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普照禪의 영향 = The Influence of Bojo-Zen in the Later Ch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765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 후기 불교계에 나타난 보조 지눌의 선사상의 영향을 밝힌 논문이다. 본고에서 다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후기 불교계의 사상적 특징과 이에 관한 우리 학계의 인...

      본고는 조선 후기 불교계에 나타난 보조 지눌의 선사상의 영향을 밝힌 논문이다. 본고에서 다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후기 불교계의 사상적 특징과 이에 관한 우리 학계의 인식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둘째, 조선 후기 禪師들에게 있어 보조 가풍의 계승 의식이 존재하고 있는가 하는 점을 밝혔다. 특히 그들의 저술상에 나타난 보조의 영향과 강원교육에 있어서 보조의 영향이 어떠했는지를 밝혀보았다.
      셋째, 조선 후기 선사들의 삶과 사상 속에 내재되어 있는 보조선의 영향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즉 조선 후기 선사들 역시 보조가 제시한 선교 회통(화엄선)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으며, 수행에 있어서 三門체계의 계승하고 있으며, 결사정신을 계승하고 있음을 밝혔다.
      넷째, 이 시기 선사상을 대표할 수 있는 백파와 초의간의 삼종선·사종선 논쟁이 발생한 사회사상적 배경은 무엇인가를 언급하였다. 아울러 이들 논쟁 속에 내재되어 있는 보조선과의 연관성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조망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보조의 선사상이 조선 후기 선사상에 미친 영향이 지대함을 밝히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lear the influence of Bojo-Chinul"s Zen showed in the later Choseon dynasty.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followings. Firstly, I refer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ought in the world of Buddhism in the l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lear the influence of Bojo-Chinul"s Zen showed in the later Choseon dynasty.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followings.
      Firstly, I refer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ought in the world of Buddhism in the later Choseon dynasty. And I mentioned the cognition about them in our academic world.
      Secondly, I disclosed the problem that there is consciousness of succession of Bojo"s family tradition in the Zen masters in these days. Especially I discovered the influence of Bojo-Zen showed up in the works of those mastersand the influenceof educationon Buddhist priests.
      Thirdly, I studied the influence of Bojo-Zen indwelled in the life and thought of Zen masters in those days. In other words, I made clear that they had succeeded the tradition of the unity of Zen and non-Zen Sects of Buddhism(선교회통), Hwaum-Zen(화엄선), which Bojo had suggested. And I disclosed that they had succeeded the system of three gates(삼문체계) and the spirit of association in their practices.
      Fourthly, I alluded the background of social thought on which was occurred the dispute of three sects Zen(삼종선)·four sects Zen(사종선) between Paekpa(백파) and Choeui(초의), the representative Zen masters of those days. In addition to that background, I had a distant view of relation with Bojo-Zen indwelled in that dispute.
      Through these analysis, I made clear that Bojo-Zen had an important effect upon the Zen thought of the later Choseon dynasty.
      Bojo-Chinul, Bojo-Zen, the Zen thought in the later Choseon dynasty, the unity of Zen and non-Zen Sects of Buddhism, the system of three gates, Paekpa, Choeui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Ⅰ. 서 론
      • Ⅱ. 조선 후기 불교계에 대한 인식의 재고
      • Ⅲ. 보조가풍의 전승
      • Ⅳ. 보조 선사상의 영향
      • 국문 초록
      • Ⅰ. 서 론
      • Ⅱ. 조선 후기 불교계에 대한 인식의 재고
      • Ⅲ. 보조가풍의 전승
      • Ⅳ. 보조 선사상의 영향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기두, "한국선사상 연구" 일지사 1993.

      2 박재현, "한국불교의 간화선 전통과 정통성 형성에 관한 연구" 2005

      3 동국대역경원, "한국불교사상개론"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1997

      4 정병삼, "추사와 그의 시대" 돌베개 2002

      5 소요당집외, "여시거사에게 답함" 『묵암집』 중 : 563-,

      6 知訥, "勸修定慧結社文" 1987.

      1 한기두, "한국선사상 연구" 일지사 1993.

      2 박재현, "한국불교의 간화선 전통과 정통성 형성에 관한 연구" 2005

      3 동국대역경원, "한국불교사상개론"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1997

      4 정병삼, "추사와 그의 시대" 돌베개 2002

      5 소요당집외, "여시거사에게 답함" 『묵암집』 중 : 563-,

      6 知訥, "勸修定慧結社文"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OJOSASANG, Journal of Bojo Thought -> 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53 1.60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