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치의 사법화와 헌법재판의 정치화 = Judicialization of Politics and Politicization of Constitutional Adjudication - Universal Trends and Korean Characteristics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the various discourse surrounding Korean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ystem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It seeks to understand the Korean system by reference to leading theories on the worldwide expansion of constitu...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the various discourse surrounding Korean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ystem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It seeks to understand the Korean system by reference to leading theories on the worldwide expansion of constitutional adjudication. It shows that Korea may be seen as an instance of the global spread of “court-centered” constitutionalism and that judicialization of politics is an inevitable phenomenon in that process. It analyzes the Korean situation in light of Hirschl’s three levels of judicialization of politics and Ferejohn’s two leading causes of judicialization. Next, it introduces a paradox that appears when we apply to the Korean scene Rosenfeld’s explan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European and American systems of constitutional adjudication. It then provides an explanation by showing that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is situated in an institutional matrix which causes it to attract charges of undue politicization, in manner similar to the U.S. Supreme Court. Despite its European pedigree, the Korean Court is more akin to the American model regarding politicization of cour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우리 헌법재판제도 및 그에 관한 담론에 대한 비교헌법학적 고찰이다. 특히 최근 헌법재판에 대한 논의를 이끌고 있는 외국학자들의 이론에 비추어 우리 헌법재판을 이해하는 것의 ...

      이 글은 우리 헌법재판제도 및 그에 관한 담론에 대한 비교헌법학적 고찰이다. 특히 최근 헌법재판에 대한 논의를 이끌고 있는 외국학자들의 이론에 비추어 우리 헌법재판을 이해하는 것의 효용과 한계를 가늠해보려는 시도다. 입헌주의의 역사적인 발달과정과 관련하여 살펴볼 때, 우리 헌법재판제도는 현재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재판중심적” 입헌주의의 한 예로 볼 수 있음을 논하고, 그러한 입헌주의 하에서 정치의 사법화는 어느 정도 불가피함을 살피고자 한다. 이론적으로는 허쉴(Hirschl)이 제시하는 사법화의 세 가지 층위와 페레존(Ferejohn)이 거론하는 사법화를 조장하는 두 가지 요인에 비추어서 우리 헌법재판소의 현주소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미국과 유럽의 헌법재판제도의 차이에 관한 로젠펠드(Rosenfeld)의 설명을 우리나라에 적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역설적인 현상을 소개함으로써 우리 헌법재판제도의 특이성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우리 헌법재판제도의 몇 가지 특징으로 말미암아 헌법재판의 정치화가 더욱 심하게 나타나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음을 밝힌다. 이로 인하여 외견상 유럽형 헌법재판제도를 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연방대법원을 둘러싼 사법의 정치화 담론과 유사한 현상이 나타남을 지적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재판중심적” 입헌주의의 확산: 세계적 보편성
      • Ⅲ. “혼합형” 헌법재판제도: 한국적 특수성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재판중심적” 입헌주의의 확산: 세계적 보편성
      • Ⅲ. “혼합형” 헌법재판제도: 한국적 특수성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함재학, "헌법재판의 정치성에 대하여* - “헌법적 대화” 모델을 위한 제언" 한국헌법학회 16 (16): 613-651, 2010

      2 허완중, "헌법재판소의 지위와 민주적 정당성" 법학연구원 (55) : 1-37, 2009

      3 박종현, "헌법재판소의 전략적 헌법담론 -헌법재판소 2009.09.24. 2008헌가25 결정과 2009.10.29. 2009헌라8 결정에서의 헌법적 논증에 대한 비판" 법과사회이론학회 (39) : 11-40, 2010

      4 차동욱, "헌법재판소는 국회의 안티테제인가:현대적 권력분립원리하에서의 두 헌법기관의 관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2 (12): 183-221, 2006

      5 국순옥, "헌법재판관들의 사법 쿠데타" (27) : 2005

      6 김승대, "헌법재판과 정책결정 - 국가정책 결정과정에 대한 적극적 헌법심사의 이론적 모색 -" 법학연구소 48 (48): 1-32, 2008

      7 이시윤, "헌법재판 10년의 회고와 전망" 27 (27): 1999

      8 박명림, "헌법, 헌법주의, 그리고 한국 민주주의;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사태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9 (39): 253-276, 2005

      9 장 훈, "한국 대통령제의 불안정성의 기원" 35 (35): 2002

      10 전학선, "프랑스 헌법재판제도의 개혁과 한국 헌법재판의 비교*" 한국비교공법학회 10 (10): 267-300, 2009

      1 함재학, "헌법재판의 정치성에 대하여* - “헌법적 대화” 모델을 위한 제언" 한국헌법학회 16 (16): 613-651, 2010

      2 허완중, "헌법재판소의 지위와 민주적 정당성" 법학연구원 (55) : 1-37, 2009

      3 박종현, "헌법재판소의 전략적 헌법담론 -헌법재판소 2009.09.24. 2008헌가25 결정과 2009.10.29. 2009헌라8 결정에서의 헌법적 논증에 대한 비판" 법과사회이론학회 (39) : 11-40, 2010

      4 차동욱, "헌법재판소는 국회의 안티테제인가:현대적 권력분립원리하에서의 두 헌법기관의 관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2 (12): 183-221, 2006

      5 국순옥, "헌법재판관들의 사법 쿠데타" (27) : 2005

      6 김승대, "헌법재판과 정책결정 - 국가정책 결정과정에 대한 적극적 헌법심사의 이론적 모색 -" 법학연구소 48 (48): 1-32, 2008

      7 이시윤, "헌법재판 10년의 회고와 전망" 27 (27): 1999

      8 박명림, "헌법, 헌법주의, 그리고 한국 민주주의;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사태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9 (39): 253-276, 2005

      9 장 훈, "한국 대통령제의 불안정성의 기원" 35 (35): 2002

      10 전학선, "프랑스 헌법재판제도의 개혁과 한국 헌법재판의 비교*" 한국비교공법학회 10 (10): 267-300, 2009

      11 이상영, "토지공개념의 의미와 택지소유상한제법의 위헌 결정에 대한 비판" 16 : 1999

      12 정태욱, "법치주의와 사법부의 독립-‘민주주의 후퇴’ 시대의 법철학적 단상" 법학연구소 12 (12): 37-64, 2009

      13 이명웅, "민주주의와 헌법재판: 헌법재판의 정당성 문제" 18 : 2007

      14 최대권, "민주주의와 법치주의: 헌법재판의 정치학" 19 : 2008

      15 박경철, "국민주권, 국민의 헌법제정권력 그리고 관습헌법" 한국헌법학회 13 (13): 197-235, 2007

      16 Quint, Peter, "“The Most Extraordinarily Powerful Court of Law the World Has Ever Known”? Judicial Review in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65 : 152-, 2006

      17 김종철, "‘정치의 사법화’의 의의와 한계 ―노무현정부전반기의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공법학회 33 (33): 229-251, 2005

      18 박은정, "‘정치의 사법화(司法化)’와 민주주의" 법학연구소 51 (51): 1-26, 2010

      19 Ackerman, Bruce, "Transformative Appointments" 101 : 1164-, 1988

      20 Hirschl, Ran, "Towards Juristocracy: The Origins and Consequences of the New Constitutionalism" Harvard University Press 2004

      21 Pildes, Richard H., "The Supreme Court, 2003 Term--Foreword: The Constitutionalization of Democratic Politics" 118 : 29-, 2004

      22 Segal Jeffrey A., "The Supreme Court and the Attitudinal Model"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23 Leuchtenburg, William E., "The Origins of Franklin D. Roosevelt's “Court-Packing” Plan" 1966 : 347-, 1966

      24 Hirschl, Ran, "The New Constitutionalism and the Judicialization of Pure Politics Worldwide" 75 : 721-, 2006

      25 Landfried, Christine, "The Judicialization of Politics in Germany" 15 (15): 1994

      26 Burt, Robert, "The Constitution in Conflict"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27 Tushnet, Mark, "Taking the Constitution Away from the Cour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0

      28 Goldstein, Leslie F., "Review Essay: From Democracy to Juristocracy" 38 : 611-, 2004

      29 Tushnet, Mark, "Law and Prudence in the Law of Justiciability: The Transformation and Disappearance of the Political Question Doctrine" 80 : 1203-, 2002

      30 Fabbrini, Federico, "Kelsen in Paris: France's Constitutional Reform and the Introduction of A Posteriori Constitutional Review of Legislation" 9 : 1297-, 2008

      31 Ferejohn, John, "Judicializing Politics, Politicizing Law" 65 : 41-, 2002

      32 Kelsen, Hans, "Judicial Review of Legislati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Austrian and the American Constitution" 4 (4): 1942

      33 Henkin, Louis, "Is There a “Political Question” Doctrine" 85 : 597-, 1976

      34 Tomkins, Adam, "In Defense of the Political Constitution" 22 (22): 2002

      35 Ackerman, Bruce, "Higher Lawmaking, In Responding to Imperfection" Princeton Univesity Press 1995

      36 Scheppele, Kim Lane, "Guardians of the Constitution: Constitutional Court Presidents and the Struggle for the Rule of Law in Post-Soviet Europe" 154 : 1757-, 2006

      37 Alder, John, "Dissents in Courts of Last Resort: Tragic Choices" 20 (20): 2000

      38 Gordon, Scott, "Controlling the State: Constitutionalism from Ancient Athens to Toda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39 Rosenfeld, Michel, "Constitutional Adjudication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Paradoxes and Contrasts" 2 : 633-, 2004

      40 Hilbink, Lisa, "Beyond Manicheanism: Assessing the New Constitutionalism" 65 : 15-, 2006

      41 Caenegem, R. C. van, "An Historical Introduction to Western Constitutional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42 Griffin, Stephen M., "American Constitution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8

      43 Stone Sweet, "Alec. Governing With Judg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44 조지형, "87년 헌법의 역사화와 시대적 소명" 법과사회이론학회 38 (38): 159-184,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9 0.87 0.967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