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가톨릭교회의 환경인식과 실천에 관한 조사연구 : 교황청 문헌과 한국 가톨릭교회 운동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2335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산업혁명 이후 일어난 서양의 문명은 인류에게 물질적 풍요를 가져다주었지만, 그 이면에는 환경공해로부터 발생한 환경재난의 그림자가 전지구적 규모로 증폭되고 있다. 환경재앙의 현실...

      산업혁명 이후 일어난 서양의 문명은 인류에게 물질적 풍요를 가져다주었지만, 그 이면에는 환경공해로부터 발생한 환경재난의 그림자가 전지구적 규모로 증폭되고 있다. 환경재앙의 현실은 산업 선진국뿐만 아니라 후진국에서도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환경위기의 원인은 인구증가와 과학기술의 발전 및 시장경제에 의존하는 자본주의 체계, 가부장제, 인간중심주의에 근거하고 있는 유대교와 그리스도교 전통 등 여러 복합적 요인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오늘날 생태위기의 보다 직접적인 원인은 물질 중심주의 산업문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이분법적 분리주의 사유인식으로서, 우열에 따른 지배논리를 바탕으로 하면서 주체와 대상의 구분 속에서 사물을 바라본 데서 초래한 것이기 때문에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이분법적 지배 패러다임을 넘어선 유기적인 호혜적 공생 패러다임으로 바꾸어야 한다.
      교회의 사명은 인간의 영적 질서뿐만 아니라 현세 질서를 개선하려는 목적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가톨릭교회는 오늘날 전지구상에서 일어나는 생태위기의 현상들을 목도하면서 교회의 가르침을 통해 하느님 창조질서 회복을 위한 나름대로의 여정을 걷고 있다.
      교회문헌을 살펴볼 경우 이미 환경위기에 대한 교회의 전반적 가르침이 존재한다. 우선 정의와 평화 그리고 환경 및 생명의 문제는 각각 독립적인 문제가 아니라 상호 연관관계에 있으며, 과학과 기술의 남용은 그 윤리적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그리스도교적 인간 중심주의는 자연에 대하여 관리자로서의 인간의 특별한 지위와 자연에 대한 인간의 책임을 설정하고 있다. 그리스도교적 인간 중심주의는 인간을 피조물이면서 동시에 하느님 창조의 관리자와 협조자라는 특권과 책임을 부여받은 존재로 파악한다. 교회문헌에 나타난 오늘날 환경위기의 문제는 물질적 가치의 절대적 숭상에서 비롯된 측면이 강하기에 비물질적 가치 추구의 전환을 요청하면서 윤리관의 확립을 강조하고 있고, 동시에 환경보전에의 동참은 신앙인의 의무임을 밝히고 있다.
      1990년 1월 1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세계 평화의 날 메시지」는 환경문제만을 다룬 역대 교황문헌 중 최초이자 유일한 문헌으로서 가톨릭교회의 환경문제 인식에 새로운 이정표가 되었다. 이에 많은 영향을 받은 한국교회는 그 다음해인 1991년도에 서울대교구를 비롯한 4개 교구의 사목교서에서 환경문제에 대한 많은 통찰과 언급들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지속적으로 한국 가톨릭교회 내에 체계화되어 녹아나지 않았기 때문에 교회내의 환경운동은 몇몇 명망가들의 헌신과 열정으로만 간헐적으로 이루어져 왔던 것은 사실이다.
      여타의 많은 운동들이 그렇겠지만 특히 오늘날 환경운동은 연대성이 절대적으로 요청된다. 이는 단지 가톨릭교회 내의 운동뿐만이 아니라 제 종교집단,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시민연대운동으로까지 확대된 연대성의 운동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서울대교구의 사회사목부 환경사목위원회가 주도하여 창립하였던 종교환경회의는 한국 환경운동사에 있어 제 종교의 연대의 기초적 틀을 제공하였기에 그의 기술적 운용은 한국 환경운동에 있어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가톨릭교회는 인간 삶의 영적, 현세적 분야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으며, 그 조직 구성상 상부구조의 정책에 따라 때로는 전 지구적 규모의 영향력을 미치기도 한다. 따라서 하느님의 창조질서 보전을 위한 예언자적 외침과 실천은 오늘날 교회에 요청되는 또 다른 사명이기도 하다. 환경문제에 대한 교회문헌의 여러 가르침을 통하여 교회의 공조직 속에서 보다 전진적인 모습으로서 교회가 오늘날 환경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처한다면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은 희망의 모습으로 미래세대에게 펼쳐질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cause the transforma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brought the materialistic wealth to the human race, the environmental catastrophe from pollution in the world has dramatically increased. The reality of the envir...

      Because the transforma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brought the materialistic wealth to the human race, the environmental catastrophe from pollution in the world has dramatically increased. The reality of the environmental disaster's impacts is appearing throughout the world, not only in the highly developed countries, but also in the third world countries. It is originally said that the fundamental causes of such environmental crisis include the fast growth in population, the fast development in scientific technology, the dependency on the market economy system, patriarchism, the foundation of the humanism in Judaism and Christianity, and etc. Especially, it is said that direct cause of the ecological crisis is related to the industrial society's materialism. The dichotomized separatism's thinking, the governing logic according to superiority and inferiority forms the basis of the industrial society's materialism. Therefore, by looking at things objectively and subjectively, the dichotomical governing paradigm should be reformed to systematic and mutually beneficial paradigm.
      The mission of the Church is not only to carry human's spiritual order, but also to improve the present age's order as well. Today, the world is facing the ecological crisis, thus, Catholic Church is recovering such a crisis by means of church's teachings to restore back to the original state of God's creation.
      The Church's teachings, regarding the environmental crisis through Church's documentary record, are as followed. First of all, justice and peach, and environment as well as, the matter of life should be considered as the mutual dependency. Also, the misuse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an ethical limitation. Moreover, humanism in Christianity is defined, as that human are the administrator and the supervisor of nature. This shows the unique positioning of the human being over the nature. Thus, as an administrator and an assistant, human being is considered accountable for any result. In addition, it is viewed that today's the environmental crisis issue is arose by putting higher value on the material. Hence, the conversion to the immaterialism is being requested as well as the strong establishment of ethical perspectives. At the same time, the Church's teaching clearly reveals its position of the church's duty as a participator in preserving the environment.
      On January 1st, 1990, the pope John Paul the 2nd published 'A Message of Peace for the World Today'. This is the first and the only book that gave a new direction to the Catholic Church's position in the environmental issues. Deeply impacting the Korean Church, in 1991 the Seoul Archdiocese and four other parishes' pastoral letters speak of the ! insights and the observations of the environmental issues. Nevertheless, because the Korean Catholic Church has not yet been systemized, the environmental movement has been achieved by the highly reputed men of devotion and passion.
      Similar to the other movements, such an environmental movement asks for an absolute solidarity. Such solidarity is essential in all movements as well as in any religious bodies. Furthermore, this solidarity should be a part of the societal movements. Founded by the Seoul Archdiocese's Environmental Pastoral Committee, the religious environmental assembly is the foundation of the religious solidarity in the Korean environmental movement history. Thus, the technical application of the religious environmental assembly will eventually influence the Korean environment movement.
      Today, Catholic Church has undeniably influenced the human life spiritually and worldly. Another mission of Church that is requested through the prophetical shouts and practices is to preserve God's creation in order. If the Church tackles the environmental crisis by means of the Church's documentary records of the several different Church's teachings, human being's ! lasting possibility of growth looks promising and thus hopeful future will be unfol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Ⅰ. 서론 = 1
      • Ⅱ. 환경위기와 문명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 = 7
      • 1. 환경재난의 실상 = 7
      • 2. 환경위기의 원인 = 11
      • 목차 = ⅰ
      • Ⅰ. 서론 = 1
      • Ⅱ. 환경위기와 문명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 = 7
      • 1. 환경재난의 실상 = 7
      • 2. 환경위기의 원인 = 11
      • 3. 문명 패러다임의 전환 필요성 = 14
      • Ⅲ. 가톨릭교회의 환경위기 진단과 인식 = 19
      • 1. 인간의 노력 = 19
      • 2. 환경문제에 관한 교회 문헌들 = 21
      • 2.1 교황청의 문헌 = 21
      • 2.1.1 사목헌장(Gaudium et Spes, 1965) = 21
      • 2.1.2 민족들의 발전(Populorum Progressio, 1967) = 23
      • 2.1.3 팔십주년(Octogessima Adveniens, 1971) = 24
      • 2.1.4 세계정의(De Iustitia in Mundo, 1971) = 25
      • 2.1.5 스톡홀름 인간환경회의에 보낸 교황 바오로 6세의 메시지(1972) = 26
      • 2.1.6 세계 환경보호의 날에 즈음한 교황 바오로 6세의 메시지: '인류의 번영을 위하여'(1977) = 27
      • 2.1.7 인간의 구원자(Redemptor Hominis, 1979) = 28
      • 2.1.8 노동하는 인간(Laborem Exercens, 1981) = 28
      • 2.1.9 사회적 관심(Sollicitudo Rei Socialis, 1987) = 29
      • 2.1.10 요한 바오로 2세의 세계 평화의 날 메시지: "창조주 하느님과의 평화, 모든 피조물들과의 평화"(1990) = 30
      • 2.1.11 백주년(Centesimus Annus, 1991) = 32
      • 2.1.12 요한 바오로 2세의 1993년 사순절 메시지 = 32
      • 2.1.13 요약 및 결론 = 33
      • 2.2 사목교서에 나타난 한국 가톨릭교회의 환경인식 = 34
      • 2.2.1 서울대교구 = 37
      • 2.2.2 대전교구 = 39
      • 2.2.3.인천교구 = 43
      • 2.2.4 수원교구 = 47
      • 2.2.5 원주교구 = 49
      • 2.2.6 대구대교구 = 53
      • 2.2.7 청주교구 = 56
      • 2.2.8 마산교구 = 58
      • 2.2.9 안동교구 = 60
      • 2.2.10 광주대교구 = 62
      • 2.2.11 전주교구 = 71
      • 2.2.12 요약 및 소견 = 71
      • 3. 교회 문헌에 나타난 환경인식 = 73
      • 3.1 정의와 평화 문제 = 73
      • 3.2 과학기술 문제 = 74
      • 3.3 그리스도교적 인간중심주의 = 74
      • 3.4 도덕성 회복문제 = 75
      • 3.5 환경 보전에의 동참은 신앙적 의무 = 75
      • 3.6 요약 및 소견 = 76
      • Ⅳ. 한국 가톨릭 교회의 환경운동 = 79
      • 1. 한국 환경운동사 개요 = 79
      • 2. 한국 가톨릭교회 환경운동의 태동 = 80
      • 2.1 .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정위평화위원회 = 81
      • 2.2. 천주교한마음한몸운동본부 = 82
      • 2.3. 수도회 및 단체 = 83
      • 2.4. 창조질서보전 및 완성을 위한 공청회 = 83
      • 3. 한국 가톨릭교회 환경운동의 발전 및 현황 = 85
      • 3.1 서울대교구- 천주교한마음한몸운동본부와 환경사목위원회 = 85
      • 3.1.1 천주교한마음한몸운동본부 = 85
      • 3.1.2 우리농촌살리기 운동 = 89
      • 3.1.3 환경사목위원회 설립 = 89
      • 3.2 인천교구 - 가톨릭환경연대 = 91
      • 3.3 수원교구 - 환경센터 = 99
      • 3.4 원주교구 - 정의평화위원회 = 101
      • 3.5 대전교구 - 대전 가톨릭 환경분과회의 = 107
      • 3.6 대구대교구 - 푸른평화 = 110
      • 3.7 청주교구 = 112
      • 3.8 안동교구 - 생명공동체 = 113
      • 3.9 광주대교구 - 정의평화위원회 = 115
      • 3.10. 우리밀살리기운동 = 118
      • 4. 한국 가톨릭교회 환경운동의 전망과 과제 = 120
      • 4.1 연대성의 실현 = 120
      • 4.2 구체적인 실천 과제 = 126
      • 4.3. 평가와 전망 = 129
      • Ⅴ. 결론 = 133
      • 참고문헌 = 13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