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령자의 정보격차와 노년기 삶의 질 = Digital Divide and Quality of Life in Old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38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COVID-19 감염의 확산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일반화되면서 고령자들도 과거에 비해 정보통신기술을 더 많이 의존하면서 생활하고 있다. 그러나 고령층은 디지털 기기에 접...

      COVID-19 감염의 확산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일반화되면서 고령자들도 과거에 비해 정보통신기술을 더 많이 의존하면서 생활하고 있다. 그러나 고령층은 디지털 기기에 접근할 수 있는 수단과 능력이 젊은 세대들에 비해 뒤처질 뿐만 아니라 접근했다고 하더라도 활용능력이 더 미약한 편이다. 곧 정보격차로 인하여 고령자들의 사회적 고립 현상이 더 심화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정보격차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비롯하여 정보격차에 따른 노년기 삶의 질이 변화하는 양상, 그리고 고령자의 스마트 기기나 디지털정보의 활용 능력 등을 간략하게 개괄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보격차를 해소시키는 다양한 방안들이 고령자에 초점을 맞추면서 논의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lder adults have been more dependent upo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hile they have recently sticked to the ‘social distancing’ policy due to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they had worse abilities and less means...

      Older adults have been more dependent upo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hile they have recently sticked to the ‘social distancing’ policy due to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they had worse abilities and less means to access to digital devices than the younger age groups, and less competence to utilize the devices even they succeeded to access to them. They are getting more isolated socially owing to the digital divide. Therefore, it was roughly reviewed the effects of the digital divide on daily life, the changes in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due to the digital divide, and the older adults’ capabilities of utilizing smart devices and digital information in this study. Finally, a variety of ways were proposed to resolve the digital divide for the older adults in the discus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정보격차 Ⅱ. 스마트 사회와 적응 Ⅲ. 고령자의 정보격차와 노년기 삶 Ⅳ. 정보격차 해소방안
      • Ⅰ. 정보격차 Ⅱ. 스마트 사회와 적응 Ⅲ. 고령자의 정보격차와 노년기 삶 Ⅳ. 정보격차 해소방안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송, "코로나19 전후 학교 내 학력격차 실태 분석: 서울 소재 중학교 학업성취등급 분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31 (31): 53-74, 2021

      2 박미희, "코로나19 시대의 교육격차 실태와 교육의 과제: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30 (30): 113-145, 2020

      3 조진우,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법학연구소 32 (32): 11-42, 2021

      4 정용균, "장·노년층의 성공적 노화와 정보화교육 유용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자유시민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e-비즈니스학회 20 (20): 43-57, 2019

      5 민영,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8 (48): 150-187, 2011

      6 김지현, "우리는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노년층 내에서의 디지털 격차 결정요인" 한국정보사회학회 21 (21): 33-64, 2020

      7 하재현, "비대면 시대 고령자의 키오스크 사용자 경험 증대 연구-맥도날드 키오스크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285-292, 2021

      8 임주희, "디지털 리터러시가 노년기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원격교육연구소 16 (16): 111-135, 2020

      9 허성호, "디지털 격차가 노인의 디지털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9-15, 2020

      10 황현정, "노인집단내 정보격차와 그에 따른 삶의 만족도 연구: 가구구성형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4 (24): 359-386, 2017

      1 정송, "코로나19 전후 학교 내 학력격차 실태 분석: 서울 소재 중학교 학업성취등급 분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31 (31): 53-74, 2021

      2 박미희, "코로나19 시대의 교육격차 실태와 교육의 과제: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30 (30): 113-145, 2020

      3 조진우,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법학연구소 32 (32): 11-42, 2021

      4 정용균, "장·노년층의 성공적 노화와 정보화교육 유용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자유시민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e-비즈니스학회 20 (20): 43-57, 2019

      5 민영,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접근, 활용, 참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8 (48): 150-187, 2011

      6 김지현, "우리는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노년층 내에서의 디지털 격차 결정요인" 한국정보사회학회 21 (21): 33-64, 2020

      7 하재현, "비대면 시대 고령자의 키오스크 사용자 경험 증대 연구-맥도날드 키오스크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285-292, 2021

      8 임주희, "디지털 리터러시가 노년기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원격교육연구소 16 (16): 111-135, 2020

      9 허성호, "디지털 격차가 노인의 디지털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9-15, 2020

      10 황현정, "노인집단내 정보격차와 그에 따른 삶의 만족도 연구: 가구구성형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4 (24): 359-386, 2017

      11 김경희, "노인들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에 대한 접근⋅통제능력과 사회적 소통능력을 중심으로 장년층과의 비교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7 (37): 95-138, 2020

      12 주경희, "노년층의 정보격차에 대한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과 예측변인 탐색"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5 (45): 95-121, 2018

      13 백기훈, "노년층의 스마트 정보격차 요인 및 해소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42 (42): 1207-1221, 2015

      14 박창희, "노년층 스마트 미디어와 디지털 복지-스마트 기기 접근 및 이용 격차를 중심으로-"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7 (17): 79-105, 2013

      15 김철, "고령자 대상 헬스케어에서의 인공지능 기술" 한국노년학연구회 29 (29): 107-122, 2020

      16 MSIT(Ministry of Science and ICT, 과학기술정보통신부),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Ministry of Science and ICT 2020

      17 MSIT (Ministry of Science and ICT, 과학기술정보통신부),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Ministry of Science and ICT 2019

      18 Tirado-Morueta, R., "The digital inclusion of older people in Spain : technological support services for seniors as predictor" 2021

      19 Mitchell, U., "The digital divide in health-related technology use : The significance of race/ethnicity" 59 : 6-14, 2019

      20 Van Dijk, J., "The digital divide" Polity Press 2020

      21 Anderson, M., "Tech adoption climbs among older adults" Pew research center

      22 Adamczyk, M., "Social determinants of digital exclusion in an ageing society" 8 (8): 2021

      23 Kim, K., "Smart city strategy in Korea(대한민국의 스마트시티 전략)" 1 (1): 328-355, 2020

      24 Ningrum, T., "Smart city : The main assist factor for smart cities. Analysis : A systematic review" 5 (5): 46-54, 2021

      25 Delello, J., "Reducing the digital divide : Connecting older adults to iPad technology" 36 : 3-28, 2017

      26 Statistics Korea, "Quality of life indicators in Korea 2020" Statistics Korea 2020

      27 Quan-Haase, A., "Online privacy concerns and privacy protection strategies among older adults in East York, Canada" 71 (71): 1089-1102, 2020

      28 Hwang, N., "Older adults and the digital divide: current condi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0

      29 Lissitsa, S., "Life satisfaction in the Internet age : Changes in the past decade" 54 : 197-206, 2016

      30 Ramsetty, A., "Impact of the digital divide in the age of COVID-19" 27 (27): 1147-1148, 2020

      31 Lemuria, C., "Exploring the intersection of the digital divid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 A hermeneutic literature review" 12 (12): 253-275, 2020

      32 Cho, M., "Effect of digital divide on people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2021

      33 Vogels, E, "Digital divide persists even as Americans with lower incomes make gains in tech adoption" Pew research center

      34 Gerlitz, L., "Design for product and service innovation in industry 4.0 and emerging smart society" 5 (5): 181-198, 2015

      35 Kale, N., "Classification of fraud calls by intent analysis of call transcripts" IEEE 1-6, 2021

      36 Hillier, M., "Bridging the digital divide with off-line e-learning" 39 (39): 110-121, 2018

      37 Lee, 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technologies in the healthcare industry :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18 : 2021

      38 Saod, A., "Android-based elderly support system" IEEE 136-141,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