勝本) = 196
      • 제1절 형태 = 196
      • 제2절 종류 = 196
      • 제3절 채집과 진단 = 198
      • 제4절 병환 = 199
      • 제27장 균핵병균(菌核病菌) (原田) = 199
      • 제1절 형태 = 202
      • 제2절 종류 = 202
      • 제3절 채집과 진단 = 203
      • 제4절 병환 = 205
      • 제28장 고리무늬잎마름병균(環紋葉枯病菌) (原田) = 205
      • 제1절 형태 = 206
      • 제2절 종류 = 207
      • 제3절 채집과 진단 = 208
      • 제4절 병환 = 209
      • 제29장 잿빛곰팡이병균(灰色黴病菌) (原田) = 210
      • 제1절 형태 = 210
      • 제2절 종류 = 211
      • 제3절 채집과 진단 = 212
      • 제4절 병환 = 213
      • 제30장 모닐리아균 (原田) = 214
      • 제1절 형태 = 214
      • 제2절 종류 = 215
      • 제3절 채집과 진단 = 217
      • 제4절 병환 = 218
      • 제31장 더뎅이병균(瘡痂病菌) (池上) = 220
      • 제1절 형태 = 221
      • 제2절 종류 = 222
      • 제3절 채집과 진단 = 222
      • 제4절 병환 = 224
      • 제32장 그을음병균(煤病菌) (勝本) = 225
      • 제1절 형태 = 226
      • 제2절 종류 = 227
      • 제3절 채집과 진단 = 230
      • 제4절 병환 = 231
      • 제33장 가지마름병균(枝枯病菌) (勝本) = 231
      • 제1절 형태 = 232
      • 제2절 종류 = 233
      • 제3절 채집과 진단 = 234
      • 제4절 병환 = 235
      • 제34장 검은별무늬병균(黑星病菌) (原田) = 236
      • 제1절 형태 = 236
      • 제2절 종류 = 237
      • 제3절 채집과 진단 = 237
      • 제4절 병환 = 239
      • 제35장 도열병균(稻熱病菌) (原田) = 239
      • 제1절 형태 = 240
      • 제2절 종류 = 241
      • 제3절 채집과 진단 = 241
      • 제4절 병환 = 244
      • 제36장 알타나리아균 (原田) = 245
      • 제1절 형태 = 247
      • 제2절 종류 = 247
      • 제3절 채집과 진단 = 248
      • 제4절 병환 = 249
      • 제37장 잎마름병균(葉枯病菌) (池上) = 249
      • 제1절 형태 = 250
      • 제2절 종류 = 252
      • 제3절 채집과 진단 = 253
      • 제4절 병환 = 257
      • 제38장 점무늬병균(斑点病菌) (勝本) = 258
      • 제1절 형태 = 258
      • 제2절 종류 = 259
      • 제3절 채집과 진단 = 261
      • 제4절 병환 = 262
      • 제39장 버티실리움균 (百町) = 262
      • 제1절 형태 = 263
      • 제2절 종류 = 263
      • 제3절 채집과 진단 = 265
      • 제4절 병환 = 267
      • 제40장 서코스포라균류 (勝本) = 267
      • 제1절 형태 = 268
      • 제2절 종류 = 269
      • 제3절 채집과 진단 = 271
      • 제4절 병환 = 272
      • 제41장 푸사리움균 (百町) = 273
      • 제1절 형태 = 273
      • 제2절 종류 = 275
      • 제3절 채집과 진단 = 277
      • 제4절 병환 = 279
      • 제42장 라이족토니아균 (百町) = 280
      • 제1절 형태 = 280
      • 제2절 종류 = 282
      • 제3절 채집과 진단 = 284
      • 제4절 병환 = 286
      • 제3편 식물 병원균류의 분리, 배양, 접종 및 보존 (百町) = 287
      • 제1장 분리 = 287
      • 제1절 무균조작 = 287
      • 제2절 병든 조직위의 균류의 각 기관에서 분리 = 289
      • 제3절 병든 조직에서 분리 = 291
      • 제4절 토양에서 분리 = 291
      • 제2장 배양 = 293
      • 제1절 배지조제 = 293
      • 제2절 배지의 종류 = 294
      • 제3절 배지의 주요성분 = 296
      • 제4절 배양방법 = 297
      • 제3장 접종 = 298
      • 제1절 접종원 = 299
      • 제2절 접종조건 = 300
      • 제3절 접종균의 재 분리 = 301
      • 제4장 균주의 보존 = 301
      • 제1절 계대배양법(繼代培養法) = 301
      • 제2절 유동파라핀 중층법 = 302
      • 제3절 증류수법 = 302
      • 제4절 토양법 = 302
      • 제5절 동결법 = 303
      • 제6절 동결건조법 = 303
      • 제7절 L-건조법 = 304
      • 제8절 기주보존법 = 304
      • 제4편 분류 (勝本) = 305
      • 제1장 균류의 분류 개설 = 305
      • 제2장 문, 강, 목 과, 및 속의 일람(一覽) = 310
      • 제3장 강, 목 및 과의 해설 = 325
      • Ⅰ Myxomycota(끈적균문) = 325
      • Ⅱ Eumycota(진균문)
      • A. Mastigomycotina(편모균아문) = 325
      • B. Zygomycotina(접합균아문) = 329
      • C. Ascomycotina(자낭균아문) = 330
      • D. Basidiomycotina(담자균아문) = 339
      • E. Deuteromycotina(불완전균아문) = 343
      • 제4장 주요한 과 및 속의 해설 = 345
      • 1. Plasmodiophoraceae(무사마귀병균과) = 345
      • 2. Olpidiaceae(올피디아과) = 346
      • 3. Synchytriaceae(녹병꼴균과) = 347
      • 4. Physodermataceae(피소델마과) = 348
      • 5. Saprolegniaceae(물곰팡이과) = 348
      • 6. Pythiaceae(부패균과) = 349
      • 7. Peronosporaceae(노균병균과) = 350
      • 8. Albuginaceae(흰녹가루병균과) = 350
      • 9. Mucoraceae(털곰팡이과) = 350
      • 10. Choanephoraceae(코아네포라과) = 350
      • 11. Protomycetaceae(프로트미세스과) = 351
      • 12. Taphrinaceae(타프리나과) = 352
      • 13. Ophiostomataceae(오피오스토마과) = 352
      • 14. Erysiphaceae(흰가루병균과) = 353
      • 15. Trichosphaeriaceae(트리코스파에리아) = 353
      • 16. Clavicipitaceae(맥각균과) = 353
      • 17. Acrospermaceae(아크로수페르뮴과) = 354
      • 18. Hypocreaceae(육좌균과) = 354
      • 19. Nitschkiaceae(니취키아과) = 356
      • 20. Diatrypaceae(디아트리페과) = 356
      • 21. Valsaceae(발사과) = 357
      • 22. Gnomoniaceae(구모니아과) = 357
      • 23. Melanconidaceae(멜랑코니스과) = 357
      • 24. Phyllachoraceae(필라코라과) = 357
      • 25. Hyponectriaceae(히포넥트리아과) = 359
      • 26. Xylariaceae(콩꼬투리버섯과) = 361
      • 27. Dermateaceae(살갗버섯과) = 361
      • 28. Hyaloscyphaceae(거미줄종지버섯과) = 363
      • 29. Sclerotiniaceae(균핵병균과) = 364
      • 30. Leotiaceae(두건버섯과) = 364
      • 31. Helvellaceae(안장버섯과) = 365
      • 32. Sarcoscyphaceae(술잔버섯과) = 366
      • 33. Rhytismataceae(리티스마과) = 366
      • 34. Meliolaceae(멜리오라과) = 367
      • 35. Elsinoaceae(엘시노에과) = 368
      • 36. Asterinaceae(아스테리나과) = 368
      • 37. Microthyriaceae(미크로치리움과) = 368
      • 38. Schizothyriaceae(스키조치리움과) = 369
      • 39. Capnodiaceae(카프노디움과) = 369
      • 40. Dothideaceae(갈색무늬병균과) = 369
      • 41. Mycosphaerellaceae(미코스파에레라과) = 370
      • 42. Coccoideaceae(콕코이데아과) = 371
      • 43. Parodiopsidaceae(파로디오프시스과) = 371
      • 44. Cucurbitariaceae(쿠쿨비타리아과) = 371
      • 45. Parodiellaceae(파로디에라과) = 372
      • 46. Venturiaceae(벤츄리아과) = 372
      • 47. Botryosphaeriaceae(보트리오스파에리아과) = 373
      • 48. Pleosporaceae(플레오스포라과) = 374
      • 49. Leptosphaeriaceae(렙토스파에리아과) = 374
      • 50. Hysteriaceae(히스테리움과) = 375
      • 51. Melanommataceae(멜라놈마과) = 375
      • 52. Ustilaginaceae(깜부기병균과) = 376
      • 53. Tilleuaceae(비린깜부기병균과) = 376
      • 54. Graphiolaceae(그라피올라과) = 376
      • 55. Pucciniastraceae(푹키니아스트륨과) = 376
      • 56. Coleosporiaceae(콜레오스폴리움과) = 376
      • 57. Melampsoraceae(멜람프소라과) = 377
      • 58. Cronartiaceae(크로날티움과) = 377
      • 59. Phakopsoraceae(파코프소라) = 377
      • 60. Mikronegeriaceae(미크로네게리아과) = 377
      • 61. Chaconiaceae(카코니아과) = 377
      • 62. Uropyxidaceae(우로픽시스과) = 377
      • 63. Pileolariaceae(필레올라리아과) = 377
      • 64. Raveneliaceae(라베네리아과) = 377
      • 65. Phragmidiaceae(프라그미디움과) = 377
      • 66. Sphaerophragmiaceae(스파에로프라그리움과) = 377
      • 67. Pucciniaceae(푹키니아과) = 377
      • 68. Pucciniosiraceae(푹키니오시라과) = 377
      • 69. Uredinales Imperfecti(불완전녹병균류) = 378
      • 70. Auriculariaceae(목이과) = 378
      • 71. Septobasidiaceae(고약병균과) = 378
      • 72. Exobasidiaceae(떡병균과) = 378
      • 73. Ceratobasidiaceae(세라토바시디움과) = 378
      • 74. Clavariaceae(싸리(국수)버섯과) = 379
      • 75. Corticiaceae(고약버섯과) = 379
      • 76. Polyporaceae(구멍장이버섯과) = 380
      • 77. Tricholomataceae(송이과) = 380
      • 78. Agonomycetaceae(무포자불완전균과) = 380
      • 79. Moniliaceae(모닐리아과(무색분생포자병과)) = 380
      • 80. Dematiaceae(흑색분생포자병과) = 384
      • 81. Stilbellaceae(분생포자병속균과) = 386
      • 82. Tuberculariaceae(투베르쿨라리아과) = 386
      • 83. Sporobolomycetaceae(스포로보로미케스과) = 389
      • 84. Melanconiaceae(멜란코니움과) = 389
      • 85. Coryneaceae(코리네움과) = 390
      • 86. Sphaerioidaceae(스파에리오이드과(병자각균과)) = 393
      • 87. Leptostromataceae(렙토스트로마과) = 395
      • 88. Excipulaceae(엑스키플라과) = 396
      • 89. Pycnothyriaceae(피크노칠리움과) = 396
      • 주요 참고서 및 문헌 = 398
      • Index = 415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정보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 구매링크
      정가 판매가(할인율) 포인트(포인트몰)
      예스24.com

      신편 식물병원균류해설

      판매중 20,000원 20,000원 (0%)

      종이책 구매

      0포인트 (0%)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