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슈타이너의 교사론에 나타난 정신세계의 교육적 의미 = A Study on The Spirit World in Steiner's Educational Theory about Teach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651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heory of the sprit world in Steiner's(Rudolf Steiner: 1861-1925) theory about teacher. This study begins by researching about the means of spirit world relation to physical world, soul world and educa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heory of the sprit world in Steiner's(Rudolf Steiner: 1861-1925) theory about teacher. This study begins by researching about the means of spirit world relation to physical world, soul world and education, and how to know the teacher have a higher sense and spiritual science. Steiner thought that human beings are primarily of spiritual nature, and only secondarily of bodily nature. Steiner said that man is a citizen of three world, body, soul, spirit World. And through his body he perceives all about the physical world; through his soul he constructs for him-self his own world; through his spirit a world reveals itself to him that is exalted above both the others. He explains how bodily nature, soul nature and spirit nature complement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human beings. Like this, he emphasized harmony with the physical world, the soul world, the spirit world in education. So, Steiner's theory of education is not really a science in the strict sense of the physical word, but a philosophy of soul and spirit world applied to education. For as the teacher have to know what is the spiritual world and higher sense are very essential parts in education. Steiner believed that in the materialistic age a new educational understanding of spiritual world was a vital necessity for the future education of human beings. And Steiner thought that the teacher will be a pioneer of the higher sense and guide for the spiritual science. Steiner's theory of teacher is inspired by a belief in the power of the spiritual world in education and many suggestions our educational situation no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슈타이너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정신세계의 교육적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그가 추구하는 교사상 속에 이것이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

      본 연구는 슈타이너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정신세계의 교육적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그가 추구하는 교사상 속에 이것이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슈타이너 교육에서의 육체와 정신, 영혼과 정신, 교육과 정신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초감각 세계에 대한 개척자로서의 교사, 정신과학에 대한 안내자로서의 교사상에 대하여 탐구함으로써 슈타이너가 강조하였던 정신세계의 교육적 의미를 도출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현대교육에서 강조하는 물질 위주의 교육과 감각 중심의 주지주의 교육이 지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 전인적 인간을 지향하는 교육에 대한 교육적 단초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물질위주의 현대 교육이 상실해 가고 있는 정신세계의 교육적 의미를 찾게 될 것이다. 아울러 물질적이고 형식적인 교사상에서 탈피하여 감각 저편의 세계까지도 인지하고, 정신과학을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교사상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Ⅰ. 서론 Ⅱ. 슈타이너 교육사상에서의 정신세계 Ⅲ. 정신세계 이해자로서의 교사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요약> Ⅰ. 서론 Ⅱ. 슈타이너 교육사상에서의 정신세계 Ⅲ. 정신세계 이해자로서의 교사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윤경, "한국 발도르프학교 교육의 의미와 실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교육철학학회 16 (16): 163-197, 2010

      2 Ruf, B., "청소년기의 발도르프 교육, 발도르프 교육의 이론과 실제" 1996

      3 Lindenberg, C., "자유발도르프교육 입문" 밝은 누리 2000

      4 정윤경, "인지학의 특성과 교육적 의미" 한독교육학회 14 (14): 187-211, 2009

      5 정승석, "윤회의 자아와 무아" 장경각 1999

      6 박균섭, "슈타이너의 교육철학 : 학교교육에 관한 비판과 제안" 한국교육학회 43 (43): 1-27, 2005

      7 전일균, "발도로프 교육학의 대안학교적 의미 연구" 한국교육철학학회 16 (16): 165-185, 2002

      8 Steiner, Rudolf, "교육의 기초로서의 일반인간학" 물병자리 2002

      9 윤선영, "‘교육예술’로서의 교육과 ‘예술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고찰–발도르프 유아교육 관점에서" 11 (11): 117-142, 2006

      10 Richards, M. C., "Toward Wholeness : Rudolf Steiner Education in America" Wesleyan University Press 1980

      1 정윤경, "한국 발도르프학교 교육의 의미와 실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교육철학학회 16 (16): 163-197, 2010

      2 Ruf, B., "청소년기의 발도르프 교육, 발도르프 교육의 이론과 실제" 1996

      3 Lindenberg, C., "자유발도르프교육 입문" 밝은 누리 2000

      4 정윤경, "인지학의 특성과 교육적 의미" 한독교육학회 14 (14): 187-211, 2009

      5 정승석, "윤회의 자아와 무아" 장경각 1999

      6 박균섭, "슈타이너의 교육철학 : 학교교육에 관한 비판과 제안" 한국교육학회 43 (43): 1-27, 2005

      7 전일균, "발도로프 교육학의 대안학교적 의미 연구" 한국교육철학학회 16 (16): 165-185, 2002

      8 Steiner, Rudolf, "교육의 기초로서의 일반인간학" 물병자리 2002

      9 윤선영, "‘교육예술’로서의 교육과 ‘예술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고찰–발도르프 유아교육 관점에서" 11 (11): 117-142, 2006

      10 Richards, M. C., "Toward Wholeness : Rudolf Steiner Education in America" Wesleyan University Press 1980

      11 Steiner, Rudolf, "Theosophy" Anthroposophic Press 1971

      12 Steiner, Rudolf, "The Roots of Education" Rudolf Steiner Press 1982

      13 Steiner, Rudolf, "The Education of the Child, in the Light of Anthroposophy" Rudolf Steiner Press 1965

      14 Francis, K., "The Education of a Waldorf Teacher" iUniverse, Inc 2004

      15 Steiner, Rudolf, "The Child’s Changing Consciousness and Waldorf Education" Anthroposophic Press 1988

      16 Steiner, Rudolf, "Study of Man" Rudolf Steiner Press 1980

      17 Childs, G., "Steiner Education in Theory and Practice" Floris Books 1991

      18 Steiner, Rudolf, "Rudolf Steiner, An Autobiography" Blauvelt 1977

      19 Wilkinson, R., "Rudolf Steiner on Education" Hawthorn Press 1993

      20 박소정, "Korean Spirituality" 모시는 사람들 2012

      21 Steiner, Rudolf, "Knowledge of the Higher Worlds How is It Achieved?" Rudolf Steiner Press 1993

      22 Steiner, Rudolf, "Discussions with Teachers" Rudolf Steiner Press 1992

      23 Barnes, H., "An Introduction to Waldorf Education" 81 (81): 1980

      24 Steiner, Rudolf, "A Modern Art of Education" Rudolf Steiner Press 197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69 2.04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