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전쟁기 중학교 국어 교과서 내용 및 체계 연구 - 실제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Contents and System of Korean Textbooks in Middle School during the Korean War - Focusing on the actual us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750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쟁기 간행된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내용 구성 및 활용 양상을 살펴보고 피란수도 부산에서 국어 교육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먼저 전시 상황에서 운영...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쟁기 간행된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내용 구성 및 활용 양상을 살펴보고 피란수도 부산에서 국어 교육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먼저 전시 상황에서 운영된 교수요목 및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편찬된 국어 교과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교육 자료가 전쟁 상황 속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당시 피란학교의 교무일지 등의 학교사 자료와 아울러 살펴보았다.
      전시 상황에서 피란수도 부산의 학교 교육은 문교부가 공포한 「전시하 교육 특별 조치 요강」에 맞춰 긴급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전시 상황에서 피란학교에서는 교사도 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정규교과 과정을 운영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전시 상황에 맞추어 정규교과 과정은 군 위문 활동 등의 특별 활동으로 대체하였으며 국어 교육 또한 이러한 상황에 맞춰 이루어졌다. 국어 교과서도 국군의 승리를 기원하는 글이나 위문편지 등을 학습 내용으로 구성하여 편찬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혜화학원오십년사편찬위원회, "혜화학원50년사(1954~2005)" 혜화학원 2005

      2 최장집, "해방전후사의 인식 4" 한길사 1995

      3 민병욱, "해방 후 한국전쟁기 부산지역 국어교육의 위상"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5 : 2009

      4 김상훈, "해방 전후 중등 교육과정의 변화" 역사와교육학회 (21) : 5-62, 2015

      5 안경식,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피란학교 연구- 학교경영방침, 교육과정, 학교일상을 중심으로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41) : 41-74, 2021

      6 이순욱, "한국전쟁기 전시독본의 형성 기반과 논리" 한국문학회 (58) : 423-452, 2011

      7 안경식, "한국전쟁기 임시수도 부산지역의 피난학교 연구-중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상학회 23 (23): 315-350, 2009

      8 원종찬, "한국전쟁기 임시 교과서와 반공 아동문학: 『전시생활』·『소년기마대』·『새음악』의 반공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64) : 285-320, 2018

      9 주현희, "한국전쟁기 부산의 중등학교 여학생 교육 고찰* - 피란학교의 과외활동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63) : 661-698, 2022

      10 이순욱, "한국전쟁기 부산 피란문학과 전시동원" 영주어문학회 41 : 451-474, 2019

      1 혜화학원오십년사편찬위원회, "혜화학원50년사(1954~2005)" 혜화학원 2005

      2 최장집, "해방전후사의 인식 4" 한길사 1995

      3 민병욱, "해방 후 한국전쟁기 부산지역 국어교육의 위상"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5 : 2009

      4 김상훈, "해방 전후 중등 교육과정의 변화" 역사와교육학회 (21) : 5-62, 2015

      5 안경식,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피란학교 연구- 학교경영방침, 교육과정, 학교일상을 중심으로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41) : 41-74, 2021

      6 이순욱, "한국전쟁기 전시독본의 형성 기반과 논리" 한국문학회 (58) : 423-452, 2011

      7 안경식, "한국전쟁기 임시수도 부산지역의 피난학교 연구-중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상학회 23 (23): 315-350, 2009

      8 원종찬, "한국전쟁기 임시 교과서와 반공 아동문학: 『전시생활』·『소년기마대』·『새음악』의 반공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64) : 285-320, 2018

      9 주현희, "한국전쟁기 부산의 중등학교 여학생 교육 고찰* - 피란학교의 과외활동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63) : 661-698, 2022

      10 이순욱, "한국전쟁기 부산 피란문학과 전시동원" 영주어문학회 41 : 451-474, 2019

      11 이종국, "한국의 교과서출판 변천연구" 일진사 2002

      12 오천석, "한국신교육사(하)" 광명출판사 1975

      13 박상만, "한국교육사(하)" 대한교육연합회 1957

      14 백낙준, "한국교육과 민족정신" 문교사 1954

      15 박영기, "한국 전쟁기 아동문학교육 연구- 국어 교과서와 아동잡지 수록 문학교육 제재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137-155, 2013

      16 동래학원팔십년지편찬위원회, "팔십년지" 동래학원 1975

      17 문교부, "중학국어3-Ⅱ"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53

      18 문교부, "중학국어3-Ⅱ"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53

      19 문교부, "중학국어2-Ⅱ"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53

      20 문교부, "중학국어2-Ⅱ"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54

      21 문교부, "중학국어2-Ⅰ"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53

      22 문교부, "중학국어1-Ⅱ"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53

      23 문교부, "중학국어1-Ⅱ"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54

      24 문교부, "중등국어3-Ⅱ" 주식회사 문화당 1953

      25 문교부, "중등국어3-Ⅰ" 민중서관 1952

      26 문교부, "중등국어2-Ⅱ" 박문출판사 1953

      27 문교부, "중등국어1-Ⅱ"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53

      28 문교부, "중등국어1-Ⅰ" 합동도서 주식회사 1953

      29 최해교, "전시연합대학에 관한 연구"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9

      30 이화백년사편찬위원회, "이화백년사" 이화여고 1994

      31 숙명100년사편찬위원회, "숙명백년사" 숙명여자중고등학교 2006

      32 수도여고60년사발간위원회, "수도여고60년사" 수도여고 2006

      33 부산여상삽십년사편찬위원회, "부산여상삽십년사(1953~1983)" 부산여상 1983

      34 부산여고60년사편찬위원회, "부산여고60년사" 부산여고 2005

      35 김의환, "부산근대교육사" 태화출판사 1967

      36 부산시교육위원회, "부산교육지" 부산교육위원회 1959

      37 부산직할시교육위원회, "부산교육사" 부산시교육위원회 1987

      38 부산교육대, "부산교육대학사십삼년사" 부산교육대학 1989

      39 부산봉래국민학교 동창회, "봉래백년사" 봉래국민학교 1995

      40 강진호, "반공주의의 규율과 ‘국어’ 교과서 : 1946~1954년의‘국어’교과서를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소 (28) : 352-383, 2005

      41 오현아, "미군정기 검인정 중등 문법 교과서의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에 대한 시론" 국어교육학회 (45) : 287-313, 2012

      42 중앙대학교부설한국교육문제연구소, "문교사" 한국교육문제연구소 1974

      43 문교부, "문교개관" 문교부 1958

      44 문교40년사편찬위원회, "문교40년사" 문교부 1988

      45 무학60년사 편찬위원회, "무학육십년사" 무학여고 2000

      46 동성중고등학교, "동성 100년사" 동성중고등학교 2011

      47 동래고등학교, "동래고등학교80년사" 동래고등학교 1979

      48 서울특별시교육위원회, "대한교육연감" 서울특별시교육회 1953

      49 대한교과서, "대한교과서사 : 1948~1998"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

      50 대한교과서, "대한교과서사 : 1948~1983"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8

      51 대한교과서, "대한교과서60년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8

      52 남성여고육십년사편찬위원회, "남성여고육십년사(1941~2001)" 남성여고 2001

      53 김혜정, "근대 이후 국어과교재 개발에 대한 사적 검토"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35-75, 2004

      54 국정교과서주식회사, "국정교과서주식회사 삼십오년사"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87

      55 고재석,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전통의식과 그 수용 양상-해방공간에서 1970년대까지" 동국대 국어교육 8 : 1996

      56 정준섭,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5

      57 이호열, "국어과 교육과정 체계화의 과제" 영남대 국어국문학회 18 : 1996

      58 강진호, "국어 교과서의 탄생" 글누림 2018

      59 조희정, "국어 교과서의 역사적 변천 연구" 국어교육학회 (42) : 41-71, 2011

      60 차혜영, "국어 교과서와 지배 이데올로기- 1차~4차 교육과정기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를 대상으로" 상허학회 15 : 99-128, 2005

      61 김신정, "국어 교과서와 기억의 구성 -해방기에서 전후의 중등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40) : 425-466, 2010

      62 최창헌, "교수요목기의 민족문화 형성과 발전 - 국정중등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을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53 (53): 31-60, 2016

      63 최은경, "교과서 동요․동시 정전화(正典化) 연구-미군정기~교수요목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45) : 459-488, 2014

      64 이순욱, "광복기 부산 지역 한글운동과 『한얼』" 우리문학회 (53) : 409-433, 2017

      65 허재영, "과도기(1945~1955)의 국어과 교과서" 한글학회 16·17 : 59-90, 2004

      66 박붕배, "과도기 및 제 1차 교육과정기의 국어과 교재분석연구" 서울교육대학교 24 : 1991

      67 경남여고60년사편찬위원회, "경남여고육십년사" 경남여고 1987

      68 경상남도 교육위원회, "경남교육사" 경상남도 교육연구원 1980

      69 경기여자고등학교, "경기여고백년사" 경운회 2009

      70 허재영, "建國期의 中等 國語敎科書 연구-國定敎科書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457-482, 2005

      71 김문희, "6.25전쟁기 전시 교과서 『전시생활』 연구" 서강대학교 2017

      72 손영애, "1차~5차 교육 과정 시기의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체제 및 내용 분석 연구" 국어교육학회 89 : 1995

      73 부산시립중앙도서관, "(한 권으로 정리한) 부산시·부산교육 연표"

      74 부산일보사, "(비화)임시수도천일 상·하" 부산일보출판국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1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