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말 위치 /ᅩ/의 /ᅮ/ 대체 현상에 대한 문법 항목별 출현빈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341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구어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국어 /ᅩ/가 /ᅮ/로 고모음화되는 현상(예, ‘별로’ [별루])에 대해 문법 항목별로 차이를 살펴보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한국어의 /ᅩ/와 /ᅮ/는 [+원순...

      본 논문은 구어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국어 /ᅩ/가 /ᅮ/로 고모음화되는 현상(예, ‘별로’ [별루])에 대해 문법 항목별로 차이를 살펴보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한국어의 /ᅩ/와 /ᅮ/는 [+원순성] 자질을 공유하지만, 혀 높이 차이로 변별된다. 그러나 최근 /ᅩ/와 /ᅮ/의 두 모음의 음성적 구분이 모호해지는 병합 현상이 진행 중이라고 여러 논문에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어말 위치의 /ᅩ/가 한국어 자연언어 구어 말뭉치(The Korean Corpus of Spontaneous Speech)에서 음성적으로 [o] 또는 [u]로 실현되는 현상을 연결어미, 조사, 부사, 체언의 문법 항목별로 출현빈도 및 출현비율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연결어미, 조사, 부사에서 /ᅩ/는 약 50%의 비율로 /ᅮ/로 대체되는 것을 확인했고, 체언에서만 상당히 낮은 비율인 5% 미만으로 대체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빈도 형태소 중에서 가장 높은 /ᅮ/ 대체율을 보인 형태소는 "-도 [두]" (59.6%)였고, 연결어미에서는 "-고 [구]" (43.5%)로 나타났다. 구어 말뭉치를 통하여 실제 발음형과 표준발음의 차이를 살펴보았다는 데 연구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the substitution of /u/ for /o/ (e.g., pyəllo [pyəllu]) in Korean based on the speech corpus as a function of grammar items. Korean /o/ and /u/ share the vowel feature [+rounded], but are distinguished in terms of tongue height...

      This study identified the substitution of /u/ for /o/ (e.g., pyəllo [pyəllu]) in Korean based on the speech corpus as a function of grammar items. Korean /o/ and /u/ share the vowel feature [+rounded], but are distinguished in terms of tongue height. However, researchers have reported that the merger of Korean /o/ and /u/ is in progress, making them indistinguishable. Thus, in this study, the frequency of the phonetic manifestation /u/ of the underlying form of /o/ for each grammar item was calculated in The Korean Corpus of Spontaneous Speech (Seoul Corpus 2015) which is a large corpus from a total of 40 speakers from Seoul or Gyeonggi-do. It was then confirmed that linking endings, particles, and adverbs ending with /o/ in the word-final position were substituted for /u/ approximately 50% of the stimuli, whereas, in nominal items, they were replaced at a frequency of less than 5%. The high rates of substitution were the special particle “-do[du]” (59.6%) and the linking ending “-go[gu]” (43.5%) among high-frequency items. Observing Korean pronunciation in real life provides deep insight into it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speech recogni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방법
      • 3. 분석 결과
      • 4. 결론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방법
      • 3. 분석 결과
      • 4. 결론
      • References
      • 국문초록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향원, "한국어 후설 고·중모음에 대한 사회음성학적 연구" 한국음성학회 9 (9): 39-51, 2017

      2 김순옥, "한국어 자연발화 음성코퍼스의 연령별 모음 포먼트 비교 연구" 한국음성학회 7 (7): 65-72, 2015

      3 김순옥, "한국어 자연발화 음성코퍼스의 남성 모음 포먼트 연구" 한국음성학회 7 (7): 95-102, 2015

      4 윤규철, "한국어 자연발화 음성코퍼스의 남녀 모음 포먼트 비교 연구" 한국음성학회 7 (7): 131-138, 2015

      5 하영우, "아나운서의 단모음 실현 양상과 특징" 한국음운론학회 23 (23): 55-94, 2017

      6 이주희, "서울 방언의 단모음 변화 연구: 중세부터 현대까지" 한국현대언어학회 31 (31): 979-998, 2016

      7 강지은, "서울 방언 단모음의 소리 변화와 음향 단서 연구: 단일지점 포먼트와 궤적 양상" 한국음성학회 8 (8): 39-47, 2016

      8 양순임, "단모음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어교육학과 음성·음운론의 접점에서-" 국어학회 (85) : 429-462, 2018

      9 Chae, S. Y., "The core- periphery structure in the Korean lexicon reflected in a phonological variation and change" 5 (5): 217-236, 1999

      10 윤원희, "The Korean Corpus of Spontaneous Speech" 한국음성학회 7 (7): 103-109, 2015

      1 이향원, "한국어 후설 고·중모음에 대한 사회음성학적 연구" 한국음성학회 9 (9): 39-51, 2017

      2 김순옥, "한국어 자연발화 음성코퍼스의 연령별 모음 포먼트 비교 연구" 한국음성학회 7 (7): 65-72, 2015

      3 김순옥, "한국어 자연발화 음성코퍼스의 남성 모음 포먼트 연구" 한국음성학회 7 (7): 95-102, 2015

      4 윤규철, "한국어 자연발화 음성코퍼스의 남녀 모음 포먼트 비교 연구" 한국음성학회 7 (7): 131-138, 2015

      5 하영우, "아나운서의 단모음 실현 양상과 특징" 한국음운론학회 23 (23): 55-94, 2017

      6 이주희, "서울 방언의 단모음 변화 연구: 중세부터 현대까지" 한국현대언어학회 31 (31): 979-998, 2016

      7 강지은, "서울 방언 단모음의 소리 변화와 음향 단서 연구: 단일지점 포먼트와 궤적 양상" 한국음성학회 8 (8): 39-47, 2016

      8 양순임, "단모음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어교육학과 음성·음운론의 접점에서-" 국어학회 (85) : 429-462, 2018

      9 Chae, S. Y., "The core- periphery structure in the Korean lexicon reflected in a phonological variation and change" 5 (5): 217-236, 1999

      10 윤원희, "The Korean Corpus of Spontaneous Speech" 한국음성학회 7 (7): 103-109, 2015

      11 Eychenne, J., "Phonometrica: An open platform for the analysis of speech corpora" 107-108, 2019

      12 성철재, "PDF한국어 단모음 8개에 대한 음향분석 -F1/F2 모음공간에서의 음향변수를 중심으로" 한국음향학회 23 (23): 454-461, 2004

      13 강현숙, "Cross-generational Change of /o/ and /u/ in Seoul Korean II: Spectral Interactions in Normalized Vowel Space" 한국음성학회 5 (5): 33-41, 2013

      14 한정임, "Cross-generational Change of /o/ and /u/ in Seoul Korean I: Proximity in Vowel Space" 한국음성학회 5 (5): 25-31, 2013

      15 Seo, S., "Adverbs and adjectives" 15 (15): 179-192,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8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