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자기효능감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183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기조절력, 자기효능감이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만 3, 4, 5세 유아 총 189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PASW18.00을 통해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기조절력, 자기효능감이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만 3, 4, 5세 유아 총 189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PASW18.00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 자기효능감, 문제행동의 일반적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기효능감 및 문제행동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기조절력 및 자기조절력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력, 자기효능감 및 문제행동은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자기조절력,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 문제행동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인 충동성 감소와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정서적 자기효능감이 문제행동을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문제행동을 다양한 각도에서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elf-regulation, self-efficacy of preschoolers on their problem behavi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9 preschoolers who were at the Western age of 3, 4 and 5. The findings of the st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elf-regulation, self-efficacy of preschoolers on their problem behavi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9 preschoolers who were at the Western age of 3, 4 and 5.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reschoolers in self-efficacy and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gender, but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Second, as for a pervasive trend in problem behavior, attention exerted the largest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among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ion, and that was most affected by cognitive self-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self- efficacy. Third, the preschoolers who were better at self- regulation, who had a better self-efficacy was higher showed less problem behavior.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make it possible to grasp the personal and internal variables of preschooler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problem behavio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논의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순화,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 효과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2 지혜련, "한국 취학전 어린이들의 사회적 행동에 관한 연구, Ⅱ: 3세와 5세의 어린이들에 있어서 시기와 장소의 효과" 17 : 235-248, 1980

      3 이경숙, "한국 유아 행동문제의 경향과 특성: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53-74, 2004

      4 박성주, "푸른 유치원 만 4세 유아의 또래간 사회적 힘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5 추미애,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2005

      6 김윤희, "집단미술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 청주교육대학교 2005

      7 한경애,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분노수준과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2006

      8 박수연,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 효능감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9 Bandura, A.,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교육과학사 2001

      10 김지아, "자기조절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11 김연, "유아의 정서지능,인지능력,기질과 문제행동의 관계성 및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77-298, 2004

      12 전인옥,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인과모형 탐색 -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교육신념과 양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양육행동의 영향을 중심으로" 19 (19): 169-187, 1999

      13 김태희,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4 박선미,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5 김나림, "유아의 성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4 : 129-147, 2003

      16 홍계옥, "유아의 성·연령·기질, 어머니 기질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3 (23): 5-22, 2003

      17 우수경, "유아의 성, 기질, 사회적 능력 및 자기통제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427-452, 2007

      18 이윤옥, "유아의 사회적 부적응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귀인과 유아의 또래수용도간에 관계" 1 (1): 289-204, 1997

      19 김연,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태도, 기질,인지능력, 사회적 능력 간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29-250, 2006

      20 정영선, "유아의 마음 이론 및 정서적 조망수용 능력과 사회적 행동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21 황윤세, "유아의 놀이특성과 자기조절력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99-116, 2011

      22 Hughes, F. P., "유아의 놀이와 발달" 창지사 1998

      23 정혜진,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능력에 따른 문제행동"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24 윤진주, "유아의 공격성과 관련변인들의 관계성 연구-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4 (14): 761-770, 2005

      25 강지현, "유아기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연령, 기질과 양육행동의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한국여성심리학회 16 (16): 1-21, 2011

      26 이정윤,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따돌림현상과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16 (16): 49-67, 2003

      27 이주리, "유아 및 아동의 가정환경 및 또래환경과 力量知覺"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28 김연, "유아 기질 및 심리적 가정환경변인과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23-49, 2008

      29 문은식,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 교사-유아관계 및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0 (10): 59-81, 2011

      30 김호정,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과 아동의 자기 조절 능력이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02

      31 김현주, "어머니의 언어적 학대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32 김현주,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 및 공격성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3 박혜경,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남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0 (40): 87-98, 2002

      34 이순형, "아동의 성별, 부모의 이혼 및 아동의 부모 양육행동 지각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181-192, 2006

      35 신영희,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대처와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1994

      36 조은영, "부모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양심간의 관계 : 유아의 두려운 기질의 중재적 역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7 유진희, "부모역할이 유아의 정서능력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8 한민경, "미술활동을 통합한 유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3 (13): 5-31, 2009

      39 이선혜, "만 5세 유아의 또래갈등에서의 사회적 힘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0 이명희, "또래관계가 어려운 아동의 놀이치료" 3 (3): 111-127, 1999

      41 김영숙, "따돌림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유아 행동 지도 방안" 7 : 109-122, 2002

      42 김선희,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양육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95-115, 2010

      43 장영숙,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문제행동과 유아의 성별, 연령, 기질 및 교사기질과의 관계 연구" 7 (7): 97-119, 2000

      44 禹希姃, "家庭環境과 兒童의 自己-效能感간의 因果模型 探索"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3

      45 Bodrova, E., "Tools of mind: A Vygotsky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ntice Hall 1996

      46 McDonald, K, "The secrets of animal play" 8 (8): 12-13, 1995

      47 Fagan, J., "The intervation between child sex and temperament in predicting behavior problem of preschool-age child in daycare" 59 : 2-12, 1990

      48 Damon, W., "The development of self-understanding from infancy though adolescence" 53 : 841-864, 1982

      49 Maccoby, E. E., "The Psychology of sex difference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4

      50 Brownell, C., "Socialization of Self-regulation: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ver age and context" 1997

      51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1986

      52 Cohn, L. D., "Sex differences in the course of personality development : A meta-analysis" 109 (109): 252-266, 1991

      53 Bronson, M. B.,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Guilford Press 2000

      54 Nelson, B, "Modeling the prediction of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from preschool temperament" 26 (26): 687-700, 1999

      55 Wylie, R. C., "Measures of self-concept" University of Nebrask Press 1989

      56 Donnellian, M. B., "Low Self-Esteen is Related to Aggression, Antisocial Behavior and Deliquency" 16 (16): 328-335, 2005

      57 Plakowski, M., "Linking self-social control with deviance : Illuminating the structure underlying a general theory of crime and its relation to deviant activity" 10 (10): 156-164, 1994

      58 Howlin, P., "Language develpoment and disorders" McaKeith 1987

      59 McKee, L., "Harsh discipline and child problem behaviors : The roles of positive parenting and gender" 22 : 187-196, 2007

      60 Harter, S., "Handhook of Child psychology" John Wiley & Sons 2006

      61 Bandura, A., "Handbook of moral thought and development(Voll : Theory)" Hillsdale 1991

      62 Marjorie Kostelnlik,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6th" Delmar 2009

      63 Klein, H. A., "Early Childhood group care : Predicting adjustment from individual temperament" 137 : 125-131, 1980

      64 Marthiesen, K. S., "Dimensions early childhood bejavior problems : Stability and predictors of change from 18 to 30 months" 28 (28): 15-31, 2000

      65 Wulfert, E., "Delay of Gratification Impulsive choices and problem behaviors in early and late adolescence" 70 : 533-542, 2002

      66 Schonfeld, I. S., "Conduct disorder and cognitive functioning : Testing three causal hypotheses" 59 : 993-1007, 1988

      67 Hughes, M. Pinkerton, "Children`s difficulties on starting infant school" 20 : 187-196, 1979

      68 Lewis, D., "Childhood social development" Erlbaum 2004

      69 Dodge, K. A, "Behavioral antencedent of peer social satus" 54 : 1386-1399, 1983

      70 Kopp, C. B., "Antecedent of Self-Regulation : A Developmental Perspective" 18 (18): 199-214, 1982

      71 양옥승, "3~6세 유아의 자기조절력 측정척도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161-187,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4 2.04 2.1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2 1.95 2.428 0.7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