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WS ER70S-6, 1.2mm 솔리드 와이어를 사용하는 가스금속아크용접(Gas Metal Arc Welding)에서 작업자의 용접흄 및 금속 폭로에 영향을 주는 요인 = Influencing Factors to Worker's Exposure of Welding Fumes and Metals in Gas Metal Arc Welding Using AWS ER70S-6,1.2mm Solid Wi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158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CO₂용접을 대상으로 용접자세, 용접전류 및 헬멧에서 아크까지의 거리 등에 따라서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용접흄과 금속에 대한 폭로농도를 파악하여 폭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밝히...

      CO₂용접을 대상으로 용접자세, 용접전류 및 헬멧에서 아크까지의 거리 등에 따라서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용접흄과 금속에 대한 폭로농도를 파악하여 폭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밝히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중장비 제조업체에서 직경 1.2mm 솔리드 와이어(AWS ER70S-6, BS A18, JIS YGW12)만을 이용하여 CO₂용접을 하는 작업자 95명(전자세 작업자 34명, 아래보기와 수평자세 30명, 위보기와 수직자세 31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래보기와 수평자세에서 용접흄의 폭로농도는 15.83mg/㎥으로 가장 높았고, 용접전류도 257.83암페어로 가장 높았으며 헬멧에서 아크까지의 거리 또한 44.87cm으로 가장 멀었다.
      2. 철, 망간, 구리, 아연의 금속 폭로농도는 아래보기와 수평자세에서 각각 5.254mg/㎥, 0.849mg/㎥, 0.072mg/㎥, 0.048mg/㎥으로 가장 높았다. 용접흄의 폭로농도가 높을 수록 용접 와이어 그리고 일부 금속은 모재에 함유되어있는 성분이 금속 폭로에 영향을 주었다.
      3. 전자세에서 용접흄의 폭로농도와 용접전류사이의 상관관계가 r=0.93으로 가장 높았고, 아래보기와 수평자세에서 용접흄 폭로농도와 헬멧에서 아크까지의 거리사이의 상관관계가 r=0.39으로 가장 높았다. 용접자세에 따른 용접흄 폭로농도에 있어 헬멧에서 아크까지의 거리보다는 용접시 이용되는 용접전류가 더 큰 영향을 주었다.
      4. 아래보기와 수평자세에서 공히 용접흄의 폭로 농도가 높을 수록 용접 와이어의 성분인 철, 망간, 구리, 아연의 폭로농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5. 용접자세에 따른 금속의 복합영향에 있어서 용접자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용접 와이어에 함유되어있는 주성분인 철, 망간, 구리가 복합영향에 대한 기여도가 큰 경향이 있었다.
      6. 3 개군 모두에서 용접흄의 폭로농도가 높을 수록 복합영향도 높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₂welders(n=95) using AWS ER70S-6, 1.2mm diameter solid wire were examined and 95 CO₂welders were consisted of 34 all position, 30 downward & horizontal, and 31 overhead & vertical welders. To measure personal exposure for welding fumes and metal...

      CO₂welders(n=95) using AWS ER70S-6, 1.2mm diameter solid wire were examined and 95 CO₂welders were consisted of 34 all position, 30 downward & horizontal, and 31 overhead & vertical welders. To measure personal exposure for welding fumes and metals, full-period consecutive sampling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Welding fume exposure of 15.83 ㎎/㎥ , welding currents of 257.83 ampere and helmet-to arc distance of 44.87㎝ in downward & horizontal position was the highest and the longest of the three welding positions.
      2. Metal exposures of iron, manganese, copper, zinc in downward & horizontal positions were the highest of the three welding positions and the concentrations were 5.254 ㎎/㎥, 0.849 ㎎/㎥, 0.072 ㎎/㎥, 0.048 ㎎/㎥, respectively.
      3.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3 between welding fume exposures and welding currents in all position was the highest of the three welding positions and correlation coefficient of 0.39 between welding fume exposures and helmet-to arc distances in downward & horizontal positions was the highest of the three welding positions. According to welding fume exposures by welding positions, welding currents had more effect than helmet-to arc distances.
      4. Increasing welding fume exposures in downward & horizontal positions, metal components of iron, manganese, copper in welding wire and especially, zinc of base metal were observed.
      5. Combined effects of metals by welding positions were some differences but iron, manganese, copper of welding wire major components were the trend that contributes to combined effects(CE).
      6. Increasing welding fume exposures in 3 welding positions, combined effects were also high.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