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회화의 시점 변용과 중첩 평면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viewpoint and overlapped plane in paint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10104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 회화과 , 2001. 8

      • 발행연도

        200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53.11 판사항(4)

      • DDC

        750.1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ii, 46p. : 삽도,도판 ; 26 cm .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41-43

      • 소장기관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5세기에 발견된 원근법은 회화를 고도의 지적인 경지로 끌어 올렸다는 찬사를 받으면서 오랫동안 화면의 일루젼(illusion)을 완성하는 법칙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반면에 그 이전, 즉 이집트 ...

      15세기에 발견된 원근법은 회화를 고도의 지적인 경지로 끌어 올렸다는 찬사를 받으면서 오랫동안 화면의 일루젼(illusion)을 완성하는 법칙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반면에 그 이전, 즉 이집트 미술이나 그리스, 디 멀리는 원시시대의 동굴벽화에서 조차 용인되었던 작가의 자유로운 예술 활동을 제한한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모든 규범적이고 중심화 되어버린 문화에 대한 반란은 미술사에서 볼때 항상 이루어져 왔으며, 20세기초에 나타난 피카소와 브라크의 실험적 성신에서부터 발아된 입체파는 르네상스 이후 서양미술의 근원을 이루어온 원근법을 배격하는 등 예술에 새로운 지표를 세웠다. 즉, 2차원 평면에 3차원의 세계를 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루젼(illusion)을 표현하는 방법이었던 원근법을 파괴함으로써 화면의 평면화를 추구하였다.
      20세기 후반에 나타난 문화 사조인 포스트모더니즘 역시 규범화 되어버린 문화와 모더니즘의 절대 가치에 대한 반란으로 대두되었다. 이렇듯 오랫동안 현대미술은 창안(새로운 형식)과 인용(미술사의 어떤 형식을 끌어쓰고 변주하는 것)의 성격이 공존해 왔다. 현대를 살아가는 작가로서 본인도 과거·미술의 영향 하에서 새로운 형식을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해 왔는데 본인의 회화 안에서는 다시점(多視點)을 활용하고 원근법을 임의로 조작하는 것이 그 근간을 이룬다.
      본인은 일상적인 현실을 새로운 시각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의도아래 다양 한 시점과 초점이 공존하는 화면을 구축하고 있다. 따라서 고정된 시각체제 로서 회화 안의 일루젼을 만들어온 원근법을 배격하는 것과 대상을 다각면에서 관찰하고 조합하여 화면에 역동성을 주는 큐비즘 회화의 특징이 중요 한 요소로 차용되고 변용되어 나타난다.
      또한 다각화(多角化)된 시점으로 인한 평면적인 화면은 중첩구조를 통해 표현적인 효과를 얻는다. 초기에는 회화에서의 공간 개념을 재해석해 보고 된 자 투명한 필름을 중첩하여 다층 공간으로의 확장을 꾀했고, 이러한 시도는 후에 화면에서 돌출 구조를 갖는 캔바스의 중첩으로 전환되었다.
      주요 모티브로 등장하는 도시의 야경은 본인 회화의 원천이며 이미지와 빛의 표현의 구체적인 대상이 된다. 도시의 풍경을 이루고 있는 건물의 형상들은 일점 원근법을 부정하고 비논리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 함께 각 종 간판이나, 대형 광고판, 네온 싸인 등도 원근이나 상하 좌우의 개념에 관계없이 병렬적인 색채로 표현되어 평면성의 획득을 돕는다. 또한 색채를 사용하는데 있어서도 급격한 명암의 변화 없이 비슷한 채도의 색상을 반복적으로 중첩, 배열시키므로 같은 맥락이 파악된다. 색채로 인해 평면적으로 보이는 화면은 입체 구조가 도입되어 다층 구조 회화의 특징을 지니는데 이러 한 방식으로 평면성을 포기하지 않음으로써 복고적인 성격을 유지하며, 오브제로서의 부조 회화로 표현 영역을 확장시켜 나갔다.
      본 논문을 통해 본인 회화에서 나타나는 시점이 변용 되고 중첩된 평면으로 구성되는 화면은 현대 미술의 다채로운 표현의 한 양상으로 이해되었으며, 작가로서 개성적인 조형 세계를 구축해 나아가기 위한 가능성을 가늠해 보는 계기로서 분석의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erspective, which was found in the 15th century, has been regarded as a rule to complete the illusion of picture for a long time, while has received unstinted praise under the reason it elevates paintings up to intelligent area of high level. In the ...

      Perspective, which was found in the 15th century, has been regarded as a rule to complete the illusion of picture for a long time, while has received unstinted praise under the reason it elevates paintings up to intelligent area of high level. In the other hand, the perspective has been ever evaluated as to restrict artist's free activities, which was allowed by even Egyptian art or wall paintings in a cave at the primitive age and Greek civilization.
      Cubism, which was derived from experimental mind of Picasso and Braque who appeared at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established a new guideline of art on opposing perspective that had been maintained as the foundation of western art since the Renaissance. In the other words, artists of cubism sought to make picture plane by breaking perspective, which presented illusion derived from describing three dimensions into the plane of two dimensions.
      In modern art, creation(new style) and application(derive from art history and change) have been coexisted for along time. Accordingly, I have made an effort to create a new style under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art as an artist living at modern society, and the foundation of my paintings is to utilize multi viewpoints and to handle perspective as please.
      To suggest daily life as a new viewpoint, I created picture that various viewpoints and focuses were coexisted. Therefore, the features of cubism paintings, which opposes perspective made illusion of paintings as a fixed visual system and gives dynamic power to picture by observing and compounding object in various viewpoints, are applied and changed in my artworks as important factors.
      Picture of plane caused by multiple viewpoints can obtain representative effect through overlapped structure. In the initial stage, sought expansion toward multi layers by overlapping transparent film to reinterpret the concept of space in the filed of paintings, and such a trial was converted into the overlap of canvas with projection structure in picture.
      The night view of city appeared as main motive is the origin of my paintings and it is also concrete object to represent image and light. The shape of buildings, which are the scene of city, is arranged illogically without accepting one point perspective, and a variety of signboards, large-scaled advertising panel, and neon sign are represented by parallel colors without considering the concept of perspective, up, down, left, and right, thus the representation allows create plane. Moreover, regarding use of color, also make plane by arranging colors with similar chroma repeatedly without sudden change of light and darkness. Picture looks like a plane due to color has the features of multi layer structure by bring cubic structure. Based on this style, did not give up the properties of plane, maintained traditional style, and expanded the area of representation toward carved paintings as a object.
      I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my paintings consists of the change in viewpoint and overlapped plane is understood as an aspect of various representations in modern art.,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under the reason it gives an opportunity to foresee artist's possibility to establish unique formative ar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초록
      • 서론 = 1
      • I. 화론(畵論)적 접근을 위한 이론적 기반 = 3
      • 1. 고정된 시각체제로서의 원근법 = 3
      • 목차
      • 초록
      • 서론 = 1
      • I. 화론(畵論)적 접근을 위한 이론적 기반 = 3
      • 1. 고정된 시각체제로서의 원근법 = 3
      • 2. 큐비즘(Cubism)에서의 시점의 붕괴 = 6
      • 3. 현대 회화에서의 원근법 = 8
      • II. 발상의 전환을 통한 조형적 연구 = 10
      • 1. 시점의 변용 = 10
      • 1) 원근의 부정 = 10
      • 2) 초점의 다각화 = 13
      • 2. 탈(脫) 평면 - 중첩평면 구조 = 16
      • 1) 부정형의 화면(Shaped picture plane)과 부조(Relief) = 16
      • 2) 콜라주(Collage)와 앗상블라주(Assemblage) = 18
      • 3. 서사적 구조의 도입 = 22
      • 1) 알레고리(Allegory)와 상징 = 22
      • 2) 데페이즈망(Deoavsement) = 23
      • III. 작품의 분석 = 25
      • 1. 다시점(多視點)의 차용 = 25
      • 1) 투명 필름(Film)의 조합 = 25
      • 2) 중첩된 평면 구조 = 26
      • 2. 이미지와 빛의 표현 = 27
      • 1) 도시이미지 = 29
      • 2) 야경을 통한 빛의 표현 = 31
      • 3. 평면화된 색채 화면 구조 = 32
      • 결론 = 36
      • 도판 = 38
      • 참고문헌 = 41
      • ABSTRACT = 4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