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동의 환경적 특성과 행동의도가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children`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Intention on Psychological Social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7408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ldren of poor families' economical hardship is dangerous because it effects their growth, health and behavioral problems. Children are blocked from satisfying their basic and primary desires, and they need a stable family and societal environment t...

      Children of poor families' economical hardship is dangerous because it effects their growth, health and behavioral problems. Children are blocked from satisfying their basic and primary desires, and they need a stable family and societal environment to develop their potential. The education and welfare first support industry started to heighten the quality of lives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in disadvantaged conditions by achieving the education that is needed in every level of life so they can grow as capable adults in a democratic society and realize local education communities. This thesis has the goal of analyzing the education and welfare first support industry targeted school children centered guarding cause and harming cause, behavior intent and psychological social activities.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are a total of 719 5th-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1st-2nd-3rd graders in the middle school in the Gyeonggi-do Ansan region. The frequency test, factorial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4-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for the analysis of the response data, and the SPSS 15.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ng research hypothesis through analysis is as below.
      First, the effects of personal guarding causes and harming causes on behavior intent was higher on the poor family students than on normal family students, and an intent to move was higher as grades got higher. An intent to move was higher as impulsiveness and early misdeed experiences were higher, and the students' intent to protest was higher as students' level of planning and self-efficiency rose. The intent to disregard gets lower as responsibility and self-efficiency rises, and the intent to disregard gets higher as impulsiveness and early misdeed experiences got higher.
      Second, the intent to move lowered as democratic child-rearing attitudes were taken toward the effects of family guarding causes and harming causes to behavior intent. The students' intent to protest was higher as the family's support and communication level rose. The intent of devotion rose as the family's level of support, communication and democratic child-rearing attitudes rose, and the intent to disregard lowered as the family's support and communication level rose, and the students' intent to disregard rose as the family's discord rose.
      Third, the students' intent to move and disregard lowered as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as support of teachers as societal guarding causes and harming causes effect gets better, and students' intent to move rose as the number of nearby minus environments and exposure to internet rose. The students' intent to protest and devote rose as the relationship of friends and support of teachers got better.
      Fourth, as the effect of behavior intent to psychological society behavior, as the intent to move and disregard heightened, societal atrophy and depression and anxiety was felt greatly, misbehavior and aggressive activities were frequent, social ability lowered, and the social ability rose as intent to protest and devote rose.
      Fifth, the effects of personal, family, societal guarding and harming causes on psychological society behavior is that as self-efficiency rises, social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lowers, and as impulsiveness rises, societal atrophy rises as well. Also, as the number of early misdeed behaviors rises,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rises, and the number misdeed behaviors also rose. On the other hand, as the level of responsibility rose, the number of misdeed behaviors fell, and as the level of impulsiveness and early misdeed behavior experiences rose, aggressiveness rose, and as self-efficiency and responsibility rose, the social ability rose as well. As family support and communication level rose, the students' social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fell and ability rose, and as a controlling rearing attitude and family discord heightened, the students' social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rose, and ability fell. As the family's controlling rearing attitude and family discord heightened, aggressiveness rose, and the number of misdeed behaviors rose as well. Students who had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support of teachers had low social atrophy, depression and anxiety, their aggressiveness was low, and their number of misdeed behaviors was low as well. As the number of nearby minus environment and internet exposure increased, the student's social atrophy and misdeed behaviors increased as well. Also, as the students' relationships with friends increased, the students' social ability increased, and as internet exposure increased, the students' social ability lowered.
      Sixth,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ociety behavior by behavior intent mediated effect as personal, family, societal guarding and harming causes is that the nearby minus environments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intent to move and disregard, and have an effect on depression and anxiety. Also, the effect of students' relationship to friends and nearby minus environments is mediated completely through intent to move, and the effect of teachers' support and nearby minus environments is mediated completely through the intent to disregar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relationship with friends on aggressiveness was mediated completely through intent to move, and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support of teachers on aggressiveness was mediated completely through the intent to disregard.
      With these results as the base, the education and welfare first support industry must make a program that can improve planning, responsibility, and self-efficiency and make sure family support, teacher support and communication is done well so students can adapt well to school life. Also,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nearby minus environments have effects on misdeed behaviors, so children and young adults in poor families must be protected from the many harming causes as a social safety net, so they can develop into a healthy member of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빈곤가정의 아동은 경제적 어려움 이상으로 발달과 건강 그리고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 기본적인 욕구의 일차적인 욕구의 충족의 어려움과 아동의 잠재력을...

      빈곤가정의 아동은 경제적 어려움 이상으로 발달과 건강 그리고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 기본적인 욕구의 일차적인 욕구의 충족의 어려움과 아동의 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안정된 가정환경과 사회환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불리한 여건에 있는 아동과 청소년들이 각 생애 단계별로 요구되는 교육적 성취를 이룸으로써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갖춘 어른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고 지역교육공동체 구현을 통해 취약계층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시작되었다. 본 논문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대상학교 아동을 중심으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행동의도 그리고 심리사회적 행동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산 지역의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1․2․3학년 총 719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응답 자료의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t 검정,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4단계 매개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서 검증한 연구가설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빈곤가정 학생들이 일반가정 학생들에 비해 그리고 학년이 높을수록 이동의도가 높았다. 충동성과 조기비행경험이 높을수록 이동의도는 높아졌고 계획성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항의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무시의도는 낮아지고, 충동성과 조기비행경험이 높을수록 무시 의도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정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민주적 양육태도를 많이 가질수록 이동의도는 낮아지고, 가족의 지지 및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항의 의도는 높았다. 가족의 지지 및 의사소통, 민주적 양육태도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충실의도는 높아졌으며 가족의 지지 및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무시의도는 낮아지고, 가정불화가 심할수록 학생들의 무시의도는 높아졌다.
      셋째, 사회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교우관계가 원만하고, 교사의 지지가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이동의도와 무시의도는 낮아지고, 주변유해환경이 많고, 인터넷 노출이 심할수록 학생들의 이동의도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교우관계가 원만하고, 교사의 지지가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항의의도와 충실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행동의도가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이동의도와 무시의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을 많이 느끼며 비행행동과 공격적인 행동을 많이 하고 사회적 유능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항의의도와 충실의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개인적․가정적․사회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은 낮아지고, 충동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위축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기비행경험이 많을수록 우울․불안 수준은 높아지고 비행 행동을 많이 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책임감이 높을수록 비행 행동을 적게 하며 충동성과 조기비행경험이 높을수록 공격성이 높아졌고 책임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가족의 지지 및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은 낮아지고 유능성은 높아졌으며 통제적 양육태도와 가정불화가 심할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위축 및 우울․불안은 높아지고 유능성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가정의 통제적 양육태도와 가정불화가 심할수록 공격성이 높아지고 비행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우관계가 원만하고, 교사의 지지가 잘 이루어질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위축과 우울․불안 및 공격성이 낮아지고 비행행동은 적게 하고, 주변유해환경이 많고 인터넷 노출이 심할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위축과 비행 행동이 많아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우관계가 원만할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유능성은 높아지고, 인터넷 노출이 심할수록 학생들의 사회적 유능성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동의도 매개효과로 개인적․가정적․사회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주변유해환경은 이동의도와 무시의도의 매개를 통해서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교우관계와 주변유해환경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이동의도를 통해 완전 매개되고, 교사의 지지와 주변유해환경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의도를 통해 완전 매개되고 있었다. 학생들의 교우관계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이동의도를 통해 완전 매개되고, 학생들의 교우관계와 교사의 지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의도를 통해 완전 매개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계획성, 책임감,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과 가족의 지지, 교사의 지지,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져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교우관계와 주변유해환경이 비행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회안전망으로서 빈곤지역의 아동과 청소년이 지역사회환경의 많은 위험요인들로부터 보호되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문제 5
      • II. 이론적 배경 7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문제 5
      • II. 이론적 배경 7
      • 1. 아동의 환경적 특성 7
      • 1) 빈곤아동의 특성 12
      • 2)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16
      • 2. 행동의도 21
      • 1) 행동의도 21
      • 3. 심리사회적 행동 26
      • 1) 내재화 행동 27
      • 2) 외현화 행동 27
      • 3) 사회적 유능성 28
      • 4. 선행연구 탐색 29
      • 1) 아동의 환경적 특성 29
      • 2) 행동의도 34
      • 3) 심리사회적 행동 37
      • III. 연구방법 39
      •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39
      • 1) 연구모형 39
      • 2) 연구가설 40
      • 2.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43
      • 1) 연구 대상 43
      • 2) 자료수집방법 및 연구범위 44
      • 3. 변수의 정의와 조사도구 내용 44
      • 1) 아동의 환경적 특성 45
      • 2) 행동의도 47
      • 3) 심리사회적 행동 48
      • 4. 조사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 50
      • 1) 개인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측정항목의 타당성과 신뢰도 50
      • 2) 가정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측정항목의 타당성과 신뢰도 52
      • 3) 사회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측정항목의 타당성과 신뢰도 55
      • 4) 행동의도 측정항목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결과 56
      • 5) 심리사회적 행동 측정항목의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 결과 58
      • 5. 자료의 분석방법 60
      • IV. 연구결과 61
      • 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61
      • 2. 빈곤여부에 따른 주요 변수들의 비교 63
      • 1) 빈곤여부에 따른 개인적․가정적․사회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비교 63
      • 2) 빈곤여부 따른 행동의도 비교 65
      • 3) 빈곤여부에 따른 심리사회적 행동 비교 65
      • 3. 연구가설의 검증 67
      • 1) 개인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69
      • 2) 가정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74
      • 3) 사회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79
      • 4) 행동의도가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84
      • 5) 개인적․가정적․사회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이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91
      • 6) 심리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행동의도 매개효과 110
      • V. 결론 및 제언 141
      • 1. 결론 141
      • 2. 제언 147
      • 참고문헌 151
      • Abstract 1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