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930년대 이충무공유적보존운동의 전개와 한계 = The Activities and Limits of the Preservation Movement of Admiral Yi Sun-Sin’s Historical Remains in the 1930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31년 5월부터 『동아일보』와 충무공유적보존회의 추진으로 전개된 이순신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은 이충무공유적보존운동으로 불린다. 이 보존운동에 대한 연구는 그 성격을 민족주의 계...

      1931년 5월부터 『동아일보』와 충무공유적보존회의 추진으로 전개된 이순신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은 이충무공유적보존운동으로 불린다. 이 보존운동에 대한 연구는 그 성격을 민족주의 계열의 국수주의적 문화운동의 한 양상으로 규정하거나, 이 운동의 전개 과정과 대중운동으로 발전된 원인을 규명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왔다. 또한 일제강점기 동안 이순신의 유물과 유적 관리의 종합적인 상황을 기술하면서 이 보존운동을 간단하게 언급한 논문도 있었다.
      본고는 이 보존운동이 조선총독부의 제약을 받지 않은 이유와 일제강점기 동안 지속되지 못한 이유를 밝히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제목에 한계라고 표현한 것은 그러한 이유들이 이 보존운동의 한계를 밝히는 작업도 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먼저 보존운동의 전개 상황을 개략적으로 살펴본 후 당시 보존운동에 대한 사회여론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주도인물의 인적 구성, 주도인물의 이순신에 대한 인식, 조선총독부의 대응으로 나누어 내적인 한계와 외적인 한계를 동시에 규명하려고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ong-A Daily News」 and 「the Society for the Preservation of Yi Sun-Sin’s Remains」 did a lot of works related to Admiral Yi Sun-Sin. These works have been known as the movements for preserving Admiral Yi Sun-Sin’s remains. Some studies co...

      「Dong-A Daily News」 and 「the Society for the Preservation of Yi Sun-Sin’s Remains」 did a lot of works related to Admiral Yi Sun-Sin. These works have been known as the movements for preserving Admiral Yi Sun-Sin’s remains.
      Some studies considered this movement as an aspect of nationalistic cultural movements. Others concentrated on the process of the movement and on finding causes why this movement had been led to public movement. And there was a study which mentioned the movement briefly, describing the management condition of Admiral Yi Sun-Sin’s remains and relic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is article attempt to clarify the reason why this preservation movement was free from the restraint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the reason why the movement couldn’t continu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So, first this article looks into the process of the preservation movement overall and the social opinion on the movement. And it looks into the leadership of the movement, their perception of Admiral Yi Sun-Sin and the response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s a result, this article investigates external limit as well as inner limit of this preservation movement at the same t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충무공유적보존운동의 전개와 여론
      • Ⅲ. 이충무공유적보존운동의 한계
      • Ⅳ. 결론
      • Ⅰ. 서론
      • Ⅱ. 이충무공유적보존운동의 전개와 여론
      • Ⅲ. 이충무공유적보존운동의 한계
      • Ⅳ.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