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외식소비자의 건강관심도가 HMR 선택속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50075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4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impact of health concerns of restaurant consumers on HMR selection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

      • 형태사항

        ⅶi, 95 p. ;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A study on the impact of health concerns of restaurant consumers on HMR selection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
        지도교수:김기영
        참고문헌 : p. 77-84

      • UCI식별코드

        I804:41002-000000057952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급속한 경제 성장과 국민의 소득향상, 대중매체의 발달과 교육수준의 향상 등으로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게 되었으며, 경제적인 여유로 인하여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하고 안...

      급속한 경제 성장과 국민의 소득향상, 대중매체의 발달과 교육수준의 향상 등으로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게 되었으며, 경제적인 여유로 인하여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외식 소비자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코로나 19 이후 재택소비가 일상화되었으며, 식생활의 소비패턴이 편의성과 영양성 모두를 추구함에 따라 식사 준비에 대한 시간과 노력을 줄여주고 건강까지 유지하는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외식시장의 주요 쟁점인 소비자의 건강관심도와 사회적인 변화에 따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HMR의 선택속성과 구매의도의 관련성을 도출하고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자신의 건강에 관심을 가지는 소비자들이 HMR 제품을 선택하고 구매향상을 위한 비즈니스와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설계된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HMR 이용 경험이 있는 20∼60대까지의 성인을 대상으로 2023년 8월 15일부터 8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글 설문지를 작성하여 링크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250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50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답변 13부를 제외한 28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HMR의 이용행태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측정항목의 타탕성과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요인의 상관성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외식 소비자의 건강관심도가 HMR 선택속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HMR 선택속성이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건강에 관심이 있는 외식 소비자는 HMR의 선택속성을 고려하여 제품을 구매하려는 의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외식·식품기업들은 HMR의 시장이 점점 확대됨에 따라 소비자들이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져 고객층을 좀 더 세분화하여 제품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를 통하여 건강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의 유형의 경우 외모를 추구하고, 삶의 윤택함을 추구하며, 유행에 뒤처지지 않는 개인별 맞춤식 제품을 개발 생산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제품들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차별화된 마케팅과 전략적인 판매 활동을 통하여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건임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and increased income, more people now prioritize their health. Thanks to improved education and widespread media, individuals ar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afe and nutritious food. With the COVID-19 pandemic leading...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and increased income, more people now prioritize their health. Thanks to improved education and widespread media, individuals ar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afe and nutritious food. With the COVID-19 pandemic leading to more time spent at home, consumers are seeking convenient yet healthy food options. This trend has significantly boosted the Home Meal Replacement market, offering easy-to-prepare meals that align with health goals. As people aim to balance nutrition and convenience in their diets, this market continues to grow, catering to the needs of those looking for healthy eating without the hassle of extensive meal preparation.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how the expanding selection features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relate to consumers' intentions to purchase, considering the backdrop of significant social changes in the food service market. The goal was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that could assist health-conscious consumers in making informed choices when selecting and buying HMR products. By investigating the connection between evolving HMR attributes and consumer purchase intentions in the context of broader societal shifts, this study sought to offer meaningful implications to guide consumers interested in prioritizing their health towards optimal selections within the HMR product spectrum.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a survey was carried out between August 15 and August 30, 2023. It involved adults aged 20 to 60 who had experience using Home Meal Replacement (HMR) products. A total of 300 survey copies were distributed, with 250 completed through a Google questionnaire link and 50 via a self-administered method. Out of these, 283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discarding 13 responses due to inconsistencies. The gathered data underwent analysis using the SPSS 25.0 softwa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their HMR usage patterns were examin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dditionall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s were conducted on the measurement items. Th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factors were assess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hile the research hypothesis was test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a notabl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cerns and the selection attributes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products. Moreover, it was established that these selection attributes significantly influenced consumers' intentions to purchase HMR items. This indicates that individuals who prioritize health considerations tend to express a clear intent to buy HMR products based on the specific attributes these products offer. In essence, the study highlighted that consumers interested in maintaining their health are inclined to consider and value the features of HMR products when making purchase decisions.
      As the Home Meal Replacement (HMR) market grows, restaurants and food companies need to develop products more specifically to meet the needs of different groups of customers.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health-conscious consumers focus on looks, a better quality of life, and personalized products that stay up-to-date with trends.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reating and producing such customized items. Additionally, it's crucial to encourage ongoing purchases by making these products easy to find through diverse marketing and smart sales tact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1
      • 제 1 항 문제의 제기 1
      • 제 2 항 연구의 목적 4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1
      • 제 1 항 문제의 제기 1
      • 제 2 항 연구의 목적 4
      • 제 2 절 연구방법 및 연구 범위 5
      • 제 1 항 연구의 방법 5
      • 제 2 항 연구의 범위 및 구성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 제 1 절 건강관심도의 이론적 고찰 8
      • 제 1 항 건강관심도의 개념 및 정의 8
      • 제 2 항 건강관심도의 유형 10
      • 제 3 항 건강관심도에 관한 선행연구 11
      • 제 2 절 HMR 선택속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14
      • 제 1 항 HMR의 개념 및 정의 14
      • 제 2 항 HMR의 선택속성 28
      • 제 3 항 HMR의 선택속성에 관한 선행연구 29
      • 제 3 절 구매의도의 이론적 고찰 32
      • 제 1 항 구매의도의 개념 및 정의 32
      • 제 2 항 구매의도의 영향 요인 33
      • 제 3 항 구매의도에 관한 선행연구 35
      • 제 3 장 연구의 설계와 분석방법 37
      • 제 1 절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7
      • 제 1 항 연구모형의 설계 37
      • 제 2 항 연구가설의 설정 38
      •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지 구성 42
      • 제 1 항 변수의 조작적 정의 42
      • 제 2 항 설문지 구성 44
      • 제 3 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45
      • 제 1 항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45
      • 제 2 항 자료의 분석방법 46
      • 제 4 장 실증분석 47
      • 제 1 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7
      • 제 1 항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7
      • 제 2 항 조사대상자의 HMR 제품 이용 현황 49
      • 제 2 절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52
      • 제 1 항 건강관심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53
      • 제 2 항 HMR 선택속성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55
      • 제 3 항 구매의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57
      • 제 3 절 상관관계 분석 59
      • 제 1 항 건강관심도, HMR 선택속성, 구매의도 상관관계 분석 59
      • 제 4 절 가설의 검증 61
      • 제 1 항 건강관심도와 HMR 선택속성에 대한 가설검증 61
      • 제 2 항 HMR 선택속성과 구매의도에 대한 가설검증 66
      • 제 3 항 가설 검증요약 68
      • 제 5 장 결 론 69
      • 제 1 절 연구 결과의 요약 69
      •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74
      • 제 1 항 학문적 시사점 74
      • 제 2 항 실무적 시사점 75
      •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76
      • 참고문헌 77
      • 부 록 85
      • Abstract 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