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포자 배양의 시기와 조건이 양배추의 배발생에 미치는 효과 = Influence of culture duration and conditions on embryogenesis of isolated microspore culture in cabbage (Brassica oleraceae L. var. capit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858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전적으로 다양한 양배추 유전자원들의 소포자 배양을 통하여 배양에 효과적인 시기와 배양 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2{\times}NLN$, $AgNO_3$ 1 mg/l, 13%의 sucrose'로 ...

      유전적으로 다양한 양배추 유전자원들의 소포자 배양을 통하여 배양에 효과적인 시기와 배양 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2{\times}NLN$, $AgNO_3$ 1 mg/l, 13%의 sucrose'로 조성 된 배지 조건에서 배 생산에 효과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배양 재료로 사용된 유전자원 중 소포자로부터 유도된 배 발생 개수는 일대잡종 세대 보다 자가 수정 후대인 $F_2$ 또는 $F_3$ 세대에서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양배추의 일대잡종 품종에서 소포자 배양 시 배의 획득에 실패한 경우, 그의 자손 세대를 사용하여 소포자 배양을 지속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소포자로부터 유도된 배와 식물개체 수는 개화 초기의 결과가 중기 및 말기 보다 높았다. 토양순화 된 식물체의 경우는 중기와 말기의 각각 27.0 % 및 1.8 %인 것에 비하여 개화 초기에 유도된 비율이 71.2 %였다. 따라서 소포자 배양에 활용할 꽃봉오리는 개화 초기에 채취하여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ur aim was to find the effective duration and culture conditions for microspore culture in a genetically variant cabbage (Brassica oleraceae L. var. capitata). We discovered that the '$2{\times}NLN$ medium containing $AgNO_3$ 1 mg/l, sucrose 13%' was...

      Our aim was to find the effective duration and culture conditions for microspore culture in a genetically variant cabbage (Brassica oleraceae L. var. capitata). We discovered that the '$2{\times}NLN$ medium containing $AgNO_3$ 1 mg/l, sucrose 13%' was most efficient in producing the cabbage embryos. The number of induced embryos was higher in $F_2$ or $F_3$ progeny generation than the $F_1$ hybrid cultivar used as plant materials. Thus, we recommend microspore culturing using progeny plants of failed $F_1$ cultivar. The acquisition ratio of embryos and plants derived from microspore was higher in the early flowering period as compared to the late flowering period. When transplanted in the soil, 71.2% plants developed from the early flowering period, compared to 27.0% from the middle period and 1.8% plants from the late period. Thus, we recommend microspore culture using buds collected during the early flowering perio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