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발효과채음료 starter용으로 분리한 효모의 동정과 특성연구 =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lavour-producing Yeast for Improving Fermented Fruit & Vegetable Bever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1099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과채젖산발효액의 풍미 개선을 위하여 방향생성 효모를 원료 혼합액에서 분리하여 동정하고, 최적발효조건과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효모는 저온(4℃) 및 혐기적 조건에서 생육을 ...

      과채젖산발효액의 풍미 개선을 위하여 방향생성 효모를 원료 혼합액에서 분리하여 동정하고, 최적발효조건과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효모는 저온(4℃) 및 혐기적 조건에서 생육을 하며 방향성을 부여해 주는 효모로서 형태학적, 배양학적 특성 및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Saccharomyces dairensis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효모를 과채발효음료용 starter균주로 활용하기 위한 최적조건을 조사한 결과, 과채흔합액을 젖산발효시킨 후 효모를 접종하고, 효모의 접종농도는 0.1% (v/v)로서 4℃의 저온에서 후발효시킨 시험구의 풍미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효모를 첨가하여 후발효시킨 과채발효액의 유기산 함량은 효모 무첨가구에 비해 lactate, malate 함량은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citrate는 감소하였고, succinate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액의 휘발성 화합물을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효모에 의한 후발효를 수행한 발효액은 과일향을 내는 alcohol과 ester화합물을 비롯한 각종 휘발성 화합물을 많이 함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improve flavour characteristics of fruit & wegetable boverages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flavour-producing yeast was isolated from raw materials and used as a starter culture for post fermentation of fruit & vegetable beverages. The isolat...

      To improve flavour characteristics of fruit & wegetable boverages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flavour-producing yeast was isolated from raw materials and used as a starter culture for post fermentation of fruit & vegetable beverages. The isolated strain was identified as Saccharomyces dairensis, and can grow at low temperature and produce flavour compounds under anaerobic condition. The optimum condition for improving flavour of beverages was carrying out post-fermentation by yeast at 4℃, followed by lactic acid fermentation of fruit & vegelable mixture. The amounts of lactate and malate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broth post-fermemed by yeast. However, citrate was reduced, whereas succinate was increased. Volatile compounds of the post-fermented broth were analysed by GC-MS, and alcohols and esters were detected much more in broth post-fermented by yeast than in broth without yeast culture.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the isolated strain, Sacch. dairensis, can produce aroma compounds during post-fermentation and may improve flavour of the beverages fermented by lactic acid bacrer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효모의 분리 및 동정
      • 사용 균주 및 배지
      • 과채발효액의 제조
      • 서론
      • 재료 및 방법
      • 효모의 분리 및 동정
      • 사용 균주 및 배지
      • 과채발효액의 제조
      • 비휘발성 유기산 분석
      • 휘발성 방향성분의 분리와 동정
      • 결과 및 고찰
      • 과채 혼합액으로부터 효모의 분리 및 동정
      • 효모를 이용한 과채발효액의 유기산 함량
      • 효모를 이용한 과채발효액의 휘발성 방향성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