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적응 향상을 위한 미술상담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Art Counseling on Self-Esteem of Maladjusted Stud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677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helping primary school students who had problem adapting to school life to resolve the problem through boosting their self-esteem with the help of an art counseling program. In order to achieve such aim, the following research ...

      This study aimed at helping primary school students who had problem adapting to school life to resolve the problem through boosting their self-esteem with the help of an art counseling program.
      In order to achieve such aim,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Question 1> Does an art counseling have any effect on students' self-esteem?
      <Question 2> Does an art counseling cause any emotional or sentimental changes among stud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two first-graders at J primary school in G City, South Chungcheong Province who had received the lowest scores in the test the researcher had conducted to measure the school adaptability of first graders in her class.
      The art counseling program employed in the study is the one the researcher produced by reorganizing the programs used in previous studies in a way that would confirm to the aim of the research. A total of 12 sessions (50 minutes per each session) were held twice a week from September 3, 2010 through October 29. The researcher herself conducted the sessions after school at the classroom for the first class of the first grade at J elementary school.
      The following analyses were performed to generate results.
      First, in order to assess the students' level of inadaptability to school, "the test measuring the school adaptability of first graders" was conducted involving th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sessions.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comparison.
      Second, in order to grasp changes in the students' self-esteem, "the test measuring self-esteem"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comparison.
      Third, in order to grasp changes in the students' emotions, "the House-Tree-Person (HTP) 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art counseling program.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comparison.
      Fourth, during each session qualitative analyses were made to describe the behavioral features of each of the two students. The behavioral differences of th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art counseling program were analyzed through comparis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rt counseling program reduced the inadaptable behaviors of the students having problem adapting to school life.
      Second, the art counseling program helped the students develop self-esteem.
      Third, the art program induced the students to undergo emotional changes.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conclusion has been gained that an art counseling program helps students having problem adapting to school life to resolve the problem by boosting their self-esteem and making them feel more stabilized and positive.
      It is to be hoped that an objective test tool that enables to select lower grade students having trouble adapting to school will be developed and teaching linked to supposition will be conducted to generate more eff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생활 부적응 초등학생에게 미술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을 높여 학교생활 적응을 돕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게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본 연구는 학교생활 부적응 초등학생에게 미술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을 높여 학교생활 적응을 돕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게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미술상담은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미술상담은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심리적․정서적 변화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충청남도 G시에 위치한 J초등학교 1학년 을 대상으로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여 총점이 최하위점수인 학생 2명을 선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미술상담 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연구자가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2010년 9월 3일부터 10월 29일까지 주 2회(회기당 50분정도)씩 총 12회기로 실시하였으며, J초등학교 1학년 1반 교실에서 방과후 시간을 이용하여 본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학생의 부적응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1학년용 학교적응 척도 타당도 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아존중감 검사지’를 실시하여 사전․사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셋째. 부적응 학생의 심리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HTP(House-Tree-Person) 검사’를 프로그램 전과 후에 실시하여 그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넷째, 매 회기마다 각 학생의 행동특성을 기술하는 질적 분석을 통하여 부적응 학생이 미술상담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어떤 변화를 보였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미술상담 프로그램은 부적응 학생의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켰으며 미술상담 프로그램은 부적응 학생의 자아존중감 발달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미술상담 프로그램은 부적응 학생의 학교생활에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미술상담 프로그램은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주어 그들의 심리 상태를 안정적이고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학교생활 적응에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앞으로 저학년의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을 선별할 수 있는 객관적인 검사 도구의 개발과 가정과 연계된 지도가 이루어진다면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