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7세기 沃川 三溪書院과 斯文是非 = 试论17世纪沃川三溪书院与斯文是非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097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571년(선조 4) 全彭齡과 郭詩를 제향하기 위하여 설립된 沃川 三溪書院은 鄭介淸의 咸平 紫山書院과 더불어 17세기 서인과 북 · 남인간 갈등이 지방 서원의 훼철과 복설 논쟁으로 이어진 첫 ...

      1571년(선조 4) 全彭齡과 郭詩를 제향하기 위하여 설립된 沃川 三溪書院은 鄭介淸의 咸平 紫山書院과 더불어 17세기 서인과 북 · 남인간 갈등이 지방 서원의 훼철과 복설 논쟁으로 이어진 첫 번째 사례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있다.
      삼계서원을 둘러싼 논쟁은 1621년(광해군 13) 鄭雴과 李時立 등 옥천의 북인계 유생들이 임란 때 소실된 서원을 중건하며, 趙憲의 추향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시작되었다. 나이를 기준 삼아 전팽령 · 곽시 · 조헌의 순서로 위차를 정하자던 정립 등의 의견에 대하여, 조헌의 제자 金籥이 절의를 기준으로 삼을 것을 주장한 데서 시작된 이때의 위차 논쟁은 전씨와 곽씨 집안을 중심으로 한 옥천의 토착사족과 임란 이후 조헌 문인을 중심으로 형성된 신흥사족 간 향촌사회 주도권을 둘러싼 다툼이었다.
      그러나 인조반정 이후 金長生 · 金集 · 宋浚吉 · 宋時烈 등 湖西山林들이 李珥와 成渾에서 유래한 서인학통이 호서지역으로 전해진 계보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조헌의 도통적 위상이 강조되면서, 삼계서원 논쟁은 당파 간 갈등의 양상을 지니며 조정까지 확대되었다. 처음 김장생이 정개청과 곽시의 행적을 지적하며 향사 중단을 청한 것을 시작으로, 1638년(인조 16) 충청감사 金堉이 조헌의 위패를 별도의 사우인 表忠祠로 옮겼고, 1654년(효종 5) 옥천군수 宋國澤이 곽시의 위패를 철거하였으며, 1657년(효종 8) 결국 삼계서원 자체가 훼철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갑인예송의 결과 송시열을 비롯한 서인의 誤禮의 책임을 지게 된 1675년(숙종 1)에 삼계서원의 복설이 이루어졌다. 그 과정에서 朴守欽을 비롯한 옥천의 서인계 유생들이 변방에 유배되는 일이 일어났다. 서인의 영수 송시열은 이 사건을 朱子의 僞學之禁에 비유하며, 폐모론에 가담했던 북인의 여얼들이 충청감사 趙威明을 앞세워 程子와 朱子 그리고 조헌의 도학을 공격한 斯文是非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1680년(숙종 6) 경신환국으로 서인이 재집권한 뒤 삼계서원은 다시 훼철되었는데, 이처럼 일개 지방 사우의 위차 논쟁에서 시작된 삼계서원 문제가 조정까지 비화되어 훼철과 복설을 거듭하였던 원인은 서인학통의 핵심 인물인 조헌 및 송시열의 연고지로서 옥천이 지닌 특수성 때문이기도 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광해군대 重建과 位次論爭
      • Ⅲ. 인조 · 효종대 西人學統의 정비와 毁撤
      • Ⅳ. 숙종대 斯文是非와 復設 및 再毁撤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광해군대 重建과 位次論爭
      • Ⅲ. 인조 · 효종대 西人學統의 정비와 毁撤
      • Ⅳ. 숙종대 斯文是非와 復設 및 再毁撤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中文摘要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老峯集(閔鼎重)"

      2 이해준, "호서지역 서원의 지역적 특성과 정치적 성격 - 숙종대 노소론계 서원을 중심으로 -" 한국국학진흥원 1 (1): 27-54, 2007

      3 하상복, "자산서원, 훼철과 복설의 상징정치" 인문과학연구소 (21) : 173-193, 2014

      4 "龍村先生實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 古 4650-71)"

      5 "顧菴遺稿(鄭雴)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古 3648-70-59)"

      6 "肅宗實錄"

      7 "睡翁先生日記(宋甲祚)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한 古朝56-나36)"

      8 "澗松集(趙任道)"

      9 "潛谷遺稿 (金堉)"

      10 全用宇, "湖西士林의 형성에 대한 연구 : 16-17세기 湖西士族과 書院의 동향을 중심으로" 忠南大學校 大學院 1994

      1 "老峯集(閔鼎重)"

      2 이해준, "호서지역 서원의 지역적 특성과 정치적 성격 - 숙종대 노소론계 서원을 중심으로 -" 한국국학진흥원 1 (1): 27-54, 2007

      3 하상복, "자산서원, 훼철과 복설의 상징정치" 인문과학연구소 (21) : 173-193, 2014

      4 "龍村先生實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 古 4650-71)"

      5 "顧菴遺稿(鄭雴)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古 3648-70-59)"

      6 "肅宗實錄"

      7 "睡翁先生日記(宋甲祚)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한 古朝56-나36)"

      8 "澗松集(趙任道)"

      9 "潛谷遺稿 (金堉)"

      10 全用宇, "湖西士林의 형성에 대한 연구 : 16-17세기 湖西士族과 書院의 동향을 중심으로" 忠南大學校 大學院 1994

      11 "沙溪遺稿(金長生)"

      12 宋寅協, "沃川의 三溪·三陽書院 硏究" 忠南大學校 大學院 1987

      13 "沃川邑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 奎 10759)"

      14 "樊巖集(蔡濟 恭)"

      15 정만조, "朝鮮時代 書院硏究" 집문당 1997

      16 이수환, "朝鮮後期書院硏究" 일조각 2001

      17 이해준, "朝鮮後期 門中書院 硏究" 경인문화사 2008

      18 이정우, "朝鮮後期 沃川地方 士族과 鄕權의 推移" 17 : 1989

      19 정호훈, "朝鮮後期 政治思想 硏究-17세기 北人系 南人을 중심으로-" 혜안 2004

      20 "月沙集(李廷龜)"

      21 "月汀集(尹根壽)"

      22 "書院謄錄"

      23 "新增東國輿地勝覽"

      24 우경섭, "宋時烈의 道統論과 文廟釐正 논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7) : 89-124, 2006

      25 "宋子大全(宋時烈)"

      26 "孝宗實錄"

      27 "國朝人物考"

      28 "四友堂集(宋國澤)"

      29 "同春堂集(宋 浚吉)"

      30 "光海君日記"

      31 "俎豆錄"

      32 "仁祖實錄"

      33 송인협, "17-18세기 沃川地方 在地士族의 動向-三溪書院의 置廢를 중심으로-" 11 : 1999

      34 김동수, "16-17世紀 湖南士林의 存在形態에 대한 一考察-특히 鄭介淸 의 門人集團과 紫山書院 置廢事件을 중심으로-" 7 :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2-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호서사학 -> 역사와 담론
      외국어명 : HO-SUH SAHAK -> HISTORY AND DISCOURSE(Journal of Historycal Review)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9-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호서사학
      외국어명 : HO-SUH SAHAK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6 0.95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