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북한 핵·미사일 위협과 대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3472572

      • 저자
      • 발행사항

        성남 : 북코리아, 2014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55.0335519 판사항(23)

      • ISBN

        9788963243498 9339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경기도

      • 서명/저자사항

        북한 핵·미사일 위협과 대응 / 권태영 [외]공저

      • 형태사항

        674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은이: 노훈, 박휘락, 문장렬, 한국안보문제연구소
        참고문헌(p. 651-663)과 색인수록

      • 소장기관
        •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도서관(중앙)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삼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순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통령기록관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우석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육군사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프롤로그 = 5
      • 제1장 북한 핵ㆍ미사일 보유와 한국안보
      • 제1절 북한 정권의 핵ㆍ미사일 보유 전략 = 27
      • 1. 북한 정권의 3차 핵실험과 장사정 로켓 발사 성공의 전략적 합의 = 27
      • 목차
      • 프롤로그 = 5
      • 제1장 북한 핵ㆍ미사일 보유와 한국안보
      • 제1절 북한 정권의 핵ㆍ미사일 보유 전략 = 27
      • 1. 북한 정권의 3차 핵실험과 장사정 로켓 발사 성공의 전략적 합의 = 27
      • 2. 북한 정권의 핵보유국 지위 확보 전략 추진 = 29
      • 3. 북한 정권의 입장에서 본 핵ㆍ미사일 보유손익계산서 = 31
      • 4. 북한 정권의 핵ㆍ미사일 실전사용 가능성 판단 = 34
      • 5. 북한정권의 핵ㆍ미사일 실전사용 시 피해 평가 = 37
      • 제2절 한국의 전략적 선택방향 = 42
      • 1. 지난 20년사이, 남북군사력균형의 대역전현상 발생 = 42
      • 2. 지난 20년사이, 한국의 중요한 안보 및 군사기재 약화 = 45
      • 3. 북한의 핵ㆍ미사일 위협 대비, 한국의 전략적 선택방향 = 47
      • 제3절 본서의 목적과 주요 내용 = 53
      • 제2장 핵무기와 미사일의 기초개념 : 기술과 전략
      • 제1절 핵무기 = 60
      • 1. 핵무기의 개념 및 유형 = 60
      • 2. 제조과정 및 핵심기술 = 83
      • 3. 전략적 함의: 글로벌 차원의 확산 통제 필요성 = 91
      • 4. 보유국 현황 및 최근동향 = 97
      • 제2절 미사일 = 101
      • 1. 미사일의 개념 및 유형 = 101
      • 2. 관련 기술 = 108
      • 3. 전략적 함의: 미사일 간 공격과 방어, 그리고 확산과 통제 = 114
      • 4. 최근 미사일 확산 및 기술 발전 동향 = 120
      • 제3절 핵과 미사일의 결합 = 123
      • 제3장 북한의 핵ㆍ미사일 : 현 능력 평가 및 향후 전망
      • 제1절 북한의 핵개발 경과 및 능력 = 128
      • 1. 북한의 핵개발 경과 = 128
      • 2. 북한의 핵능력 평가 = 138
      • 제2절 북한의 미사일 개발 경과 및 능력 = 160
      • 1. 북한의 미사일 개발경과 = 160
      • 2. 북한의 미사일 능력 평가 = 164
      • 제3절 향후 전망 = 169
      • 1. 핵능력 = 169
      • 2. 미사일 능력 = 173
      • 3.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미래 안보전략구도의 변화 = 175
      • 제4장 북한 핵ㆍ미사일 위협 분석
      • 제1절 북한 핵ㆍ미사일 개발과 활용의 의도 = 182
      • 1. 북한 핵ㆍ미사일 개발 의도 = 182
      • 2. 북한 핵ㆍ미사일 보유의 의미 = 185
      • 3. 북한 핵ㆍ미사일 활용 형태 = 187
      • 제2절 북한 핵ㆍ미사일 사용가능성과 예상형태 = 190
      • 1. 북한 핵무기 사용 여부 = 190
      • 2. 예상되는 북한의 핵사용 형태 = 193
      • 제3절 핵ㆍ미사일로 무장된 북한 정권의 실체 평가 = 199
      • 제4절 북한 정권의 3차 핵실험과 장사정 로켓 발사 성공의 전략적 함의 = 203
      • 1.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일반적 대응방법 = 203
      • 2. 한국의 현 대응능력 = 206
      • 3. 충족되어야 할 과제 = 208
      • 제5장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대응방향
      • 제1절 한국의 목표와 전략 기조 = 214
      • 1. 목표 = 214
      • 2. 목표 달성방법 = 215
      • 3. 전략기조 = 216
      • 제2절 가용한 선택방안 분석 = 219
      • 1. 6자회담을 통한 북한 비핵화 = 219
      • 2. 한국의 핵무장 = 221
      • 3. 미국핵무기의 한국 배치 = 222
      • 4. 통일을 통한 근본적 해결 = 223
      • 5. 미사일 방어체계 구축 = 224
      • 6. 군사적 수단을 통한 북한 핵무기 제거 = 225
      • 7. 분석 결과 = 226
      • 제3절 한국의 대응방향 : 억제 = 227
      • 1. 기본개념 = 227
      • 2. 핵심방향 = 229
      • 제6장 미국의 맞춤형 억제 제공의 실효성 확보방안
      • 제1절 미국의 글로벌 '맞춤형' 억제전략 탄생과정 = 241
      • 1. 냉전-제1기 핵시대(1st Nuclear Age)의 보복적 억제전략 변화 = 242
      • 2. 탈냉전-제2기 핵시대(2nd Nuclear Age)의 맞춤형 억제전략 = 243
      • 제2절 미국의 신 3축체제 구성과 맞춤형 억제전략의 전략적 함의 분석 = 247
      • 1. 신 3축체제(New Triad)의 구성 = 248
      • 2. 신 3축체제에 의한 맞춤형 억제의 전략적 함의 분석 = 248
      • 제3절 미국의 대북 맞춤형 확장억제 제공의 변화과정 분석 = 253
      • 1. 미국의 맞춤형 확장억제 제공이 북한 정권에 보내는 메시지 = 253
      • 2. 북한의 핵ㆍ미사일 가시화와 미국의 맞춤형 억제 수준 변화 분석 = 254
      • 3. 한미연례연합훈련을 통한 맞춤형 억제력 '현시 전략' 추진 = 257
      • 4. 미국의 맞춤형 억제 제공과정에 대한 전략적 이해 = 260
      • 제4절 미국의 대북 맞춤형 확장억제 제공의 실효성 확보방안 = 263
      • 1. 한국 신정부의 북한 핵ㆍ미사일 위협 억제전략기조 = 263
      • 2. 북핵ㆍWMD 위협에 대비한 한미의 '맞춤형 억제전략' 합의 = 264
      • 3. 미국의 맞춤형 확장억제 제공의 성공 요건 = 266
      • 4. 맞춤형 억제 실효성 보장의 핵심: "제4성공요건의 견고화" = 271
      • 제7장 한국적 비핵ㆍ적극예방-억제-방위전략과 3축 억제체제 구상
      • 제1절 북한의 비대칭 위협 양상 및 대칭-비대칭 복합 전면전 시나리오 구상 = 280
      • 1. 북한의 비대칭 위협 양상 = 280
      • 2. 대칭-비대칭 전면전 시나리오구상 = 281
      • 제2절 한국 방위의 기본 지향목표: 비핵ㆍ적극예방-억제-방위전략 = 285
      • 1. '비핵'(재래식) 정책 추구의 개념 = 287
      • 2. '적극예방'전략 개념 = 295
      • 3. '적극억제'전략개념 = 297
      • 4. '적극방위'전략개념 = 302
      • 5. '적극예방-억제-방위'전략개념 = 304
      • 제3절 한국적 비핵 3축 억제체제 구상 = 306
      • 1. 현재, 한국의 비핵 전략무기 3축체제 = 307
      • 2. 향후, 한국적 비핵 3축체제(Korean Conventional Triad) 구상 = 309
      • 3. 비핵 3축체제 구성 전력요소의 역할 = 311
      • 제4절 한국적 3축 억제체제에 대한 적극억제전략의 작전적 고려사항 = 315
      • 제8장 제1축 공격적(보복적) 억제력의 구성 및 발전방향 구상
      • 제1절 KEW의 장사정 센서-슈터 복합체계의 구성 및 발전방향 구상 = 322
      • 1. 기본개념 = 322
      • 2. 센서체계(ISR)의 구성 및 발전방향 구상 = 328
      • 3. 슈터체계(BMㆍCMㆍP2GMs)의 구성 및 발전방향 구상 = 335
      • 4. 플랫폼체계의 구성 및 발전방향 구상 = 350
      • 5. 지휘통신 네트워크체계의 구성 및 발전방향 구상 = 361
      • 6. 북한의 거부적 방위 전력과 발전추세에 유의, 한국의 센서-슈터 네트워크 복합체계 발전 = 364
      • 제2절 장거리 합동 특수임무작전체계의 구성 및 발전방향 구상 = 366
      • 1. 이스라엘의 특수임무작전 사례 = 366
      • 2. 미국의 특수임무(참수작전) 사례 = 369
      • 3. 장거리 지ㆍ해ㆍ공 합동 특수임무작전의 발전추세 및 전망 = 373
      • 4. 북한의 특임작전 사례와 현 능력 평가 = 378
      • 5. 한국의 특임작전 발전방향 구상 = 380
      • 제3절 실시간 사이버전 공격체계의 구성 및 발전방향 구상 = 384
      • 1. 최근 사이버전 사례 분석 = 385
      • 2. 사이버전 발전추세 및 전망 = 388
      • 3. 북한의 사이버전 능력 발전추세 = 397
      • 4. 한국의 사이버전 구성 및 발전방향 구상 = 399
      • 제9장 제2축 방어적(거부적) 억제력의 구성 및 발전방향 구상
      • 제1절 방공ㆍ미사일 방어체계의 구성 및 발전방향 구상 = 410
      • 1. 미사일 요격체계의 최근 전례 = 411
      • 2. 미사일 방어체계의 발전추세 및 전망 = 415
      • 3. 한국의 미사일 방어 방책 구상 및 발전방향 = 437
      • 제2절 지향성에너지무기와 비살상무기의 구성 및 발전방향 구상 = 451
      • 1. 지향성에너지무기(DEW) 발전방향구상 = 452
      • 2. 비살상무기(NLW) 발전추세 = 482
      • 제3절 화생방핵 방호체계의 구성 및 발전방향 구상 = 488
      • 1. 화생방핵(CBRN) 위협이란? = 488
      • 2. 화생방핵(CBRN)의 최근 주요 전례 = 491
      • 3. 화생방핵(CBRN) 발전추세 및 동향분석 = 495
      • 4. 북한의 화생방핵(CBRN) 현황분석 = 497
      • 5. 한국의 화생방핵(CBRN) 방호체계 발전방향 구상 = 499
      • 제10장 제3축 기반적(잠재적) 억제력의 구성 및 발전방향 구상
      • 제1절 제1축 보복적 억제력과 제2축 거부적 억제력의 핵심기술 소요 = 510
      • 제2절 한국의 현 제3축 기반적 억제력 상황 및 능력 평가분석 = 514
      • 1. 한국의 국가과학기술수준 평가 및 전망 = 514
      • 2. 한국의 국방과학기술수준 평가 및 전망 = 516
      • 3. 종합 평가 및 전망 = 518
      • 4. 국방연구개발 및 방위산업의 위상 및 능력 = 519
      • 제3절 한국의 3축 기반적 억제력 발전정책 방향 구상 = 527
      • 1. 국방연구개발과 방위산업의 주요 이슈들 = 527
      • 2. 우리의 참고모델: 이스라엘 = 529
      • 3. 제3축 기반적 억제력(국방연구개발+방위산업) 발전정책 방향구상 = 533
      • 제11장 주요 정책과제와 발전방향
      • 제1절 킬체인의 시간 압축(Compression) 추진 = 557
      • 1. 시한성 긴급표적 대응 절차의 능률성 제고 요건 = 558
      • 2. 우리 군의 발전방향 = 560
      • 제2절 3차원 Joint를 넘어 5차원 Cross-Domain으로 발전 = 564
      • 1. Cross-Domain Synergy의 도입 동기와 개념 = 565
      • 2. 작전개념의 일반적인 트렌드와 Cross-Domain Synergy = 568
      • 3. Cross-Domain Synergy를 통한 작전수행의 요점과 기대효과 = 571
      • 4. 우리 군 작전과 비핵ㆍ맞춤형ㆍ억제방위전략 차원의 시사점 = 573
      • 제3절 국방개혁의 정비 방향 = 577
      • 1. 국방개혁의 추진 경과 = 578
      • 2. 현 국방개혁의 내용과 진단 = 584
      • 3. 국방개혁 정비 방향 = 590
      • 제4절 적정 국방비 확보 방향 = 597
      • 1. 우리 국방예산의 추세 = 599
      • 2. 향후 국방예산 관련 수요 = 600
      • 3. 향후 적정 국방비의 기준 = 602
      • 제5절 북한 핵무기 대응 정치심리전의 발전방향 = 605
      • 1. 기본개념 및 접근방법 = 606
      • 2 북한의 핵ㆍ미사일 정치심리전 논리와 한국의 역-정치심리전 논리 구상 = 607
      • 3. 핵ㆍ미사일 폐기가 최상의 선택이라는 정치심리전 논리 구상 = 612
      • 4. 진실에 기초한 정치심리전 구상 = 616
      • 5. 반핵, 반-대량살상무기 국내외 연대운동 전개 구상 = 617
      • 제12장 결론: 주요 전략적 선택방향과 정책 제언
      • 제1절 주요 전략적 선택방향 = 625
      • 1. 북한 핵ㆍ미사일 위협 대응전략 = 625
      • 2. 선택 1 미국의 맞춤형 억제 제공의 실효성 보장정책 방향 = 626
      • 3. 미국의 맞춤형 억제 제공에만 전적으로 의존할 수 없는 이유 = 628
      • 4. 선택 2 한국 자체의 비핵 적극예방억제정책 방향 = 629
      • 5. 제1축 공격적 억제력의 최우선순위는 특수임무작전 능력 확보 = 633
      • 6. 게임변환 잠재력이 큰 전력 및 기술의 집중적 개척 = 635
      • 7. 제3축 연구개발 및 방산 인프라 적극 구축 긴요 = 636
      • 제2절 주요 정책 제언 = 638
      • 1. 전략적 차원에서 한국적 비핵 3축 억제체제 구축 소요 재원 확보 = 638
      • 2. 비용절감-고효율의 비핵 억제전력체계 확보방안 강구 = 644
      • 3. 북한 핵ㆍ미사일에 대한 국민 인식의 대변환 필요 = 646
      • 참고문헌 = 651
      • 영문 약어표 = 664
      • 찾아보기 = 669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정보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 구매링크
      정가 판매가(할인율) 포인트(포인트몰)
      알라딘

      북한 핵 미사일 위협과 대응

      품절 30,000원 28,500원 (5%)

      종이책 구매

      860포인트
      예스24.com

      북한 핵미사일 위협과 대응

      품절 30,000원 28,500원 (5%)

      종이책 구매

      300포인트 (1%)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책소개

      자료제공 : NAVER

      북한 핵 미사일 위협과 대응

      『북한 핵 미사일 위협과 대응』은 북한 핵 위협을 '제거'할 수 있는 '억제' 대책을 중심으로 기술한 책이다. 총 12장으로 구성하여, 북한 핵·미사일 보유와 한국안보부터 핵무기와 미사일의 기초개념, 북한 핵·미사일 위험 분석, 주요 정책과제와 발전방향, 주요 전략적 선택방향과 정책 제언까지 살펴본다.

      more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