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국내 집단설계 연구를 중심으로 =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pre-service and incumbent teachers: Focusing on domestic group design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486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of incumbent and pre-service teachers. 30 studies centered on domestic group design were selected and 74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effect size calcul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of incumbent and pre-service teachers. 30 studies centered on domestic group design were selected and 74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effect size calculated in each stud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 the school level of the study subject, the number of intervention sessions, and the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what is the overall effect size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904, it can be seen as a high effect size. Second, incumbent teachers showed a higher effect size than pre-service teachers. Third, kindergarten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and middle and high school showed the lowest effect size. Fourth, in terms of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number of arbitration sessions, more than 20 sessions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and less than 10 sessions showed a small effect size. Fifth,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dependent variable showed a high effect size for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and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perception showed a medium effect size.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사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국내 집단설계 중심의 연구30편을 선정하고 74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각 연구에서 산출된 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사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국내 집단설계 중심의 연구30편을 선정하고 74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각 연구에서 산출된 효과크기는 연구대상, 연구대상의 학교 급, 중재 회기 수, 종속변인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교사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904로 Cohen의 기준에 따르면 높은 효과크기로 볼 수 있다. 둘째, 현직교사가 예비교사보다 더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셋째, 학교 급 효과크기에서는 유치원이 가장 높았으며 중고등이 가장 낮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넷째, 중재 회기 수에 따른 효과크기에서는 20회기 이상이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이고 10회 미만이 작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다섯째,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다문화효능감, 다문화역량이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고 다문화태도와 다문화인식이 중간효과크기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논의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