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에서의 "허정(虛靜)" 논의와 그 미적(美的) 특질(特質) = Xujing(虛靜): As an Aesthetic Idea in Korea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818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虛靜``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한문학에서 ``허정``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으며 그 미적 특질은 무엇인가를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에서의 ``허정`` ...

      이 논문은 ``虛靜``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한문학에서 ``허정``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으며 그 미적 특질은 무엇인가를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에서의 ``허정`` 논의를 개관하여 그것이 크게 두 흐름, 즉 老莊學 중심의 人生論과 審美論, 性理學 중심의 修養論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먼저 밝혔다. 이어서 韓國漢文學에서 ``허정``에 대한 논의로 옮겨가 그것이 세계를 감수하는 심미적 태도와 道德的 人格에 대한 審美的 感受 두 방면으로 발전되어 왔음을 논술하였다. 전자는 장자의 미학을 수용하여 발전시킨 측면이 특징적이었고, 후자는 성리학의 미학을 수용하되 인격에 대한 심미 인식이라는 측면을 발전시켜 중국의 그것과는 다른 독특한 미의식을 형성한 점이 두드러졌다. 이는 중국에서의 ``허정`` 논의를 수용하되 이를 우리의 문화적, 학문적 풍토에 맞게 독자적으로 발전시킨 결과라고 할수 있다. 아울러 ``허정`` 관념이 문학적으로 형상화된 사례를 통해 그것이 문학 창작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y thesis aims to investigate what discussed in the concept of "Xujing(虛靜)" in Korea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First I gave an overview of Xujing discussion in China. It has two major flow, aesthietic theory around Lao- Zhung(老莊) and mo...

      My thesis aims to investigate what discussed in the concept of "Xujing(虛靜)" in Korea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First I gave an overview of Xujing discussion in China. It has two major flow, aesthietic theory around Lao- Zhung(老莊) and moral culture around Sung Confucianism(性理學). Then I examined the discussion of Xujing in Korea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It was developed in two ways, aesthetic attitude what is impressed the world and aesthetic impression toward moral personality. Finally I did text analysis on the Korea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and I found that the concept of Xujing also influenced to Korea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