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에 전해진 『법화참법(法華懺法)』의 독자성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법화삼매 수행법은 중국의 혜사(慧思)가 처음으로 창안하여 전하였다. 그의 제자인 천태지의(智顗)는 더욱 발전시켜 『화삼매참의(法華三昧懺儀)』를 찬술하여 전승 하였다. 이수행법은 예...

      법화삼매 수행법은 중국의 혜사(慧思)가 처음으로 창안하여 전하였다. 그의 제자인 천태지의(智顗)는 더욱 발전시켜 『화삼매참의(法華三昧懺儀)』를 찬술하여 전승 하였다. 이수행법은 예불, 육근참회, 권청(勸請), 수희(隨喜), 회향(回向), 발원(發願), 법화경 독송, 실상정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찍이 이 수행법은 우리나라와 일본에 전해져서 대대로 수행해 왔다. 일본에는 사이첞(最澄)에 이어 엔닌(圓仁)이 전한 것이 『법화참법(法華懺法)』이다.
      그런데 여기에는 몇 가지 면에서 기존의 법화삼매집과 차이가 있다. 첫째 이 수행에 가장 중요한 실상정관법(實相正觀法)이 빠져 있다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그 정본 여부를 이 실상 정관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이 본을 법화삼매 정본(正本)으로 볼 수 있느냐는 문제가 제기된다. 하지만 『마하지관』의 원돈(圓頓)의 삼매수행에 포함할 수 있고, 육근참회(六根懺悔)를 통해 육근청정(六根淸淨)에 들어가는 수행 등이 법화삼매 수행법에는 어긋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이 수행법에는 다른 법화삼매 수행법에는 나타나지 않는 구조석장게(九條錫杖偈), 칠불통게(七佛通偈)와 왕생예찬(往生禮讚)이 범패(梵唄)와 함께 추가 되어 있다. 이는 법화삼매가 엄격한 깨달음을 얻는 수행이라는 기존인식에서 벗어나, 일상생활 속에서 누구나 쉽게 닦을 수 있는 예시작법(例時作法)으로 만들어 대중성을 강화시킨 수행법으로 변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otus Samadhi practice method was first created and passed down by Huisi 慧思 of China. His disciple Tiantai Jiui 智顗 developed this further to pass down the 『Repentance Ritual of the Ṣaddharma-puṇḍarīika-samādhi(法華三昧懺儀)...

      The lotus Samadhi practice method was first created and passed down by Huisi 慧思 of China. His disciple Tiantai Jiui 智顗 developed this further to pass down the 『Repentance Ritual of the Ṣaddharma-puṇḍarīika-samādhi(法華三昧懺儀)』. This practice method is composed of the prayer chant, Precepts of Six-sense Faculties, imploring the discourse to the Buddha so that one may deliver sentient beings who are in the dark(勸請), rejoicing with others for their good conducts(隨喜), dedication or transference of merits for the benefit of other beings(回向), great aspiration for attaining enlightenment(發願), reading and reciting the Lotus Sutra, the ultimately true feature and right contemplation etc. From early on, this practice method has been passed down to Korea and Japan, and practic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Japan, there is the 『Repentance Method of the Lotus Sutra(法華懺法)』 that was passed on by Ennin(圓仁) following Saichō(最澄).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here with the existing the Samādhi of Lotus. First, the ultimately true feature and right contemplation method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o this practice is missing. In China, whether or not the text is an original was judged by this the ultimately true feature and right contemplation(實相正觀). For this reason, the issue is raised for instance whether this version is considered to be an original text(正本) of the Samādhi of Lotus. However, it can be included in the Samādhi practices of Weondon in the 『Great Shamatha-vipashyana摩訶止觀』, and we can say that the practices of entering purity of the six faculties through the Precepts of Six-sense Faculties is not disjointed from the Samādhi of Lotus practice methods. Second, this practice method includes the Gujyoseokjangga (九條錫杖偈), the verse of the common teaching of the Seven Buddhas, and the Buddhist songs of Wangsaengyaechan(往生禮讚) which do not appear in other the Samādhi of Lotus practice methods. We can say that this is a practice method, departing from the existing perception that the Samādhi of Lotus is a strict practice method to achieve enlightenment and changing it into a rite for regular practice(例時作法) where anybody can practice it easily in their everyday life, to strengthen mass appe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
      • Ⅰ. 서언
      • Ⅱ. 수행체계의 독자성
      • Ⅲ. 실상정관이 없는 법화삼매 수행집
      • Ⅳ. 기타게송(칠불통계게, 육시무상게, 구조석장게)과 법화삼매의 대중화
      • 〈한글요약〉
      • Ⅰ. 서언
      • Ⅱ. 수행체계의 독자성
      • Ⅲ. 실상정관이 없는 법화삼매 수행집
      • Ⅳ. 기타게송(칠불통계게, 육시무상게, 구조석장게)과 법화삼매의 대중화
      • Ⅴ. 결어
      • 〈참고문헌〉
      • 〈Abstr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운, "천태불교학의 통일론과 湛然의 법화삼매 修行論"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11) : 155-186, 2008

      2 이기운, "일본 法華懺法의 사상과 그 특징에 관한 연구" 일본불교사연구회 (7) : 43-73, 2012

      3 학담, "법화삼매의 길-法華三昧-" 큰수레 2007

      4 이기운, "고려의 법화삼매 수행법 재조명 —새로 발견된 법화삼매 수행집을 중심으로—"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4) : 139-169, 2011

      5 서윤길, "韓國天台思想硏究" 동국대학교출판부 1983

      6 "釋氏要覽 卷中"

      7 灌頂, "觀心論疏 卷第三"

      8 "法華經安樂行義"

      9 定珍記, "法華懺法私" 春秋社 2000

      10 慈門集錄, "法華懺法略抄" 春秋社 2000

      1 이기운, "천태불교학의 통일론과 湛然의 법화삼매 修行論"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11) : 155-186, 2008

      2 이기운, "일본 法華懺法의 사상과 그 특징에 관한 연구" 일본불교사연구회 (7) : 43-73, 2012

      3 학담, "법화삼매의 길-法華三昧-" 큰수레 2007

      4 이기운, "고려의 법화삼매 수행법 재조명 —새로 발견된 법화삼매 수행집을 중심으로—"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4) : 139-169, 2011

      5 서윤길, "韓國天台思想硏究" 동국대학교출판부 1983

      6 "釋氏要覽 卷中"

      7 灌頂, "觀心論疏 卷第三"

      8 "法華經安樂行義"

      9 定珍記, "法華懺法私" 春秋社 2000

      10 慈門集錄, "法華懺法略抄" 春秋社 2000

      11 慈覺, "法華懺法"

      12 橫超慧日, "法華思想の硏究" 平樂寺書店 1975

      13 "法華三昧行事運想補助儀"

      14 "法華三昧懺儀勘定元本序"

      15 이기운, "東北亞 삼국의 法華三昧 行法體系 硏究" 동양철학연구회 (70) : 309-337, 2012

      16 "摩訶止觀 卷第二"

      17 大野榮人, "天台止觀成立史の硏究" 法藏館 1994

      18 隋智顗撰, "天台智者大師發願文"

      19 佐等哲英, "天台大師の硏究" 白華苑 1994

      20 吳知娟, "南嶽慧思의 法華三昧 연구 : 《法華經安樂行義》를 중심으로"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2

      21 曺良淑, "南嶽慧思の修行道論" 立正大學 1996

      22 智旭, "佛說阿彌陀經要解便蒙鈔 卷中"

      23 "佛祖統紀 卷第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9-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Buddhist Cultur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Institute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5 1.31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