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료채취 방식에 따른 주거 공간 내 휘발성유기화합물 발생 특성 평가 =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indo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residential spaces by sampling metho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950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do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re classified as known or possible toxicants and odorants. This studycharacterized VOC levels in 11 homes in an area in the capital of Seoul by using two different methods of VOCssampling, which are the active...

      Indo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re classified as known or possible toxicants and odorants. This studycharacterized VOC levels in 11 homes in an area in the capital of Seoul by using two different methods of VOCssampling, which are the active sampling using a thermal sorption tube and the passive sampling using a diffusionsampler. When using the active sampling method, the total target VOC concentration ranged from 41.7 to 420.7 μg/m3 (mean 230.4 μg/m3; median 221.8 μg/m3) during winter and 21.3 to 1,431.9 μg/m3 (mean 340.1 μg/m3; median175.4 μg/m3) during summer. When using the passive method, 29.6 to 257.5 μg/m3 (mean 81.8 μg/m3; median49.4 μg/m3) during winter and 1.2 to 5,131.1 μg/m3 (mean 1,758.8 μg/m3; median 1,375.1 μg/m3) during summer.
      Forty-nine VOCs were quantified and toluene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regardless of the season and thesampling method studied. The distribution of VOCs was relatively varied by using the active method. However,it showed a low correlation with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oom temperature, humidity and ventilationtime. The correlation between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and VOCs were relatively high in the passive method.
      In particular, these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외현, "학령기 아동의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과 교실 실내 환경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통합창원시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4 (24): 369-379, 2013

      2 조일형,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환경영향평가와 사후환경조사의 비교 및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환경보건학회 31 (31): 134-146, 2005

      3 황윤형, "연구참여자에 의한 주택실내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의 측정" 한국환경보건학회 37 (37): 369-375, 2011

      4 원수란, "아파트에서 실내공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분포 특성연구" 한국냄새환경학회 15 (15): 268-276, 2016

      5 김만구, "실내공기 중 냄새물질을 방출하는 곰팡이의 규명" 한국냄새환경학회 4 (4): 89-94, 2005

      6 변상훈, "시화산업단지에서 주요 휘발성유기물질의 시간적, 공간적 농도 파악을 위한 능동식과 수동식 시료채취기 비교" 대한환경공학회 33 (33): 790-796, 2011

      7 전정윤, "서울시 주택내 휘발성 유기화합물 공기오염농도의 계절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1 (21): 125-132, 2005

      8 김효철, "공기 중 니코틴 포집에 있어 국산확산포집기와 능동포집기의 비교 평가" 한국환경보건학회 32 (32): 485-491, 2006

      9 Moon, K. W., "Seasonal evaluation of bioaerosols from indoor air of residential apartments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in South Korea" 186 (186): 2111-2120, 2014

      10 No, H. J.,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Hanol Publishing 2014

      1 홍외현, "학령기 아동의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과 교실 실내 환경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통합창원시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4 (24): 369-379, 2013

      2 조일형,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환경영향평가와 사후환경조사의 비교 및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환경보건학회 31 (31): 134-146, 2005

      3 황윤형, "연구참여자에 의한 주택실내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의 측정" 한국환경보건학회 37 (37): 369-375, 2011

      4 원수란, "아파트에서 실내공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분포 특성연구" 한국냄새환경학회 15 (15): 268-276, 2016

      5 김만구, "실내공기 중 냄새물질을 방출하는 곰팡이의 규명" 한국냄새환경학회 4 (4): 89-94, 2005

      6 변상훈, "시화산업단지에서 주요 휘발성유기물질의 시간적, 공간적 농도 파악을 위한 능동식과 수동식 시료채취기 비교" 대한환경공학회 33 (33): 790-796, 2011

      7 전정윤, "서울시 주택내 휘발성 유기화합물 공기오염농도의 계절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1 (21): 125-132, 2005

      8 김효철, "공기 중 니코틴 포집에 있어 국산확산포집기와 능동포집기의 비교 평가" 한국환경보건학회 32 (32): 485-491, 2006

      9 Moon, K. W., "Seasonal evaluation of bioaerosols from indoor air of residential apartments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in South Korea" 186 (186): 2111-2120, 2014

      10 No, H. J.,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Hanol Publishing 2014

      11 Daisey, J. M., "Indoor air quality, ventilation and health symptoms in schools : an analysis of existing information" 13 (13): 53-64, 2003

      12 Ballesta, P. P., "Effects of the diffusion membrane on passive sampling" 27 (27): 2031-2034, 1993

      13 Wania, F., "Development and calibration of a resin-based passive sampling system for monitoring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the atmosphere" 37 (37): 1352-1359, 2003

      14 Yang, W., "Determinants of residential indoor and transportation activity times in Korea" 21 (21): 310-316, 2011

      15 Hayward, S. J., "Comparison of four active and passive sampling techniques for pesticides in air" 44 (44): 3410-3416, 2010

      16 Azuma, K., "Assessment of inhalation exposure to indoor air pollutants : Screening for health risks of multiple pollutants in Japanese dwellings" 145 : 39-49, 2016

      17 Sahlberg, B., "Airborne molds and bacteria, microbial volatile organic compounds(MVOC), plasticizers and formaldehyde in dwellings in three North European cities in relation to sick building syndrome(SBS)" 444 : 433-440, 2013

      18 Sung, M. K., "A case study on the indoor air chemical pollutants in a newly built apartment build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 (24): 594-597, 2004

      19 김리나, "1인 가구 주거공간 실내공기 중 부유 곰팡이와 곰팡이 유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발생 특성" 한국냄새환경학회 16 (16): 259-264,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3-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냄새환경학회지 ->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1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2 0.55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