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웃음·유머 교육에 대한 문학교육적 고찰 = A Literary Educational Study on Laughter·Humor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33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akes the education of laughter through humor as a part of the enjoyment education. Chapter 2 identifies the nature of laughter and humorous laughter. Laughter arises from a variety of pleasant psychological shifts. Humorous laughter arises...

      This paper takes the education of laughter through humor as a part of the enjoyment education. Chapter 2 identifies the nature of laughter and humorous laughter. Laughter arises from a variety of pleasant psychological shifts. Humorous laughter arises especially from the conceptual psychological shift. Chapter 3 reveals the internal structure of humorous laughter and examines three types of humor. Humor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uch as derisive, empathic, and counter-restriction types. Humor education should begin in counter‐restriction humor, followed by derisive humor and then empathic humor in the end. In chapter 4, what to be accomplished in humor education is examined from cognitive dimension, aesthetic dimension, and ethical dimension. And this study points out the importance of the cognitive process of discriminating the incongruous elements in the cognitive dimension. It reveals that humor education should go up to the aesthetic experience. Lastly, on the ethical level, humor can function as a protest, affirmation, and solidarization against social norms, and it also reveals that it can cultivate various moral virtu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유머를 협소한 언어텍스틀 넘어서 ‘웃음과 재미를 자극하는 행동, 말하기, 글쓰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본다. 그리고 그것의 미적, 윤리적 차원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 장...

      본고는 유머를 협소한 언어텍스틀 넘어서 ‘웃음과 재미를 자극하는 행동, 말하기, 글쓰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본다. 그리고 그것의 미적, 윤리적 차원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 장에서 웃음의 본질, 문학교육의 대상으로서의 유머적 웃음에 대해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파버의 이론을 원용하여 유머 교육을 위한 이론 적 틀과 유머의 세 유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는 유머의 인식적, 심미적, 윤리적 차원을 규명하고 그것의 문학 교육적 의미를 밝히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석제,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창비 2008

      2 Plato, "필레보스" 서광사 2005

      3 Kant, I.,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

      4 김동훈, "총체성에 저항하는 수단으로서의 아이러니와 웃음 (2): 웃음 - 강요된 진지함 vs. 전복적 웃음" 한국미학회 83 (83): 33-72, 2017

      5 채만식, "채만식전집 8" 창작과비평사 1989

      6 정현선, "인터넷 유머 이해의 문화교육적 고찰* -다중문식성과 하이퍼텍스트적 소통 원리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14 : 297-325, 2004

      7 송지언, "인터넷 답글에 나타난 웃음의 분석과 국어활동 교육"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2) : 91-116, 2008

      8 Schopenhauer, A.,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을유문화사 2015

      9 한성일, "유머텍스트의 구조와 원리" 한국화법학회 7 : 147-171, 2004

      10 구현정, "유머담화의 구조와 생성 기제" 한글학회 (248) : 159-184, 2000

      1 성석제,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창비 2008

      2 Plato, "필레보스" 서광사 2005

      3 Kant, I.,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

      4 김동훈, "총체성에 저항하는 수단으로서의 아이러니와 웃음 (2): 웃음 - 강요된 진지함 vs. 전복적 웃음" 한국미학회 83 (83): 33-72, 2017

      5 채만식, "채만식전집 8" 창작과비평사 1989

      6 정현선, "인터넷 유머 이해의 문화교육적 고찰* -다중문식성과 하이퍼텍스트적 소통 원리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14 : 297-325, 2004

      7 송지언, "인터넷 답글에 나타난 웃음의 분석과 국어활동 교육"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2) : 91-116, 2008

      8 Schopenhauer, A.,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을유문화사 2015

      9 한성일, "유머텍스트의 구조와 원리" 한국화법학회 7 : 147-171, 2004

      10 구현정, "유머담화의 구조와 생성 기제" 한글학회 (248) : 159-184, 2000

      11 손세모돌, "유머 형성의 원리와 방법" 한양어문학회 (17) : 5-34, 1999

      12 이도영, "유머 텍스트의 웃음 유발 장치" 한국텍스트언어학회 7 : 421-445, 1999

      13 이재원, "유머 텍스트 연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8 : 7-170, 2003

      14 류동규, "웃음의 맥락을 활용한 풍자소설 교육" 한국문학교육학회 (31) : 187-210, 2010

      15 조현일, "미적 향유를 위한 소설교육-감정이입과 미적 공체험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96) : 457-494, 2013

      16 조현일, "미적 동일시의 유형과 소설교육" 우리어문학회 (47) : 331-368, 2013

      17 최재서, "문학과 지성" 인문사 1938

      18 Hobbes, T., "리바이어던" 나남 2008

      19 이태준, "달밤" 깊은샘 1995

      20 Freud, S., "농담과 무의식의 관계" 열린책들 1998

      21 이해완, "농담, 유머, 웃음: ‘유머의 윤리’ 를 중심으로" 한국미학회 (77) : 105-140, 2014

      22 최미숙, "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2016

      23 김대행, "국어교육연구 vo l. 1"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16, 1994

      24 최지현, "국어교육연구 Vol. 1"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41-166, 1994

      25 윤천탁, "국어교육에서 유머 텍스트의 활용방안" 청람어문교육학회 (35) : 179-205, 2007

      26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27 Plato, "국가" 서광사 2016

      28 김윤식, "고등학교 문학" 천재교육 2014

      29 조현설, "고등학교 국어" 해냄 에듀 2014

      30 김중신, "고등학교 국어" 교학사 2014

      31 진은영, "감응(Affect)과 유머의 정치학"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8 (18): 423-456, 2007

      32 Farber, J., "Towar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Humor in Literature and the Other Arts" 41 (41): 67-86, 2007

      33 Martin, M. W., "The Philosophy of Laughter and Humor" SUNY Press 1987

      34 Morreall, J., "The Philosophy of Laughter and Humor" SUNY Press 1987

      35 Gordon, M., "Learning to Laugh at Ourselves : Humor, Self-Transcendence, and the Cultivation of Moral Virtue" 60 (60): 735-749, 2010

      36 Gordon, M., "Humor, Laughter And Educational Philosophy" 25 (25): 9-15, 2012

      37 Morreall, J., "Humor and Aesthetic Education" 15 (15): 55-70, 1981

      38 Gordon, M.,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or and Aesthetic Experience" 46 (46): 111-121, 2012

      39 Basu, S., "Dialogic Ethics and the Virtue of Humor" 7 (7): 378-403, 1999

      40 Jauss, H. R., "Aesthetic Experience and Literary Hermeneutic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2

      41 김창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연구 - 국어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4 1.14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