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 탈북민의 복음수용에 관한 생애사 연구 = A Life History Study on Gospel Acceptance of North Korean Defector in Russ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776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탈북민의 복음수용 과정을 멘델바움(Mendelbaum)의 생애사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러시아 탈북민뿐만 아니라 북한이탈주민에게 복음 수용성을 높이는 전...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탈북민의 복음수용 과정을 멘델바움(Mendelbaum)의 생애사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러시아 탈북민뿐만 아니라 북한이탈주민에게 복음 수용성을 높이는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러시아 탈북민의 복음수용을 생애사적 관점으로 다루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구참여자 A의 생애사 자료를 멘델바움의 삶의 영역, 삶의 전환점, 삶의 적응방법 순으로 분석하였고, 그 안에서 복음수용 과정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참여자 A의 복음수용은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진행되었다. 그는 북한에서 살면서 이미 북한 체제의 허상과 부조리를 경험하였다. 그러한 경험이 러시아에서 일하면서 탈북을 실행하는 동인으로 작용하였다. A는 탈북의 과정에서 선교사들의 도움을 받았고,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보호하심을 실제로 경험하며, 복음을 받아들였다. 그는 러시아에서 복음을 수용하고 신앙교육을 통해서 믿음이 성장하였다. 연구참여자 A는 남한에 와서 예수제자학교 훈련과 세 번의 이스라엘 비전트립을 통해서 북한선교로 부르심을 받았음을 확인하고 현재 신학교에서 공부하고 있다.
      참여자 A의 연구결과와 복음수용과정 분석을 토대로 러시아 탈북민의 복음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첫째, 북한 체제의 실상을 알릴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고 각종 방송 매체를 통해서 알려야 한다. 둘째, 북한 노동자들이 일하는 러시아 지역에 선교사를 파송하고 선교센터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온라인으로 예배 사역 및 성경 공부를 준비하고 진행해야 한다. 넷째, 그들의 삶의 정황에 맞는 제자훈련 프로그램을 만들고 실행해야 한다. 다섯째, 멘토링 시스템을 만들어서 탈북민이 믿음의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gospel acceptance proces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Russia as a way of researching Mendelbaum’s life history. Through this, strategies to increase the gospel receptivity to displaced North Koreans as well as North Korean d...

      This paper analyzed the gospel acceptance proces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Russia as a way of researching Mendelbaum’s life history. Through this, strategies to increase the gospel receptivity to displaced North Koreans as well as North Korean defectors in Russia were sugges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alt with the gospel acceptanc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Russia for the first time from a life-history perspective. The life history data of participant A in the study were analyzed in order of Mendelbaum’s life dimensions, turnings, and adaptations. And in it, the process of the gospel acceptance was clearly revealed.
      The gospel acceptance of participant A was carried out in the providence of God. While living in North Korea, he already experienced the illusions and absurdities of the North Korean system. Such experiences acted as a driving force for becoming a North Korean defectors in Russia. Participant A received the help of missionaries in the process of defection, experienced God's guidance and protection, and accepted the gospel. He accepted the gospel in Russia and grew his faith through faith education. Participant A came to South Korea and was called to North Korea mission through training at the Jesus Discipleship School and three vision trips to Israel. Now he is studying at the seminar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participant A, the following are the ways to increase the gospel receptiv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Russia. First, we should create contents that can inform the reality of the North Korean system and let them know through various broadcasting media. Second, we must send missionaries to areas where North Korean workers in Russia live and establish a mission center. Third, online worship ministry and Bible study should be prepared and conducted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 Russia. Fourth, we should create and implement a discipleship training program that fits the context of their lives. Fifth, we must establish a mentoring system to help North Korean defectors live a life of fait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용석, "통일, 준비되었습니까?" 진리와 자유 2011

      2 김승호, "통일 후 효과적인 북한선교를 위한 전략연구: 북한이탈주민을 통한 북한복음화 전략" 개혁신학회 36 : 239-270, 2015

      3 최원진, "통일 한국을 향한 한국 교회의 선교적 사명"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6 (26): 149-183, 2014

      4 김영암, "탈북자들의 기독교에로의 회심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신학대학원 2001

      5 박병애, "탈북민 목회자의 생애사 분석을 통한 복음수용성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6 박예영, "탈북민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체험에 관한 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16

      7 "탈북민 3만명 중 1000명만 교회 출석"

      8 전명희, "탈북 청년들의 기독교 회심과 신앙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9 (29): 219-250, 2018

      9 전명희, "탈북 기독교인들의 신앙 여정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30 (30): 173-207, 2019

      10 이근무, "질적연구 교안" HA 연구소 2018

      1 임용석, "통일, 준비되었습니까?" 진리와 자유 2011

      2 김승호, "통일 후 효과적인 북한선교를 위한 전략연구: 북한이탈주민을 통한 북한복음화 전략" 개혁신학회 36 : 239-270, 2015

      3 최원진, "통일 한국을 향한 한국 교회의 선교적 사명"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6 (26): 149-183, 2014

      4 김영암, "탈북자들의 기독교에로의 회심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신학대학원 2001

      5 박병애, "탈북민 목회자의 생애사 분석을 통한 복음수용성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6 박예영, "탈북민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체험에 관한 연구"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16

      7 "탈북민 3만명 중 1000명만 교회 출석"

      8 전명희, "탈북 청년들의 기독교 회심과 신앙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9 (29): 219-250, 2018

      9 전명희, "탈북 기독교인들의 신앙 여정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30 (30): 173-207, 2019

      10 이근무, "질적연구 교안" HA 연구소 2018

      11 김화순, "직행 탈북이주자의 노동이동과 탈북결정요인" 통일연구원 26 (26): 235-264, 2017

      12 "지주"

      13 "제주열방대학"

      14 "아웃리치"

      15 손정열, "수용적 관점에서 본 ‘복음통일’전략: 북한의 역사와 사상을 통한 고찰"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3

      16 양민숙, "북한이탈주민의 중년기 이후 남한사회적응에 관한 생애사 연구 : Mandelbaum의 분석 방법론 적용" 성균관대학교 2018

      17 문남철, "북한이탈주민의 이주요인과 이주패턴 및 이주경로 -재외 거주공간정책의 필요성-" 국토지리학회 38 (38): 497-512, 2004

      18 공기인, "북한이탈주민의 생애사 연구를 통한 평양시 노동자들의 직업정체성 변화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19 한정우, "북한이탈주민의 기독교와의 만남에 관한 질적 연구" 다문화평화연구소 10 (10): 134-154, 2016

      20 이봉구, "북한이탈주민의 국제적 보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21 하광민, "북한이탈주민을 매개로 하는 북한선교 구도의 변화"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48 (48): 359-389, 2019

      22 "북한이탈주민 입국인원 현황"

      23 "북한군 사관장"

      24 윤여상, "북한 해외 노동자 현황과 인권 실태" 북한인권정보센터 2015

      25 이영형, "북한 노동자의 러시아 극동지역 진출 현황 및 그 역할 분석"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0 (10): 51-75, 2007

      26 "북한 김정은의 주요 돈벌이 수단 사라지나?"

      27 박병애, "로젠탈(Rosenthal)의 생애사 연구 방법을 활용한 탈북민 사역자의 복음수용 과정 분석" 한국선교신학회 (55) : 157-195, 2019

      28 이영형, "러시아의 극동개발과 북한 노동자" 통일연구원 2012

      29 이영형, "러시아 극동지역 내 북한노동자 활동 현황: 아무르주를 중심으로" 러시아연구소 26 (26): 113-143, 2016

      30 "남한 정착 탈북민 10명 중 4명은 기독교인"

      31 김남일, "남북갈등 해소를 통한 북한선교 방안: 남북왕조의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41 (41): 45-80, 2018

      32 이지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제 이후, 러시아 극동지역의 북한 노동자 현황"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33 "고난의 행군"

      34 Mandelbaum, D. G., "The study of life history: Gandhi" 14 : 177-206, 1973

      35 Miles, M. B., "Qualitative Data Analysis : A source book of new method" Sage 1994

      36 전명근, "21세기 통합적 선교 전략연구 : 북한지하교회를 중심으로"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1 0.448 0.6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