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https://www.riss.kr/link?id=G3680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어(新語)>의 성립과 후대에의 영향 육가는 무식했던 유방에게 자주 <시경><서경>을 얘기하였다. 불쾌해진 유방이 “공께선 말 위에서 천하를 얻고도 어찌 <시><서>를 ...

      <신어(新語)>의 성립과 후대에의 영향
      육가는 무식했던 유방에게 자주 <시경><서경>을 얘기하였다. 불쾌해진 유방이 “공께선 말 위에서 천하를 얻고도 어찌 <시><서>를 말하는가!”라고 육가를 책망하자, 육가는 이렇게 반박했다: “마상에서 천하를 얻었다고 하여 어찌 마상에서 천하를 다스릴 수 있겠습니까? 탕왕/무왕은 거역하여 쟁취하였으되 순응하여 그것을 지켰습니다. 문과 무를 병용함이야말로 장구한 통치술입니다. 옛날 오(吳)나라 왕 부차(夫差)와 지백(智伯)은 극단적으로 무에 치중함으로써 망했습니다. 진나라는 형법으로만 임하여 바꾸지 못했으므로 조(趙)씨는 창졸간에 멸망하였습니다. 만약 진이 천하를 병합하고 인의를 행하고 선왕성인을 본받았다면 폐하께서 어떻게 천하를 얻을 수 있었겠습니까?”(史記, 陸賈列傳) 유방이 들어보니 일리가 있어 자신의 견해가 짧음을 깨닫고 부끄러운 기색을 띠었다. 이에 육가로 하여금 “나를 위해 진나라가 천하를 잃은 까닭과 내가 천하를 얻은 까닭이 무엇인지, 그리고 옛날의 국가의 성패에 대하여 한 번 써 달라”고 하였다.
      육가는 한 편씩 쓰기도 하고 한 편씩 상주하기도 하여 모두 12편을 썼다. 유방이 보고 한 편 한 편 모두를 매우 찬양하였으며, 그 때마다 신하들은 곁에서 듣고 황제 만세를 외쳐댔다. 이렇게 엮여진 책을 <신어>라 불렀다. <한서, 예문지>엔 “육가 23편”이라 기재하고 있는데, <신어> 이외에도 육가의 글이 많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신어>의 내용과 문자로 볼 때 육가의 작품이 당연하다. 바쁘게 썼기 때문에 중복되고 연관이 안 된 곳도 많다. 현존본은 탈자도 많아 해독하기가 매우 어려운 책이다. 전체적으로 논하고 있는 바는 시대적 분위기를 크게 반영하고 있다. 문장은 사건에 따라 논의하기보다는 고도의 이론으로 통치자의 성패에 따른 역사경험에 대해 총결하면서 치국은 반드시 지켜야할 원칙이 있다고 주장한다.
      <신어>는 유방 및 한 초의 통치자들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반고(班固)는 육가의 <신어>, 소하(蕭何)의 ‘율령(律令)’, 한신(韓信)의 ‘군법(軍法)’, 장창(張蒼)의 ‘장정(章程)’, 숙손통(叔孫通)의 ‘예의(禮儀)’를 한나라 천하를 결정지은 5대 지주로 열거하였다.(漢書, 高帝紀) 네 가지는 제도에 관한 얘기고 유독 <신어>만이 한 대 통치이념의 바탕을 논한 정치사상의 저술이다. 한대 정치사상에서 <신어>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알 수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