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elf-Regulated Learning in Dictogloss based on Online Learning Platfor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80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딕토글로스를 시행할 때 한국 EFL학습자들의 자기 조절 학습 능력이 어떻게 활용되는지와 이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딕토글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딕토글로스를 시행할 때 한국 EFL학습자들의 자기 조절 학습 능력이 어떻게 활용되는지와 이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딕토글로스 활동 중 자기 조절 학습 요인의 적용과정을 살펴보기 위해서 7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1학기 온라인 수업 중 수집한 다양한 데이터(채팅, 메일, 및 자기 성찰 노트)를 분석하였으며 참가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학기 말 강의 평가와 설문조사(5점 리커트 척도와 개방형)를 실시하여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이 3가지의 주요한 특징이 나타났다. 첫째, 자기 조절 학습의 동기적 요인이 리커트 척도의 평균값에서 다른 요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딕토글로스가 자기 효능감이나 내재적 가치와 같은 정의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자기 조절 학습 전략을 고려했을 때, 메타 인지적 요인에서 참가자들은 복습과 자기 점검을 통해 학습 내용을 강화하였고, 또한, 행동적 요인에서는 학습 내용 이해를 위해 동료 학생들의 도움을 구하는 전략 활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셋째, 참가자들은 온라인 학습플랫폼 활용을 통해 딕토글로스의 통합적 언어 학습 효과(예를 들어, 듣기 실력과 쓰기 실력)가 있다고 인지하였으며, 이러한 학습 효과는 사고력과 실제 언어 활용(문법적, 어휘적 활용)을 향상시키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에 기반한 딕토글로스의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imary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how self-regulated learning and its various strategies are used in dictogloss and how Korean EFL learners view the benefits of dictogloss which reflect their perspective on self-regulated learning. F...

      The primary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how self-regulated learning and its various strategies are used in dictogloss and how Korean EFL learners view the benefits of dictogloss which reflect their perspective on self-regulated learning. For the study, a 5-point Likert scale survey and one open-ended question are conducted with 70 university students. Also, triangulation data, which were collected from conversations from the Zoom Chatting room, emails, and students’ evaluation of lectures, were used for in-depth research. Three critical points are detected in the empirical study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motivational process in self-regulated learning show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components which indicates that dictogloss affects affective factors of self-language learning, such as self-efficacy or intrinsic value. Second, consideri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participants reinforce their learning by reviewing and self-monitoring in terms of the metacognitive process. Also, in terms of the behavioral process, they ask for peers’ assistance. Third, participants perceive integrative language learning effects (e.g., listening and writing skills) of dictogloss which help them to improve their thinking skills and practical language use (e.g., grammatical and lexical us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Introduction
      • 2. Theoretical Background
      • 3. Methods
      • 4. Results and Discussion
      • 국문초록
      • 1. Introduction
      • 2. Theoretical Background
      • 3. Methods
      • 4. Results and Discussion
      • 5. Conclusion
      • 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