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클립으로 지혈된 십이지장 제3부의 거대 게실 내 Dieulafoy 병변 = Hemoclipped Dieulafoy's Lesion in Giant Diverticulum in the 3rd Portion of Duoden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37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duodenal diverticulum is common in the second portion of the duodenum and can occur at any age. An obstruction, bleeding, perforation, diverticulitis are not an uncommon complicationa of duodenal diverticulum. As a rare complication, bleeding in the...

      A duodenal diverticulum is common in the second portion of the duodenum and can occur at any age. An obstruction, bleeding, perforation, diverticulitis are not an uncommon complicationa of duodenal diverticulum. As a rare complication, bleeding in the duodenal diverticulum may be massive, and duodenal diverticulum is resected primarily as a result of the difficulty in determining the site of bleeding. However, there has been a recent increase in endoscopic diagnosis and the treatment of diverticular bleeding. Band ligation increases the risk of duodenal diverticular perforation because of the thin diverticular wall. An endoscopic hemoclip is a preferable method for endoscopic sclerotherapy. We report a 48- year-old man with a giant duodenal diverticulum that was treated with a hemoclip. The duodenal diverticular perforation was treated effectively with supportive care.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7;35:441-444)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십이지장 게실은 주로 제2부에 발생하고 폐색, 출혈, 천공, 게실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십이지장 게실 내의 출혈은 드문 합병증으로 가끔 대량 출혈을 초래할 수 있다. 십이지장 게실 출혈...

      십이지장 게실은 주로 제2부에 발생하고 폐색, 출혈, 천공, 게실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십이지장 게실 내의 출혈은 드문 합병증으로 가끔 대량 출혈을 초래할 수 있다. 십이지장 게실 출혈은 상부 위장관 내시경검사로 출혈 장소를 확인하기 어려워 수술적 절제술로 치료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내시경 접근을 통해 게실 출혈의 진단과 치료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내시경 경화 요법이나 밴드 결찰술 등은 게실의 벽이 얇기 때문에 천공의 위험이 높아 지혈 클립이 가장 선호되는 내시경 치료로 인정받고 있다. 저자들은 남자 48세 환자에서 발생한 거대 십이지장 게실 내의 Dieulafoy 출혈을 지혈 클립을 사용한 치료 후 십이지장 천공이 발생하였고 이를 보존적 치료 후 효과적으로 치유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he caliber persistent artery of the stomach:a unifying approach to gastric aneurysm,Dieulafoy's lesion,and submucosal arterial malformation" 19 : 914-921, 1988

      2 "Symptomatic duodenal diverticulum" 24 : 753-757, 1992

      3 "Successful combination endoscopic therapy for duodenal Dieulafoy's lesion" 91 : 818-819, 1996

      4 "Review of duodenal diverticula" 86 : 935-938, 1991

      5 "Periampullary diverticulum: a case of bleeding from a periampullary diverticula" 34 : 636-638, 2005

      6 "Management of duodenal perforation after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and sphincterotomy" 232 : 191-198, 2000

      7 "Management of duodenal diverticula" 25 : 311-314, 1982

      8 "Endoscopic treatment of Dieulafoy's lesion of the duodenum" 85 : 452-454, 1990

      9 "Endoscopic therapy of a bleeding duodenal diverticulum" 90 : 1328-1329, 1995

      10 "Endoscopic management of hemorrhage from a duodenal diverticulum" 48 : 418-420, 1998

      1 "The caliber persistent artery of the stomach:a unifying approach to gastric aneurysm,Dieulafoy's lesion,and submucosal arterial malformation" 19 : 914-921, 1988

      2 "Symptomatic duodenal diverticulum" 24 : 753-757, 1992

      3 "Successful combination endoscopic therapy for duodenal Dieulafoy's lesion" 91 : 818-819, 1996

      4 "Review of duodenal diverticula" 86 : 935-938, 1991

      5 "Periampullary diverticulum: a case of bleeding from a periampullary diverticula" 34 : 636-638, 2005

      6 "Management of duodenal perforation after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and sphincterotomy" 232 : 191-198, 2000

      7 "Management of duodenal diverticula" 25 : 311-314, 1982

      8 "Endoscopic treatment of Dieulafoy's lesion of the duodenum" 85 : 452-454, 1990

      9 "Endoscopic therapy of a bleeding duodenal diverticulum" 90 : 1328-1329, 1995

      10 "Endoscopic management of hemorrhage from a duodenal diverticulum" 48 : 418-420, 1998

      11 "Efficacy of endoscopic clipping and long-term follow-up of bleeding Dieulafoy's lesions in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53 : 224-227, 2006

      12 "Duodenal perforation due to hemoclipping for the Dieulafoy's lesion in a duodenal diverticulm" 30 : 160-163, 2005

      13 "Dieulafoy's disease:endoscopic treatment and follow up" 34 : 1418-1421, 1993

      14 "Dieulafoy's disease of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clinical features and endoscopic treatment" 19 : 18-25, 1999

      15 "Appropriate use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52 : 831-837,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2-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Clinical Endoscopy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Clinical Endoscop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KCI등재후보
      2006-06-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2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8 0.3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