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릉 사마소의 운영과 관리주체의 변동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강릉에는 강원도 내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사마소 유적이 있다. 강릉 사마소는 읍치인 옥천동玉川洞에 처음 설립되었다가 현 자리인 화부산花浮山 기슭으로 이설되고 흥폐를 거듭했다. 1810...

      강릉에는 강원도 내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사마소 유적이 있다. 강릉 사마소는 읍치인 옥천동玉川洞에 처음 설립되었다가 현 자리인 화부산花浮山 기슭으로 이설되고 흥폐를 거듭했다. 1810년 중수 후 당호를 ‘연행당讌杏堂’이라 했다. 1907년 후손들이 사마소 유지를 위해 중수하고 당호를 ‘계련당桂蓮堂’으로 변경했다.
      사마소는 사마계에서 운영해 왔다. 과거제 폐지로 사마소 기능이 유명무실해진 이후에도 사마계원들은 사마소 재산의 기득권을 보장받고자 생전까지 계를 유지하려 했다. 그러나 사마계 후손들이 사마소 관리에 참여하여 그 후예임을 인정받고, 선조가 증식해 놓은 사마소 재산 유지와 관리 등을 위해 1906년 모선계를 결성한다. 이때 사마계원들은 사마소 재산의 처분을 시도했고, 모선계원들이 저지함으로써 양측의 분규가 일었다. 분규는 사마계원들에 의해 대부분의 사마소 재산이 처분되는 1930년경에 종식되며, 사마계원도 대부분 사망하여 사마계는 유야무야 되었다. 모선계에서는 사마소의 유지를 위해 사마계원들이 처분한 재산을 다시 사들였다. 이로써 사마소 관리주체가 모선계로 완전히 변동되어 지금에 이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were Gyeryeonldang(桂蓮堂) of Samaso remains in the Gangneung. It is only samaso in the Gangwon-do. The period of making it was unknown but it was about 16C(Jung Jong (中宗) period) as finding sama-exam pass present condition. Originally it...

      There were Gyeryeonldang(桂蓮堂) of Samaso remains in the Gangneung. It is only samaso in the Gangwon-do. The period of making it was unknown but it was about 16C(Jung Jong (中宗) period) as finding sama-exam pass present condition. Originally it was established in a town of Okchen-dong and relocated Mt. Hwabu foot and was renovated. In 1766 Samadang was repaired and the name was Yeonhaengdang(讌杏堂) in 1810. Although past system was reformed in 1894(Kabo reform) descendant had a purpose of maintaining it and the name was Gyeryeonldang in 1907. Moseongye which was organized by descendant extensively repaired the Gyeryeondang from 1933 to 1935.
      Samaso in Gangneung was managed by Samagy. There were no Samagy documents but main members were region gentry from successful candidate of sama-exam and many successful candidates in another region also participated in Samaso. Although the function of Samaso was nominal after Kabo reform(1894) members tried to guarantee vasted rights of property of samaso. In 1930 Samagy was noncommittal because Samaso in Gangneung was managed by Samagy. There were no Samagy documents but main members were region gentry from successful candidate of sama-exam and many successful candidates in another region also participated in Samaso. Although the function of Samaso was nominal after Kabo reform(1894) members tried to guarantee vasted rights of property of samaso. In 1930 Samagy was noncommittal because most members were dead and the dispute of property in Samaso was ended.
      In order to maintaining the property in Samaso and recognizing as descendant, descendant organized Moseongye and participating in managing Samaso(region gentry association) in 1906. However, they did not participate in Samagy. In this situation, Samagy tried to sell property of coming down from Samaso and Moseongye opposed it. It was dispute about Samaso property between Samagy and Moseongye. Duspute continues until 1930, they had not been able to reach an agreement. As a result, most properties were sold by Samagy the dispute was ended. However, Moseongye increased property in order to maintain Samaso and bought the site of Gyeryeonldang. This means management authority of Samaso is Moseongye and their efforts made maintain historic meaning and status of remains of Samaso until now. However, the dispute between Samagy and Moseongye shows the severance of historic correlation between Samagy and Samas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머리말
      • 2. 강릉 사마소의 연혁
      • 3. 강릉 사마계의 운영상황
      • 4. 일제강점기 사마소 관리주체의 변동
      • 요약
      • 1. 머리말
      • 2. 강릉 사마소의 연혁
      • 3. 강릉 사마계의 운영상황
      • 4. 일제강점기 사마소 관리주체의 변동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희면, "충청도 청안 사마소와 사마록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50) : 175-213, 2017

      2 임호민, "조선후기 강릉지방 사족의 향촌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4

      3 윤희면, "조선시대 전라도 사마안 연구(2) - 곡성 사마안 사례 -" 호남사학회 (70) : 33-64, 2018

      4 윤희면, "조선시대 전라도 司馬案 연구 -강진 사마안 사례-" 호남학연구원 (53) : 67-114, 2013

      5 윤희면, "조선시대 경상도 함양 사마안 연구" 역사교육학회 (52) : 347-385, 2014

      6 김준형, "조선 후기 진주지역 司馬所의 연혁과 성격" 경남문화연구원 (22) : 359-401, 2006

      7 조영화, "조선 후기 司馬所의 건립상황과 건축적 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143-152, 2008

      8 이태진, "사림파의 유향소 복립운동" 진단학회 35 : 1973

      9 윤희면, "경주 사마소에 대한 일고찰" 역사교육연구회 37-38 : 1985

      10 "鄕土古典飜譯叢書Ⅴ - 江陵地方 鄕約·契 資料" 율곡교육원 2013

      1 윤희면, "충청도 청안 사마소와 사마록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50) : 175-213, 2017

      2 임호민, "조선후기 강릉지방 사족의 향촌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4

      3 윤희면, "조선시대 전라도 사마안 연구(2) - 곡성 사마안 사례 -" 호남사학회 (70) : 33-64, 2018

      4 윤희면, "조선시대 전라도 司馬案 연구 -강진 사마안 사례-" 호남학연구원 (53) : 67-114, 2013

      5 윤희면, "조선시대 경상도 함양 사마안 연구" 역사교육학회 (52) : 347-385, 2014

      6 김준형, "조선 후기 진주지역 司馬所의 연혁과 성격" 경남문화연구원 (22) : 359-401, 2006

      7 조영화, "조선 후기 司馬所의 건립상황과 건축적 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143-152, 2008

      8 이태진, "사림파의 유향소 복립운동" 진단학회 35 : 1973

      9 윤희면, "경주 사마소에 대한 일고찰" 역사교육연구회 37-38 : 1985

      10 "鄕土古典飜譯叢書Ⅴ - 江陵地方 鄕約·契 資料" 율곡교육원 2013

      11 "燕山君日記" 국사편찬위원회

      12 李政祐, "朝鮮後期 沃川地方 士族의 存在形態 : 司馬案을 中心으로" 忠南大學校 大學院 1989

      13 "慕先契座目"

      14 "慕先契序文"

      15 "慕先契實記"

      16 "嶺東地方鄕土史硏究資料叢書 - 鄕約契 (1)" 관동대학교 영동문화연구소 1989

      17 "完譯 增修臨瀛誌" 강릉문화원 1997

      18 강원도, "國譯 江原道誌"

      19 "國譯 東湖勝覽" 강릉문화원 2001

      20 "司馬稧座目"

      21 "司馬榜目" 한국학중앙연구원

      22 "司馬所先生案"

      23 윤희면, "19세기말 전라도 남원의 司馬所 鄕戰" 조선시대사학회 (39) : 153-184, 2006

      24 윤희면, "1930년대 전라도 남원 『司馬案』 편찬에 비춰진 신분의식" 한국근현대사학회 (50) : 140-169,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62 1.32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