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페이스북, 무엇이 문제인가? = Facebook, What`s the Proble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Psychological Probl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966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자의 심리적 문제점 인식의 유형을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탐험적 요인분석을 통해 유목화된 문제점 인식의 유형은 총 일곱 가지 유형으로 분...

      이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자의 심리적 문제점 인식의 유형을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탐험적 요인분석을 통해 유목화된 문제점 인식의 유형은 총 일곱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즉, 중독성, 오프라인 사회성의 결여, 상대적 박탈감, 소외감, 원하지 않는 교류에 대한 거부감, 관계의 가벼움에 대한 회의, 가식적 표현의 충동이라는 문제인식이 관찰되었다. 나아가, 매체 이용시간이 페이스북 심리적 문제점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경사용자와 중사용자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중독성``, ``사회성 결여``, ``상대적 박탈감`` 요인들에 대해 중사용자들이 경사용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원하지 않는 교류에 대한 거부감`` 요인에 관해서는 경사용자들이 보다 페이스북 사용에 있어 문제가 되는 부분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나머지 변인들에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심리적 문제점 유형들과 관련한 다양한 선행 독립변인 및 종속 변인의 관계성을 고찰하는 후속연구들을 기대하면서 이들 심리적 문제점을 고려한 SNS 대인커뮤니케이션의 바람직한 방향을 토론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what psychological problems Facebook users perceive. Based o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this study classified psychological problems from Facebook use as seven types: addiction, lack of offline sociability, deprivati...

      This study analyzed what psychological problems Facebook users perceive. Based o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this study classified psychological problems from Facebook use as seven types: addiction, lack of offline sociability, deprivation, alienation, repulsion of unwished communication, skepticism about light relationships, impulse of pretentious expression.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levels of Facebook uses and psychological problems from Facebook use. Heavy users were likely to feel addition, lack of offline sociability, and deprivation, whereas light users were likely to perceive repulsion of unwished communica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heavy users and light users in perceiving the remaining psychological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suggestions for desirable and healthy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n Faceboo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삼열, "트위터와 페이스북 사용자 접속요인 비교분석" 11 (11): 189-190, 2010

      2 안차수, "초등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이 인터넷 중독과 예방프로그램의 효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8 (8): 347-380, 2008

      3 남영옥, "중학생의 인터넷중독, 게임중독, 음란물중독의 심리사회적 특성비교" 한국청소년학회 12 (12): 363-388, 2005

      4 주정민, "인터넷 의존유형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언론학회 50 (50): 476-444, 2006

      5 황하성, "이용자 속성 및 기능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25 (25): 277-313, 2011

      6 한주리, "이동전화 중독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48 (48): 138-165, 2004

      7 진창현, "온라인 게임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개인적 성향 차이 및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9 (9): 543-576, 2009

      8 반현, "소셜미디어 이용자 집단의 정치적 인지구조의 특성: 갈릴레오 모델을 적용한 멀티이용자, 트위터와 페이스북 개별 이용자, 그리고 비이용자 집단 비교" 언론정보연구소 48 (48): 5-43, 2011

      9 고상민,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온라인 사회적 자본:한국과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 15 (15): 103-118, 2010

      10 최영,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가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회 25 (25): 241-276, 2011

      1 홍삼열, "트위터와 페이스북 사용자 접속요인 비교분석" 11 (11): 189-190, 2010

      2 안차수, "초등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이 인터넷 중독과 예방프로그램의 효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8 (8): 347-380, 2008

      3 남영옥, "중학생의 인터넷중독, 게임중독, 음란물중독의 심리사회적 특성비교" 한국청소년학회 12 (12): 363-388, 2005

      4 주정민, "인터넷 의존유형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언론학회 50 (50): 476-444, 2006

      5 황하성, "이용자 속성 및 기능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25 (25): 277-313, 2011

      6 한주리, "이동전화 중독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48 (48): 138-165, 2004

      7 진창현, "온라인 게임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개인적 성향 차이 및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9 (9): 543-576, 2009

      8 반현, "소셜미디어 이용자 집단의 정치적 인지구조의 특성: 갈릴레오 모델을 적용한 멀티이용자, 트위터와 페이스북 개별 이용자, 그리고 비이용자 집단 비교" 언론정보연구소 48 (48): 5-43, 2011

      9 고상민,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온라인 사회적 자본:한국과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 15 (15): 103-118, 2010

      10 최영,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가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회 25 (25): 241-276, 2011

      11 이은선, "새로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채널으로서의 페이스북" 262-267, 2011

      12 박웅기, "대학생들의 이동전화 중독증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47 (47): 250-281, 2003

      13 이유라, "가입자 700만 넘어선 토종SNS '미투뎅이‘...“글로벌 서비스로 성장할까” 관심"

      14 Rettberg, J. W., "‘Freshly generated for you, and Barack Obama’: How social media represent your life" 24 : 451-466, 2009

      15 Young, K. S., "What makes the internet addiction: Potential explanations for pathological internet use" 1997

      16 Davis, R. A., "Validation of a new scale for measuring problematic Internet use: Implications for pre-employment screening" 5 (5): 331-345, 2002

      17 Tong, S. T., "Too much of a good t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umber of friends and interpersonal impressions on Facebook" 13 : 531-549, 2008

      18 Greenfield, D., "The nature of intenet addiction: Psychological factros in compulsive internet use. Presentation at the 1999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 Zywica, J., "The faces of Facebookers: Investigating social enhancement and social compensation hypotheses: Predicting Facebook and offline popularity from sociability and self-esteem, and mapping the meanings of popularity with semantic networks" 14 : 1-34, 2008

      20 Mazer, J. P., "The effects of teacher self-disclosure via Facebook on teacher credibility" 34 (34): 175-183, 2009

      21 Griffiths, M. D., "The cognitive psychology of gambling" 6 : 31-42, 1990

      22 Sheldon, P., "Student favorite: Facebook and motives for its use" 23 (23): 39-53, 2008

      23 Boyd, D. M.,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13 : 210-230, 2007

      24 리뷰조선닷컴, "SNS 이용자 10명중 4명 ‘SNS는 인맥관리용’"

      25 Donath, J., "Public displays of connection" 22 : 71-82, 2004

      26 Bianchi, A., "Psychological predictors of problem mobile phone use" 8 (8): 39-51, 2005

      27 Vorvoreanu, M., "Perceptions of corporations on Facebook: An analysis of Facebook social norms" 4 (4): 67-86, 2009

      28 Eyrich, N., "PR practitioners’ use of social media tool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34 : 412-414, 2008

      29 Vitak, J., "It's complicated: Facebook users'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2008 election" 14 (14): 107-114, 2011

      30 박남수, "Is There Social Capital in a Social Network Site?: Facebook Use and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Trust, and Participation" WILEY-BLACKWELL PUBLISHING 14 (14): 875-901, 200907

      31 Young, K. S.,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1 (1): 237-244, 1998

      32 Mazer, J. P., "I'll see you on "Facebook": The effects of computer-mediated teacher self-disclosure on student motivation, affective learning, and classroom climate" 56 (56): 1-17, 2007

      33 Madge, C., "Facebook, social integration and informal learning at university: 'It is more for socialising and talking to friends about work than for actually doing work" 34 (34): 141-155, 2009

      34 William, B., "Does the Internet increase, decrease, or supplement social capital? : Social network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mmitment" 45 : 436-455, 2001

      35 Lemmens, J. 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ame addiction scale for adolescents" 12 : 77-95, 2009

      36 연합뉴스, ""페이스북 우울증” 조심해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2 1.52 1.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4 1.6 2.393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